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성경일반

[스크랩] 예루살렘

작성자성령충만땅에천국|작성시간19.05.16|조회수75 목록 댓글 0

                 

 

A.성문과 성벽

성벽 둘레 길이는 약4,018m이고 34개의 탑과 24개의 망루(망대)가 있다.
-황금문: 조화롭게 꾸며졌기 때문에 붙여짐
-분문(오물문): 오물을 버리기 위해서 통하는 문이라 해서 붙임
-욥바문: 욥바로 향하는 문이라하여 붙여짐
-새문(New Gate) : 성 안의 기독교 지역과 성 밖의 기독교지역의 건물 사이를 용이하게 다니기 위해 개방되었다
-시온문: 시온산 쪽으로 난 문이라하여 붙여짐
-다마스쿠스문: 다마스쿠스로 통하는 문이라 하여 붙여진 가장 아름다운 문
-헤롯문
-사자문(스테파노문): 스테파노 순교한 근처라 하여 붙여짐
-다윗 망대
-통곡의 벽(서쪽벽)

 

3.성안토니아 성; BC22년 헤롯대왕이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며 쌓았던 성채.
마크 안토니(Mark Antony)의 이름을 본 따서 명명, 예수께서 본디오 빌라도에게 사형선고를 받은 곳으로 십자가의 길 출발점. 현재 이곳에는 아랍인 국민학교가 있음.

 

B. 성벽 안의 순례할 만한 곳

-황금돔(바위사원); 아브라함이 이삭을 바친 곳이요 솔로몬 성전이 있던 곳에 세워진 8각형의 황금색 등근 지붕의 회교 사원으로 691년 압델 말릭에 의해 세워짐

1. 엘악사 회교사원

5. 베데스다 연못

5. 성 안네(안나) 성당

6.에체 호모(Ecce Home)성당

7.8. 십자가의 길(Via Dolorosa, 1-14개처); 로마 총독인 빌라도의 관저에서 십자가에 달린 골고타까지 예수께서 십자가를 지고간 길로 14번 넘어진 곳마다 기념건물이 세워져 있다.
I처 :사형이 언도된 곳
Il처 :십자가를 진 곳
III처 :첫번째 넘어진 곳
IV처 :어머니를 판난 곳
V처 :시몬이 대신 십자가를 대신 진곳
VI처 :베로니카가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준 곳
VII처 :두번째 넘어진 곳
VIII처 :예루살렘 여인들에게 자신을 위해 울라고 말씀하신 곳
IX처 :세번째 넘어진 곳
X처 :옷을 벗기운 곳
XI처 :십자가에 못박힌 곳
XII처 :숨을 거둔 곳
XIII처 :십자가에서 내리운 곳
XIV처 :묻히시고 부활하심

 

9. 성묘성당(거룩한 무덤 성당)
-예수를 염했던 돌판
-예수의 무덤
-성 요한 성당와 성 미카엘 성당
-성 야고보 성당: 아르메니아 지역에 주의 형제 야고보와 요한의 형제 야고보의 이름을 따라붙임
-안나스의 집터 성당: 일명 올리브나무 수도원
-막달라 마리아 성당

 

10. 다윗 성채의 예루살렘 박물관

 

11. 다윗 성채

C.올리브산(Mt.Olive, 올리브산)지역
-올리브산은 예루살렘 동쪽에 이어져 있는 해발 825m정도의 산으로 다윗왕이 예배를 드린곳이며 솔로몬이 이방인 아내들을 위해 우상을 드린 곳이기도 하다.
예수께서는 이곳에서 습관을 좇아 기도하셨으며 승천하였다.

a. 마리아 무덤(Tomb of the Mary)성당: 4세기경 건축되었으나 614년 페르시아에 의해 파괴된 후 1112년 확장되었다.

1757년부터는 그리스 정교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b. 겟세마네 동굴

c. 겟세마네(만국) 교회

d. 예수 눈물 성당

e. 전망대

f. 주님의 기도 성당

g. 예수 승천기념성당(돔)

 

D.키드론 계곡 지역

h. 압살롬 기념비(Absalom's MonUment)혹은 무덤: 성밖 남동쪽에 있으며 다윗왕의 아들 압살롬의 죽음을 기념하기 위해 18.5m의 크기로 BC1세기경에 바위를 조각하여 만든 탑

i. 헤실 가족 무덤

j. 스가랴의 묘 유다왕 요아스가 죽인 스가랴 선지자의 무덤 (2역대 24:20-22)

