CAFE

신앙의 인물들

현대 부흥운동의 아버지 찰스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

작성자스티그마|작성시간22.03.24|조회수42 목록 댓글 0

현대 부흥운동의 아버지 찰스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

'강용원 교수의 글모음'에서 공유


미국 부흥운동의 역사에 큰 자취를 남긴 사람 중의 한명이 찰스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1792-1875)이다. 그는 코네티컷의 워렌(Warren, Litchfield County)의 한 농가의 일곱 번째 아이로 태어났다. 그의 가정은 후에 뉴욕주의 오나이다(Oneida County)에 정착하였고 그곳에서 성장하며 교육을 받았다.

1818년 찰스는 뉴욕주 애덤스(Adams)에 있는 벤자민 라이트(Benjamin Wright) 판사의 법률 사무소에서 도제(apprenticeship)를 시작하였다. 피니가 정식으로 변호사로 받아들여졌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는 정규적으로 애덤스 재판소의 심리에 나가 법적으로 다투는 일을 하였다. 피니가 법률 공부를 하면서 책을 읽는 중에 책의 저자가 성경을 자주 인용하였는데, 그는 성경에 대해 자신이 무지함을 깨닫고 스스로 성경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피니는 지역 장로교회에 새로운 담임목사가 부임하면서 교회출석을 시작하였다. 그는 설교에서 별로 얻는 것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기도에 응답하시는 하나님에 대해 의심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음악을 좋아했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찬양대의 지휘자가 되었다.

1821년 여름에 담임목사가 자기의 병든 누이를 방문하기 위해 잠시 떠나면서 그로 하여금 설교를 대신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단지 책에 있는 설교를 읽는 일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성령님께서는 성도들 가운데서 역사하셨고 피니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어느 날 피니는 업무 관계로 인한 약속을 마치고 돌아오고 있었다. 그는 학교건물 옆을 걸어오면서 한 남자가 안에서 기도하는 소리를 들었다. 그 기도에서 들려지는 단어들이 그의 마음에 걸리고 그가 이전에 듣던 설교보다도 더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자신의 구원에 관하여 생각하면서 시간을 보내기 시작하였다. 피니는 후에 자기에게 의미 있는 날(1821년 10월 10일)에 대해서 회고하였다.

“나는 이른 시간에 회사를 향해 출발했다. 그러나 내가 사무실에 도착하기 바로 전에 무엇인가가 이런 질문들을 가지고 와서 나와 마주치는 것 같았다. ‘당신의 마음을 하나님께 드린다는 약속을 하지 않았나요? 당신은 무엇을 하려고 합니까? 당신은 자신의 의를 드러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지 않나요?’

바로 그 순간에 구원에 관한 전반적인 질문이 매우 신비한 방법으로 내 마음을 열었다... 그때 나는 분명하게 보았는데 그것은 그리스도의 구속의 실제성과 충만함이었다. 나는 그의 사역이 완성된 사역임을 보았다. 그것은 하나님께 나를 보이기 위해 내 자신의 의를 소유하거나 필요로 하는 것을 대신하는 것이었다. 나는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의에 나를 복종시켜야한다. 그것은 충분하고도 완전한 것이며, 내 쪽에서 해야 할 일은 단지 죄를 포기하고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구원은 나 자신의 공로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지...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사무실로 향하는 대신에 그는 가까이에 있는 숲으로 가서 그의 마음이 ‘놀랍게도 고요하고 평화롭게 되기까지’ 깊이 기도하였다. 이제 그는 고객을 법적으로 변호하는 일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대의를 변호하는 일을 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성 로렌스 장로회(St. Lawrence presbytery)의 지도를 받으며 교회 담임목사로부터 2년간 신학을 공부하고 1823년 12월 30일에 설교자격을 얻었으며, 다음해 7월 1일에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의 설교로 일련의 부흥이 제퍼슨과 성 로렌스(Jefferson and St. Lawrence) 카운티의 작은 마을들(Evans Mills, Antwerp, Brownville, Gouverneur)에서 일어났다. 1825년에는 서쪽의 마을들(Troy, Utica, Rome, Auburn)로 번져 나갔다. 이것은 오나이다 카운티를 중심으로 한 서부부흥(western revivals)이라고 불려진다. 이와 같이 미국 북부 뉴욕주로부터 시작한 부흥운동은 뉴욕 시, 필라델피아, 보스톤 그리고 로체스터를 휩쓸었다. 로체스터의 변화에 대해서 한 보고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모든 공동체가 동요했다. 종교는 집, 상점, 사무실, 거리에서의 대화의 주제였다. 도시의 유일한 극장은 활기 넘치는 마구간으로, 유일한 서커스장은 비누와 양초공장으로, 술집은 문을 닫았다. 안식일은 존중되었으며, 교회들은 행복한 예배자들로 붐볐다. 모든 자선 단체에 새로운 자극이 주어졌고 자선의 샘이 열리고, 사람들은 착하게 살았다.”

