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예수시대 동인 소식

이어령 박사의 죽음과 장례 ② 디지로그 장례식은 따로 있다.

작성자스티그마|작성시간22.03.06|조회수263 목록 댓글 2

이어령 박사의 죽음과 장례 ②
디지로그 장례식은 따로 있다.

송길원 / 예수시대 동인, 청란교회 목사


알리는 은퇴 3년 만인 1984년, 파킨슨병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했다.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한 병원이었다. ‘상대방을 KO시킬 뿐 아니라 눕히고 싶은 라운드를 자신이 정한다’던 알리도 죽음을 상대할 수는 없었다. KO패였다. 그의 나이 74세였다.
장례를 위해 고향인 캔터키 주로 시신을 옮겨야 했다. 알리의 장례식은 밥 거널이 총괄을 맡았다. 장례감독이었다. 알리의 가족과 측근들을 태운 전용기에서 알리의 죽음을 알렸다. 이 모든 시나리오는 장례 매뉴얼을 담은 ‘더 북(The Book)’에 들어있었다. 알리가 직접 계획한 것이었다. 장례의 하이라이트는 8만 8,000장의 장미꽃잎이었다. 운구차량의 레드카펫이 됐다. 이 역시 플로리스트인 매기 카사로가 기획한 ‘장례 프로젝트’의 일부였다.
한국이라면 어떨까? 장례의향서는커녕 유언도 없다. 영원히 살 것처럼 버티다 창졸간에 떠난다. 해맞이 달맞이는 있어도 죽음맞이는 없다. 미국 대통령은 취임하는 순간 ‘죽음계획’을 세운다. 대통령의 유고상황은 국가의 재난이기 때문이다. 대통령의 장례는 자신을 선출해준 국민과의 마지막 대화다. 그래서 엄중하다. 나라의 품격이 담긴다. 죽음이 그 나라의 역사가 되고 유산이 된다.
벤자민 프랭클린이 말했다. “준비의 실패는 실패의 준비”라고. 장례식이 그렇다.

만약 내게 장례감독의 기회가 주어졌다면 나는 장례의 주제부터 찾았을 것이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In this Earth in that Wind)>
이어령선생의 저작에서 따왔다. 한국문화의 본질을 파고든 명저다. 영어판으로도 나왔으니 해외의 인사들에게 까지 그의 죽음을 알리는데 이보다 좋을 수 없겠다. 제목에 담긴 은유는 많은 사유를 불러일으킨다.
장례의 성격은 주저 없이 ‘디지로그 장례’로 끌어낼 것이다. 생전에 선생께선 디지로그(digilog)를 이렇게 풀이했다.
“산동네 위의 집이라도 올라가는 방법이 다르지. 언덕으로 올라가면 동선이 죽 이어져서 흐르니 그건 아날로그야. 계단으로 올라가면 정확한 계단의 숫자가 나오니 그건 디지털이네. 만약 언덕과 계단이 동시에 있다면 그게 디지로그야.”(‘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중)
이를 내 방식으로 이해하면 ‘양자택일’(either or)의 모던(modern)을 ‘둘 모두’(both and)의 포스트모던의 사고로 전환시키라는 것 아닌가? 선생께서 즐기시던 기호학의 사고로 말하자면 뼈 속 깊이 박힌 전통 장례의 DNA를 바꾸어야 한다. 어떻게 하냐고? ‘DNA’를 거꾸로 쓰면 ‘AND’가 된다. 그 때 DNA조차도 바뀌는 기적을 경험할 수 있다.
선생은 이미 20대에 문학계에 풍지풍파를 일으킨 앙팡 테리블(enfant terrible)이었다. 그의 죽음과 장례는 천년의 한국 문화를 새롭게 일구는 아방가르드(avant-garde)여야 한다. 그래야 이어령답다. 나는 그것을 생전식(生前式)으로 요약하고 싶다. 살아 있는 동안 장례식을 미리 치루는 것이다. 엔딩 파티라 해도 좋다. 다른 사람은 몰라도 그가 했다면 우리 장례문화의 변곡점이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선생께선 죽음을 직감하고 기억나는 사람들을 한 명씩 불러 이야기도 나누었고 작별도 했다. 잠들지 못한 새벽녘에 전화도 거셨다. 그들을 불러 모아 하고 ‘안녕’의 작별인사를 나눈다. 스스로 장례 집전이다. 올림픽 기획보다 더한 한편의 장엄한 드라마다. 참석하지 못한 이들을 위해 온라인 송출을 한다. On-off다. 유튜브로 남긴다.
선생께선 김지수 기자에게 눈감기 전에 꼭 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고 했다.
오래 전, 숙명여대에서 강연을 하고 내려오던 때였다. 여학생 한 명이 발을 동동 구르며 주차장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었단다.
“추위에 얼굴이 파래져가지고, 나한테 꼭 할 말이 있다는 거야. 눈물이 그렁그렁해서 그러더군. ‘선생님, 돌아가시면 안 돼요!’
생뚱맞은 말에 나는 몹시 당황했네. 그래서 그만 차갑게 툭 던지고 말았지. ‘학생! 그게 뭔 소린가? 죽고 사는 문제를 어떻게 내 맘대로 하나?’”
선생은 오래 전에 스무 살이었던 그 여학생을 다시 만나 이야기를 해주고 싶다고 했다. 그때 그렇게 매정하게 떠나는 게 아니었다고. 30분 넘게 추위에 덜덜 떨며 당신을 기다리던 그 아이에게 이 말을 했어야 했다고.
“걱정하지 마. 나 절대로 안 죽어”
그 소녀를 초청해 이 말을 직접 들려주었다면 어땠을까? 이 때 선생의 죽음은 웰다잉(well-dying)이 아닌 힐다잉(heal dying)이 되었을 거다. 그리고 실제 장례식은 조용히 가족장으로 치르는 것이다. 완벽한 디지로그 장례다.