-다윗성(City of David): 다윗시대의 예루살렘 성을 위미하며 시온성이라고도 한다. 모리아산에서 키드론 골짜기 서쪽 언덕을 따라 실로암못까지 이르는 지역을 말한다.

k. 기혼샘(Gihon Spring): 예루살렘 다윗 성에서 기드론 골짜기로 가는 곳에 있는 샘으로 수천년 동안 물이 끊이지 않는 수원지이다. 솔로몬은 이곳에서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았다. (1열왕1:45)

-히즈키야 터널(Hezekiah Tunnel): BC701년 히즈키야가 앗시리아 침략을 대비하여 당시 성벽 밖에 있는 기혼샘에서 성벽안의 실로암 못까지 물을 끌어오기 위해 533m의 바위를 뚫어 만든 수로이다. (2열왕20:20, 2역대32:30)

l. 실로암못(Siloam's pool): 기혼샘 물이 히즈키야 터널을 통해 흘러들어온 물저장지(느헤3:15, 사 3:6)로 예수님께서는 소경의 눈에 진흙을 발라 이곳에 가서 씻어 보게 하셨다. (요한9:7)

-워렌쉬프트(Warren's Shaft);성 안에서 성밖 기혼샘물 위에 수직으로 판통로(2사무5:8)
-아겔다마(Haceldama): 가롯 유다가 예수님을 팔고 받은 은30량을 버린 돈으로 이방인의 무덤을 사게한 장소로 전해지는 곳 이곳은 힌놈 골짜기와 기드론 골짜기가 만나는 곳으로 아랍 마을인 실완 지역 바로 아래에 있다. 현재 이곳에는 그리스 정교회 수도원이 있다.

 

E.시온산(Mt.Zion)지역
이곳은 제2성전시대에 예루살렘 윗쪽 도시 남단에 해당되는 지역이며 오늘날 시온문 밖에 있는 지역이다. 유다인에게는 성지를 일컫는 지명이기도 하다.

12. 베드로 통곡 성당(Church of St. Peter in Gallicantu): 마르26:34, 루카22:60-61

13. 프란체스코 수도회 소속 최후만찬 기념 성당 -가야바의 집터

14. 마리아 영면 성당(Dormition of theVirgin) 1906-1910년 성모 마리아의 운명한 장소에 세워짐

15. 다윗왕의 무덤과 미카의 다락방(마르26:17-19, 행2:1-4)

==================

 

var articleno = "7380288";  

십자가의 길 (비아 돌로로사) , 체포에서 장사까지의 길


예수가 로마 총독 빌라도의 법정에서 유죄판결을 받은 다음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갈보리)까지 걸어간 길이다. 사자문을 들어서면 성안나 교회가 있고, 바로 앞에 비아 돌로로사의 출발점인 '채찍질의 교회'가 있다. 매를 맞으며 걸어가던 예수가 수난을 당한 곳에는 모두 14곳에, 십자가의 길이라는 예배소가 설치되어 있고, 그 중 10~14번째는 성분묘 교회(예수님 무덤성당) 안에 있다.

십자가의 길 14처 지점

제1지점 : 빌라도 법정에서 예수가 재판을 받은 곳.

제2지점 : 예수가 가시관을 쓰고 홍포를 입고 희롱당한 곳.

제3지점 : 예수가 십자가를 지고 가다 처음 쓰러진 곳.

제4지점 : 예수가 슬퍼하는 마리아를 만난 곳.

제5지점 : 시몬이 예수 대신 십자가를 진 곳.

제6지점 : 성 베로니카 여인이 예수의 얼굴을 닦아준 곳.

제7지점 : 예수가 두번째로 쓰러진 곳.

제8지점 : 예수가 여인들을 위로한 곳.

제9지점 : 예수가 세번째로 쓰러진 곳.

제10지점 : 예수가 옷 벗김을 당한 곳

제11지점 :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곳.

제12지점 :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운명한 곳.

제13지점 : 예수의 시신을 놓았던 곳.

제14지점 : 예수가 묻힌 곳

십자가의 길 14처 지점

 

비아 돌로로사 시작 지점

 

1. 십자가의 길 제1처소- 빌라도 법정에서 예수가 재판을 받은 곳

안토니아 요새(빌라도법정, 안토니아 성)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위 사진은 현재 이스라엘 박물관으로 옮겨 놓은 제2성전시대 예루살렘 대성전 모형이다. 사각형 건물이 대성전이며 오른쪽 뒤쪽에 4개의 탑이 있는곳이 안토니아 요새이다. 헤로데(기원전 37-4년 재위)는 기원전 37년 예루살렘을 정복한 후, 한때 하스몬가의 요새가 있던 ‘바리스(성)’ 자리에 후원자 마르코스 안토니우스에게 경의를 표하여 기원전 31년에 가장 전략적인 자리인 예루살렘 대성전(현 회교 대사원) 북서쪽 즉 성전 벽의 모퉁이에 요새를 세우고 ‘안토니우스’에게 헌정하였기 때문에 ‘안토니아 요새’라고 부른다.