이로써 찰스 피니는 19세기 미국 부흥운동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 되었고 그의 사역의 결과로 50만 명이 주님께로 돌아오게 되었다. 그는 1849-1850년과 1859-1860년에는 영국으로 건너가 집회를 인도하기도 하였다.

피니는 부흥운동을 이끌기 위해서 많은 여행을 하는 중에 1832년에 콜레라와 호흡기 질환으로 어려움을 당하면서 여행을 자제해야만 하였다. 이 시점에 그는 교회의 담임을 함께 맡게 된다. 그는 뉴욕 시의 채텀거리교회(Chatam Street Chapel: 후에 Second Free Presbyterian Church), 브로드웨이 성막교회(Broadway Tabernacle: 1836-1837), 오벌린 제1회중교회(The First Congregational Church of Oberlin, Ohio: 1837-1872)에서 목회하였다. 그는 1835년에는 오벌린에 신설된 대학(Oberlin Collegiate Institute, 현재 Oberlin College)의 교수가 되었으며 1851-1866년까지는 학장으로 일했다. 물론 이 동안에도 부흥운동가로 활동하였다.

‘현대부흥운동의 아버지’(Father of Modern Revivalism)로 불리운 그는 죄인의 회심을 유도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들을 활용하였다. 지금은 보편화된 것이지만 그는 연속집회(protracted meeting)와 초청의 시간을 사용하였고, 특히 갈망자 좌석(anxious seat)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자신이 죄인이라는 것을 깨닫고 구원을 갈망하는 사람을 위한 좌석으로 설교단 가까이에 만들어 두었다. 또한 질의자 집회(inquirer meeting)가 있었는데 그것은 설교에 대해 의문이나 질문이 있는 이들에게 답변해 주기 위한 모임이었다. 이전까지 사역자들은 단지 말씀의 선포자라고만 생각했으나 피니는 설교자는 동시에 설득자여야한다고 생각했다.

피니는 사회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노예제도 폐지와 여권신장에 영향을 주었다. 우선 노예제도의 폐지와 노예해방에 영향을 주었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노예제도의 정당성을 변호했으나 피니는 노예제도는 커다란 죄악이라고 말하였다. 당시 기독교 인사들 가운데는 이 문제에 대해서 언급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유는 어느 한 입장을 주장하는 경우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피니는 노예제도를 존속시키면서 연합을 추구하는 것은 가증스러운 것이라고 비판했다.

피니는 여권신장 운동에서도 선구자적 기여를 하였다. 피니의 부흥운동은 여성들에게 기도를 시키고 간증을 하게 한다는 이유로 많은 비난을 받았고 그가 학장으로 일한 오벌린 대학은 인종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학생들을 받아들였다. 이 외에도 피니는 금주운동, 빈민구제운동, 평화운동에도 영향을 끼쳤다.

찰스 피니는 장로교 배경을 가진 인물이지만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하고 예정이나 원죄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조나단 에드워즈가 성령님이 사람 가운데서 역사하시기를 기다렸다면 피니는 그 자리에서 인간 스스로 결단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는 인간이 의지적 결단으로 구원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화도 스스로 이룰 수 있다고 하였다. 부흥 역시 성령님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고 가르쳤다. 앞에서 말한 그가 도입한 새로운 방법들도 그러한 생각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는 세 번 결혼하였는데 처음 두 아내와는 사별하였다. 그는 첫 아내로부터 여덟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헌신적인 아버지이자 남편이었다. 그는 1875년 8월 16일 조용한 주일에 오버린에서 숨을 거두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