또 있다.
선생께선 프랑스 대혁명을 배경으로 한 <레미제라블>을 재해석한다. 주인공인 장발장을 구제한 것은 ‘자유·평등·박애’라는 거창한 혁명의 구호가 아니다. 인간에 대한 사랑이다. 혁명의 스토리가 아닌 사랑의 스토리라는 거다. 그는 생명과 사랑에서 새로운 자본주의의 미래를 찾아야 한다고 했다.
대표적인 것이 품앗이다. 어려울 때 함께 한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돌봄을 베푼다. 결혼식 때 축의금과 장례식 때의 부의금이 대표적이다. 한국의 가장 아름다운 전통이다. 생명 자본주의의 씨앗과도 같다. 선생은 ‘프랑스 대혁명을 비롯한 역사를 뒤흔드는 수많은 사건들이 있었지만 아직도 우리 주변에는 굶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고 했다.
장례식장에를 가면 품앗이가 사라진 경우를 종종 본다. ‘부의금은 사양합니다.’ 나도 모르게 뜨악하다. 마치 살만한 사람들의 허세처럼 보여지기도 한다. 차라리 ‘이번 부의금은 전쟁으로 피 흘리는 우크라이나의 어린 생명들을 위해 쓰겠습니다’고 하면 얼마나 좋을 것인가?
과거에 미래가 있다고 했다. 아날로그의 품앗이를 생명을 살리는 도네이션으로 끌어내면 이것이야말로 디지로그 장례가 아닐까? 내 생애 마지막 기부도 장기기증 못지않다.

장례 매뉴얼 <더 북(The Book)>에는 더 많은 디테일을 담고 싶다. 선생이 고르지 못한 마지막 음악은 지강유철에게 부탁할 것이다. 아마 오랫동안 관계를 가져서 가장 적절한 곡을 선택해 줄 것이다. 장례식장에는 모든 꽃 장식을 배제하고 굴렁쇠 하나 갖다 놓으면 되겠다. 그리고 추모테이블 하나 놓고 싶다. 선생이 쓰셨던 펜, 친필 메모지, 몇 가지의 애장품.... 오로지 이·어·령 이름 석 자만 떠오르는 기억의 장치를 만들 것이다.
방문객들에게는 소박한 선물 하나씩을 나누어 주고 싶다. 선생께서 쓴 ‘메멘토 모리’란 글씨가 새겨진 작은 병에 흙을 담아 건네는 거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장례, 다시 치를 수는 없을까? 나 혼자의 생각이다.

※ 드로잉은 정택영화백이 그린 것이다. 정화백 방식의 추모였다. 내겐 가장 정성스런 추모로 보였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스티그마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3.06 김신 / 송길원 목사님의 신선하고 창의적이면서 감동적인 생각.
    이어령박사도 아쉬워했을 장례식을 그리고 있습니다.
    언어의 마술사라고 하는 이어령 박사도 놀랄만한 언어의 마술을 봅니다.
  • 작성자스티그마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3.06 박상은 / 메멘토모리…. 늘 죽음을 준비하며 새로운 죽음문화의 변혁을 꾀하신 이어령장관님과 송길원동인을 응원합니다. 아울러 앰뷸런스 소원재단 이사장직을 수락하시고 함께 동역하는 김신 대법관님을 응원합니다. 예수시대가 생명문화와 죽음문화를 바꾸는 주축이 되길 기대합니다. 복된 주일 맞으세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