약 50m 높이의 암석 위에 세운 이 요새는 자연적인 방어 능력이 없는 성전 북쪽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하였고, 헤로데 군사들이 폭동을 일으키는 것을 감시하기 위하여 성전 뜰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도록 했다. 안토니아 요새는 내부 폭이 약 120×45m였고 스파르타식 군대 막사는 없었다.

군사용 부속건물 외에 호화스런 주거지와 목욕탕이 있었다. 요세푸스는 ‘그 장엄함이 마치 왕궁처럼 보였다’(유다 전쟁사 5.5.8)라고 보고한다.

이 성은 유다전쟁(66년)때 전소, 파괴 되었고, 70년 티투스 황제에 의해 완전히 사라졌다. 이 안토니아 요새 자리에는 현재 ‘엘 오마리에’ 아랍 초등학교가 들어서 있고, 바로 맞은편에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을 기억하는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수도원과 ‘’엑체호모 시온 수녀원 그리고 바로 그리스 정교회의 ‘예수님 감옥’ 수도원이 있다.

“그때에 총독의 군사들이 예수님을 총독 관저로 데리고 가서 그분 둘레에 온 부대를 집합시킨 다음, 그분의 옷을 벗기고 진홍색 외투를 입혔다. (마태 27,27-28)”

안토니아 요새(빌라도법정, 안토니아 성)


대제사장 가야바는 예수님을 심문한 후 장로들과 의논하여 결국 죽이기로 결정하고 사형 선고의 권한이 있는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끌고 갔고(마27:1-2), 빌라도는 망설이다가 군중들의 함성에 못이겨 사형 선고를 내리게 되었다. 빌라도의 법정이 어느 곳이었는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상반된 주장들이 있다.

그 중 당시 헤롯의 궁에 빌라도가 머물고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여 법정도 그 안에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과 당시 총독관저로 사용하던 하스모니아 궁전에 법정이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학자들에겐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지만, 의외로 공식적인 순례지로 정해진 곳은 예루살렘 성전 북서쪽 모퉁이 외곽에 위치해 있던 로마군 주둔지인 안토니오 요새이다.

이것은 1540년경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의해 정해진 것으로서 안토니오 요새로부터 골고다까지 약 340m의 거리를 예수님의 '십자가의 길'(Via Dolorosa - '슬픔의 길'이란 뜻)로 정하여 성지로 삼은 것이 오늘날까지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 온 것이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고 채찍을 맞으며 가셨던 그 길을 기념하기 위해 지금도 매주 금요일 오후 3시가 되면 빌라도 법정 자리였던 엘 오마리오 학교 마당에서부터 십자가 행진이 시작된다.

프란체스코 수도회 사제들이 주관하여 진행되는 이 행진 가운데는 종종 큰 십자가를 손수 메고 따라가는 순례자들도 눈에 띄인다. 십자가의 길에는 모두 14곳의 장소가 정해져 있는데 각 장소에 이를 때마다 잠시 머물러 성경을 읽고 기도를 한다. 제 1, 2 장소는 츨발점인 빌라도 법정에 있고, 제 10 - 14 장소는 골고다에 있는데 이곳엔 현재 성묘 교회가 위치해 있다

 

엘 오마리에 아랍 초등학교 (빌라도법정), 철책문 너머로 보이는 운동장이 공식적인 십자가의 길을 할때 1처가 시작되는 곳이다.

 

2. 십자가의 길 제2처소(선고교회) - 예수가 사형선고를 받으시고, 가시관을 쓰고, 채찍에 받으시며 홍포를 입고 희롱당한 곳

2 처

 

2처

 

엑체호모(에케호모) 아치, “자, 이 사람이오”(라틴어로 Ecce Homo) "


1855년 예루살렘에 온 라티스본 신부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기억하게 하는 ‘엑체호모 아치’를 보고 크게 매료 되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이 ‘엑체호모’ 아치가 그리스도께서 빌라도의 병사들에게 ‘채찍질을 당하고 나서 가시나무 관을 쓰시고 자주색 옷을 입으신 채 밖으로 끌려 나왔고’(요한 19,1-5참조), 이 때 빌라도는 군중들에게 예수님을 보이며 “자, 이 사람이오”(라틴어로 Ecce Homo) 라고 말하였던 곳이라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1857년 아치와 폐허가 된 북쪽의 땅을 시온 수녀회의 부지로 구입하였고, 1868년 수도원과 성당을 완공하였다. 시온 수도회에서는 1931-33년과 1934-37년 두 차례에 걸쳐 고고학 발굴을 하였는데, ‘아치’(요한 19,5)와 석판으로 깔린 포장도로인 ‘리토스트로토스’(요한 19,13)를 발굴 하였고, 이곳이 바로 안토니아 요새가 있었던 빌라도 총독의 법정자리(마태 27,2)라고 확신 하였다.

 

에케호모수도원 지하실 입구 '리토스트로토스' 안내판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빌라도는 예수님을 심문하고 아무런 죄목을 찾지 못하였지만 성난 군중들의 성화에 못 이기고 결국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리토스트로토스’라고 하는 재판석에서 예수님을 넘겨 주었다. “빌라도는 이 말을 듣고 예수님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 리토스트로토스라고 하는 곳에 있는 재판석에 앉았다. 리토스트로토스는 히브리 말로 가빠타라고 한다.(요한19:13)”

 

'리토스 트로토스'(Lithos Trotos)


'돌 판'이란 뜻으로 로마시대에 도로나 광장을 조성하기 위해 바닥에 깔았던 큰 돌 판을 말한다. 요한복음 19장 13절에 보면 빌라도가 예수님을 재판할 때 박석(히브리 말로 '가바다')이란 곳에서 재판석에 앉았다고 했는데 이 박석이 곧 리토스 트로토스이다. 오늘날 빌라도 법정 자리에 위치해 있는 시온 수녀원 지하에는 발굴된 돌판 바닥의 일부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사람이나 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홈을 파놓은 것과 로마군인들이 장난으로 새겨놓은 장기판 등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

 

'리토스 트로토스'(Lithos Trotos)

 

'리토스 트로토스'(Lithos Trotos) , 예수님 십자가 성화

 

작은형제회 수도원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겟세마니 동산에서 성 스테파노 게이트(사자 게이트)를 통과해서 조금 걷다보면 오른쪽에 작은형제회 수도원이 나온다. 이곳은 현지인들에게 ‘그리스도의 감옥’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곳인데 수도원 안에는 ‘채찍성당’과 ‘사형선고 성당’이 있고 1927년에 설립된 ‘프란치스칸 성서대학’과 박물관이 있다.(현재 ‘그리스도의 감옥’이라고 부르는 곳은 조금 더 지나 시온 수녀원 건물과 맞닿아 있는 곳에 그리스 정교회에서 기념 성당을 가지고 있다.)

 

채찍성당

 

작은형제회 수도원을 들어가서 오른쪽 작은 건물이 '채찍성당' 이다. ‘채찍 성당’은 예수님께서 채찍을 맞으셨다고 전해져 내려오는 곳 위에 지어졌다. 중요한 유적들이 남아 있는 이 중세풍의 성당은 한때 마구간(1618년)이었고 직물점이기도 했다가 그 후에는 폐허로 남아 있다가 1838년 이집트 출신 작은형제회원인 이브라힘 파샤(Ibrahim Pasha)가 ‘바비에른’의 공작인 ‘막시밀리안’(Maximilian, Duke of Bavaria)이 기증한 돈으로 이 땅을 구입하였고, 1839년 예배의 장소로 복원 하였다. 그 후 1927-29년에 12세기 풍으로 완전히 새롭게 재단장 하였다. 채찍 성당에서 두드러진 것은 제대를 중심으로 3개의 창문이 있는데 ‘채찍질을 당하는 예수님’(마태 27,26), ‘손을 씻는 빌라도’(마태 27,24) 그리고 바라빠의 승리’(마태 27,21)가 색유리로 묘사되어 있다.

“그래서 빌라도는 바라빠를 풀어 주고 예수님을 채찍질하게 한 다음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넘겨주었다. (마태 27,26)”

채찍성당 출입문, 채찍

 

채찍 성당내부

 

채찍 성당내부 제대 위 중앙 쿠뽈라

 

채찍 성당내부 감실, 가시관을 쓰신 예수님

 

채찍성당 제단 중앙의 유리화


돌기둥에 묶여 채찍질을 당하는 예수님’(마태 27,26), 이 돌기둥의 일부는 현재 무덤성당 발현경당 오른쪽에 모셔져 있다

사형선고 성당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채찍 성당’을 나와 회랑을 조금 걷다보면 왼쪽에 있는 것이 ‘사형선고 성당’이 있다. 이 성당은 ‘리토스트로토스’가 시작되는 곳으로 예수님께서 사형선고를 받은 후 십자가를 짊어지고 십자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 곳이다. 사방 10m의 정사각형의 구조인 성당은 1903-4년에 작은형제회 고고학자인 벤데린 기에르릭(Br. Vendelin Gierlich of Mandel)이 발굴 작업을 하였는데 성당 동쪽 끝에 내민 반원 부분에 비잔틴 시대의 유적이 남아 있다. 그리고 폐허가 된 이곳에서 이슬람 사원의 미랍(무슬림들이 기도할 때 메카를 향해 기도하는데, 방향을 알려주는 움푹 파인 형태의 구조물)이 발견되어 한때 이곳에 작은 이슬람 사원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사형선고 성당 중앙제대


제대 중앙에는 빌라도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내어주며 손을 씻는 장면이고, 제대 왼쪽은 예수님께서 가시관을 쓰시고, 결박당한 채 끌려가는 모습이며, 제대 오른쪽은 십자가를 짊어지고 십자가의 길을 걸으시는 예수님이시다. 성당 입구에서 바라보이는 정면은 십자가의 길 4처에서 성모님과 예수님의 만남을 묘사하고 있다. 제단 정면 양쪽에 있는 예수님 상 아래에는 비잔틴 시대의 성당 유물을 볼수있다.

 

제대 중앙에는 빌라도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내어주며 손을 씻는 장면

 

예수님께서 걸어 내려오고 있는 계단은 '거룩한 계단'(Santa Scala)라고 합니다. 이 계단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어머니인 헬레나 성녀에 의해서 로마로 옮겨갔고, 현재는 라떼라노 대성전 옆에 위치한 '싼타 스칼라'(Santa Scala) 성당에 모셔져 있습니다. 싼타 스칼라 성당을 순례할땐 아래 계단부터 28개가 되는 계단을 무릎을 꿇고 올라가는것이 순례 전통입니다.

“빌라도는 더 이상 어찌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폭동이 일어나려는 것을 보고, 물을 받아 군중 앞에서 손을 씻으며 말하였다. ‘나는 이 사람의 피에 책임이 없소. 이것은 여러분의 일이오.’” (마태 27,24)

 

제대 왼쪽, 예수님께서 가시관을 쓰시고, 결박당한 채 끌려가는 모습

 

제대 오른쪽, 십자가를 짊어지고 십자가의 길을 걸으시는 예수님

 

3. 십자가의 길 제3처소- 예수가 십자가를 지고 가다 처음 쓰러진 곳

 

3처

 

3처

 

3처, 예수께서 첫번째로 쓰러지신곳

 

3처

 

제 3처소 기념 교회의 내부

 

밤새 심문을 당하신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시고 쓰러지실 때 안타깝게 바라보고 있는 천사들의 모습의 성화가 교회 정면에 그려져 있다. 십자가의 무게보다 더 무거운 것은 우리들의 죄로 인한 무게였으리라

 

4. 십자가의 길 제4처소 - 예수가 슬퍼하는 마리아를 만난 곳

4처

 

4처

4처

4처

4처

 

이 곳은 인류의 죄를 속하기 위해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님께서 어머니 마리아를 만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881년에 교회를 만들었고 입구에 예수님과 마리아의 만남을 조각해 놓았다.

 

5. 십자가의 길 제5처 - 시몬이 예수 대신 십자가를 진 곳

 

5처

5처

 

이 곳은 골고다를 향해 올라가는 시작지점이다. 이 지점에서 구레네 사람 시몬이 예수님의 십자가를 대신 지고 간다(마 27:32, 눅 23:26). 이 교회는 1895년 카톨릭에 의해 지어졌다

 

5처

5처

 

회내부에는 구레네 사람 시몬이 예수님을 대신해서 십자가를 지고있는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우리의 죄는 이미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므로 다 속량을 받았다. 이젠 우리에게 남겨진 것은 우리도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기쁨으로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아야할 것이다

 

6. 십자가의 길 제6처 - 성 베로니카 여인이 예수의 얼굴을 닦아준 곳

 

 

제 6처 (출처- http://blog.daum.net/wonsunbe)

 

이 곳은 예수님께서 피와 땀을 흘리며 골고다 언덕을 올라가고 계실 때 베로니카라는 여인이 얼굴의 피와 땀을 닦아 준 것을 기념하는 자리에 1895년 비잔틴 시대의 수녀원이 세워졌다

 

6처

 

수녀원 안에 모습이다.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준 이 여인에 대해서는 그 이름이 밝혀지지 않지만 열두 해 혈루증을 앓다가 예수님의 옷자락을 만지고 나음을 입은 여인(막5:25-34)이라고 전해져 내려온다

 

7. 십자가의 길 제 7처소- 예수가 두번째로 쓰러진 곳

 

7처

 

예수님은 이곳에서 두번때 쓰러지신다. 지금 있는 건물은 1875년에 카톨릭에서 구입하여 Schoolof the Arts and Crafts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가 예수님시대에 예루살렘성의 서쪽 문이 있는 곳이다. 이곳을 나가면 서쪽 영문밖이 된다. 그 곳에 골고다 언덕이 있었다

 

7처소 교회안의 모습

 

이제 성밖으로 나가게 된다. 여기서 다시 쓰러지심은 예수님을 성밖으로 내치는 상황이었을까? 쓰러지신 예수님이 조각되어 있다.

 

8. 십자가의 길 제8처소- 예수가 예루살렘 여인들을 위로한 곳

 

8처,

 

이 지점은 돌벽에 라틴 십자가와 희랍어로 "NIKA = 예수님은 승리하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예수님께서 슬피울며 따라오는 여인들을 향하여 말씀하신 곳을 기념하는 곳이다. 지금은 희랍 정교회 벽으로 되어있다.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하여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를 위하여 울라...."(눅23:28-31)

 

8 처소

8처, 예수님의 손 바닥 자국 (출처- http://blog.paran.com/)

 

9. 십자가의 길 제9처소- 예수가 세번째로 쓰러진 곳 (기독교구역)

9 처소

골고다 언덕의 정상을 바라보는 곳에서 다시 3번째로 쓰러지신다. 지금은 애굽의 콥틱교회가 자리잡고 있다

 

9 처소

9 처소

 

<10. 십자가의 길 제10- 11처소, 성묘교회 내부>

 

요 19:16-18

무덤 성당 정문과 광장


오늘날 순례자들은 무덤성당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지만, 이슬람이 통치하던 1187-1832년에는 항상 닫혀 있었다. 현재 광장에서 볼 때 오른쪽에 있는 문은 아예 봉해져 있는데 1187년 예루살렘을 접수한 살라딘은 성당에 들어가는 그리스도 신자들의 수가 많지 않다는 이유로 모든 문들을 폐쇄하고 하나의 문만을 남겨 놓고 순례자들로부터 성지순례 세금을 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1246년부터는 두 이슬람 가정에 무덤 성당 열쇠를 맡겼는데 한 집은 성전 문을 열고 닫는 권한을 그리고 다른 한 집은 성전 문의 열쇠를 보관하는 권한을 주었다. 이것은 현재도 유효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리스도교 종파들이 내부 성전의 소유권과 관할권을 놓고 다툼하고 있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열쇠를 가지고 있는 이슬람 신자가 실질적인 무덤 성당의 주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성당 문을 들어서서 바로 오른쪽. 오른쪽 보이는 계단이 골고타로 오르는 계단(왼쪽 문은 골고타 언덕의 아래로 아담경당으로 들어가는 문)

 

왼쪽 벽면쪽에 나 있는 골고타에 오르는 계단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출입문쪽 오른쪽에 보이는 그 계단 - 골고타에 오르는 계단, 계단 출입구 중앙 위쪽엔 성지관구 십자가

 

십자가의 길 제 10처와 11처 (예수님께서 옷벗김을 당하시고, 못 박히신 곳) : 가톨릭 소유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다. 망나니에게 사형 집행을 선고하면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망치를 내려친다. 이 지점은 카톨릭 소속이며 제단 오른편 프란시스코 수도회 예배당 앞의 성화엔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님을 슬픈 눈으로 내려다 보는 성모 마리아 모자이크가 보인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곳이다.

비아돌로로사 제11지점에 세워진 성묘교회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장소와 십자가에서 숨을 거두신 장소가 구별되어 있다.

이 성화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장소를 기념, 그곳 벽에 그린 작품이다. 원래 이 성화는 초록색이 감도는 은은한 색을 띠고 있다. 작가는 예수님의 몸에 못이 박히는 고통을 지켜보아야 하는 자신의 아픔을 표현하고 싶었는지 예수님의 거룩한 보혈을 상징하는 빨간 색으로 성화 위에 옷을 입혔다

[변승우의 기독교 성지순례]

 

십자가의 길 제 10처와 11처

십자가의 길 제 10처와 11처

십자가의 길 제 10처와 11처

십자가의 길 제 10처와 11처 제대 왼쪽 통고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제대


11처와 12처의 사이에 있는 성모님상으로 1778년 포르투갈에서 통고의 복되신 동정녀께 봉헌하였다. (루가 2,35 : 그래서 당신의 영혼을 칼이 꿰뚫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많은 사람들의 속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 매주 금요일엔 골고타 위에서 성대한 미사(미사 깐따따)가 봉헌되는데 격주로 한번은 십자가 신비 기념 미사, 다른 주엔 통고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 미사가 봉헌된다. 통고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제대는 가톨릭 소유이다. (글, 아래 사진 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10처와 11처 오른쪽 벽면의 모자이크(아브라함의 제사-이사악을 제물로 바치는)

 

10처와 11처의 오른쪽 벽면 벽화 : 예루살렘의 여인들

 

12. 십자가의 길 제12처소-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운명한 곳

 

골고타. 12처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 12처의 자리는 그리스 정교회의 소유이다.

 

골고타. 12처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

 

골고타. 12처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

 

골고타. 12처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

 

골고타. 12처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

 

골고타. 12처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

 

제대 왼펀 성모 마리아

제대 오른쪽 세례요한

12처 제대 (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12처 제대

 

12처, 십자가가 세워졌던 바위 구멍 (출처- http://blog.paran.com/)

 

12처, 둥근 원 안을 통해 예수님의 십자가가 세워졌던 골고타의 바위를 만져볼 수 있다.

 

제 육시쯤 되어 해가 빛을 잃고 성소 휘장이 한 가운데가 찢어졌다.(눅 23:44-45) 그리고 땅이 진동하며 바위가 터지고 무덤들이 열였다. 이러한 일련을 사건을 보여주기 위하여 갈라져 있는 바위를 유리로 덮어서 보여주고 있다.

 

<13. 십자가의 길 제 13처소- 예수의 시신을 놓았던 곳>

 

13처, 성묘교회 내부, 예수님의 시신을 내려서 세마포로 싸고 향료를 바르고 무덤으로 안치시키는 성화 모자이크이다

 

십자가에서 운명하신 예수님의 시신을 아리마대 요셉이 요청하여 달아 내린 곳이다. 십자가의 사형은 오랜시간 동안 물과 피를 다 쏟고 고통을 당하면서 죽음을 받이하는 형벌이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사형을 당하신 날이 유월절 금요일이기 때문에 유대인들의 큰 명절이다. 이 명절이 오면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아직 숨을 거두지 않은 사형수는 그 뼈를 부러뜨려 목숨을 끊어 놓는다. 빨리 장례식을 치루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미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서 운명하셨다. 이는 성경을 이루기 위함이라고 말씀하신다. "그 뼈가 하나도 꺾이지 아니하리라"(요 19:36)

 

13처

13처

13처, 예수님의 시신을 내려서 세마포로 싸고 향료를 바르고 무덤으로 안치시키는 성화 모자이크이다

13처, 예수님 성시를 염한곳

13처, 예수님 성시를 염한곳

13처, 예수님 성시를 염한곳

13처, 예수님 성시를 염한곳

13처, 예수님 성시를 염한곳

13처, 예수님 성시를 염한곳

13처

14. 십자가의 길 제14처소 - 성묘교회 (Church of the Holy Sepulcher)

예수님 무덤


예수님께서 묻히신 곳은 골고타 근처에 있는 정원의 새 무덤이었다(요한 19,41-42). 그 무덤은 바윗돌을 깎아서 만든 것으로서 무덤 입구에는 커다란 석문(굴려서 입구를 막을 수 있는 둥형의 문)이 놓여져 있었다. 그 무덤의 주인은 당시 유다 최고의회의 의원인 아리마태아 출신 요셉이었다(마르 15,43; 루가 23,50). 그는 예수님을 몰래 따르던 자였고(마태 27,57; 요한 29,38), 동료 니고데모와 함께(요한 19,39) 예수의 시신을 무덤에 안치하였다(마태 27,58-60; 마르 15,46; 요한 19,38-40). 예수님의 무덤은 커다란 석문으로 굳게 닫혀졌고, 경비병은 그 무덤을 지키고 있었다(마태 27,62-66). 그러나 안식일 다음 날 무덤에 가서 봤더니 굳게 닫혀진 석문은 열려 있었고, 그 무덤 안은 텅 비어 있었으며, 부활하신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나타났다(마르 16,1-8; 마태 28,1-10; 루가 24,1-12; 요한 20,1-10). 골고타는 예수님 당시에 성벽 밖의 불모지였고, 주로 무덤들이 즐비해 있었다고 한다. 골고타와 예수님 무덤의 원래 모습이 사라진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 예루살렘을 정복한 로마의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명에 의해 골고타 언덕은 깎여지고 메꾸어져(135년) 그 위에 로마 신전과 쥬피터와 비너스 상이 세워졌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어머니인 헬레나 성녀는 324년 예루살렘으로 성지순례를 왔고, 쥬피터와 비너스 신전이 자리하고 있는 곳이 골고타와 예수님의 무덤이라는 이야기를 전해듣고, 황제에게 도움을 청한다. 그 후 326년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명에 의해 신전은 헐리고, 예수님의 무덤이 발굴하여 기념 성전을 세웠다. 그 후 614년 페르시아군에 의해 기념성전은 파손되었고, 629년 보수되었지만 1009년 카이로 출신 칼리프 엘 하킴에 의해 산산조각이 나버렸다. 이것은 십자군 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십자군에 의해 성전은 보수 및 개조되어(1149-1180년) 오늘날 성전의 모체가 되었으며 이후 예수님 부활성당에서 무덤성당으로 명칭이 바뀌게 되었다. 1545년 지진으로 인해 종탑을 비롯하여 상당한 많은 부분이 파손되었고, 1917년과 1728년 두 차례에 걸쳐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였으나 1808년 화재로 인해 많은 부분이 타버렸다. 이때 유럽은 나폴레옹의 전쟁시기라 라틴교회는 성전을 보수하기 위한 여건이 좋지 않았던 반면, 그리이스 정교회 측에서는 러시아로부터 경제적 원조를 받고 오스만 터키의 외교정책을 힘입어 성전을 보수하고 보수한 부분을 자기들의 소유로 만들었다. 이 당시가 성전의 소유권을 놓고 치열하게(?) 각축전을 벌이던 시기였다. 그 후 1834년 지진으로 성전은 다시 많은 부분이 파손되었으며, 라틴교회와 정교회가 공동으로 성전을 보수하였으나 1927년 지진으로 다시 많은 부분이 파손되었다. 그 후 1959년 라틴, 아르메니아, 정교회가 합의하여 1961년부터 재건 및 보수가 되었다. (글 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2층 수도원 회랑에서 바라본 무덤성당 (순례객들은 1층에서만 볼 수 있음)

무덤성당 무덤 바로 위 탑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무덤성당 무덤 바로 위 탑

무덤의 뒤쪽에서 성전 중앙 경당을(그리스 정교회 소속) 바라보고

예수님 무덤 정면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예수님 무덤

예수님 무덤

예수님 무덤 초, 가톨릭 교회 소유

예수님 무덤 초, 아르메니안

14처, 무덤 정면에 켜져 있는 초들은 맨 아래가 그리스 정교회, 가운데가 아르메니안 그리고 제일 위쪽이 가톨릭 교회 소유

14처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가운데 공간에 탁자처럼 보이는 것은 예수님의 무덤을 막았던 돌의 조각이다. (윗부분 일부) 첫번째 공간이 천사들이 나타난 곳, 그리고 그 안쪽이 실재 무덤이다

<천사들의 경당- 예수님의 실제 무덤 입구>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천사들의 경당 안 모습

예수님 무덤을 막았던 커다란 석문(굴려서 입구를 막을 수 있는 둥군형)의 일부분

예수님 무덤을 막았던 커다란 석문(굴려서 입구를 막을 수 있는 둥군형)의 일부분

<실제 예수님 무덤- 천사들의 경당 안쪽>

예수님 무덤 안, 정면 (중앙-그리스 정교회, 좌측-가톨릭, 오른쪽 - 아르메니아 정교회)

그리스 정교회 이콘 (중앙)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가톨릭의 예수님 부활 (좌)

아르메니아 정교회 (우)

무덤 위에 켜져 있는 등불

무덤 안쪽, 성모님 이콘

촛대가 놓여 있는 곳이 시신을 놓았던 곳

촛대가 놓여 있는 곳이 시신을 놓았던 곳

촛대가 놓여 있는 곳이 시신을 놓았던 곳

촛대가 놓여 있는 곳이 시신을 놓았던 곳

촛대가 놓여 있는 곳이 시신을 놓았던 곳

무덤안에서의 기도 (글, 사진출처- http://blog.daum.net/terrasanta/17464788)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창골산 봉서방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