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꿀송이보약큐티

꿀송이보약큐티 / 23년 10월29일 : 요한복음 19장~21장.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작성자스티그마|작성시간23.10.29|조회수33 목록 댓글 0

<꿀송이 보약큐티 1년 1독 성경통독학교, 23년 10월29일(주일)>

*오늘의 읽을 말씀: 요한복음 19장~21장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묵상자료

1.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요19장)


“예수께서 그 모친과 사랑하시는 제자가 곁에 섰는 것을 보시고 그 모친께 말씀하시되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하시고 또 그 제자에게 이르시되 보라, 네 어머니라 하신대 그 때부터 그 제자가 자기 집에 모시니라.”(요 19:26-27)

여기서 우리는 자녀로서 부모에 대한 효도의 모범을 보여주는 완전한 분을 본다. 주 예수께서는 하나님 아버지께 대한 교제와 인간에 대한 효도의 의무를 온전히 수행하심으로써 자신의 완전성을 입증하셨다. 십자가에서 우리는 그 모친께 대한 주님의 친절한 염려와 걱정을 본다. 그리고 이 점에서 우리는 인간의 도리와 은혜의 계명에 따라 자녀가 부모에게 어떻게 효도를 다 해야 할 것인가를 가르치는바 모든 자녀들이 마땅히 본받아야 할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을 대하게 된다.

구약의 십계명은 신약의 가르침 속에 낱낱이 다 포함되어 있다. 출애굽기 20장 12절 말씀은 에베소서 6장 1-3절의 “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 계명이니 이는 네가 잘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하는 말씀과 관련되어 있다. “공경하라”는 말은 순종 이상의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시간이 감에 따라 자녀들은 성숙한 어른으로 자라난다. 그래서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처리하게 되며 부모의 다스림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아직도 이들은 부모를 공경할 의무를 짊어지고 있다. 이들은 평생 갚아도 다 갚지 못할 빚을 그 부모들에게 지고 있다. 이들이 부모에 대하여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일은 부모를 가장 윗자리에 모시고 존경하며 섬기는 것이다. 완전하신 모범자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우리는 그 순종과 존경심을 둘 다 찾아볼 수 있다.

어린 시절에 소년 예수는 그의 모친 마리아와 그의 법적인 부친 요셉의 감독하에 있었다. 열두 살이 되던 해 유월절에 그 부모는 소년 예수를 데리고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갔다. 그 장면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중요한 의미가 함축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가 있다. 유월절 절기를 마치고 요셉과 마리아는 이웃들과 함께 나사렛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이 때 요셉과 마리아는 예수가 자기들과 함께 있겠거니 생각하였다. 그러나 예수는 그 일행 중에 있지 아니하고 예루살렘 성전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하룻길을 간 후에야 예수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즉시 부모는 오던 길을 되돌아 예루살렘에 가보니 예수는 성전에 있었다. 그 어머니는 예수에게 “아이야, 어찌하여 우리에게 이렇게 하였느냐! 보라, 네 아버지와 내가 근심하여 너를 찾았노라!”(눅 2:48)고 말하였다. 마리아가 예수를 그처럼 “근심하여” 찾았다는 사실은 예수께서 그 모친 마리아의 보호구역 밖에 나가신 일이 거의 없었다는 것을 강력히 지지하여 주고 있다. 즉시 곁에서 예수를 찾을 수 없었던 것은 마리아에게 있어서 하나의 생소하고 이상스런 경험이었다. 요셉의 도움을 받아 마리아가 “근심하여” 예수를 찾았다는 사실은 나사렛의 가정에서 이들 식구들 사이의 아름답고 화목한 분위기를 잘 나타내어 주고 있다!

어머니의 질문을 곧 알아듣고 예수께서 대답하신 말씀은 또한 그가 어머니를 얼마나 순종하며 섬겼는지를 나타내어 주고 있다. 주님은 마리아에게 “어찌하여 나를 찾으셨나이까? 내가 아버지 집에 있어야 될 줄을 알지 못하셨나이까?”(눅 2:49)라고 대답하였다. 여기서 강조점은 “알지 못하셨나이까?”에 놓여 있다. 그것은 마치 예수께서, “어머니, 어머니께서는 분명히 아버지의 일 외에는 나를 이처럼 지체하게 만들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아시고도 남음이 있을 만큼 나를 잘 알고 계시지요?” 하고 말씀하신 것과도 같다. 그 뒤의 결과도 마찬가지로 아름다웠다. 우리는 누가복음 2장 51절에서, “예수께서 한가지로 내려가사 나사렛에 이르러 순종하여 받드시더라”하는 말씀을 본다.

그런데 주께서 그 모친께 하신 말씀 중에 우리가 생각하고 넘어가야 할 말이 하나 있다. 주께서는 그 모친 마리아를 부르실 때, “여자여”라는 호칭을 사용하셨다. 네 복음서들 가운데서 주께서 마리아를 “어머니”로 부르신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그것은 우리 주님께서 전지전능하신 지혜로 수 세기 앞을 내어다 보셨기 때문이었다. 오늘날 천주교에서는 있어서는 안 될 끔찍한 마리아 숭배가 자행되고 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는 이러한 일을 미리 내어다 보시고 이 어리석은 일을 막기 위하여 “어머니” 대신에 “여자여”라는 호칭을 사용하셨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우리 주님이 십자가 위에서 그 모친 마리아를 사랑하시는 제자에게 부탁하신 일은 그 모친이 과부가 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주님은 창조주의 권능을 가지신 하나님의 아들이셨지만 자신의 육신의 부친이 죽을 때 나사로를 살리신 것처럼 살리시지 않았다. 주님은 하나님 아버지의 뜻이 아니면 결코 그 힘을 함부로 사용하지 않으셨다. 우리가 예수님의 부친 요셉이었다면 아들 예수를 빙자하여 큰 영광을 얻으려 시도할 지도 모른다. 우리는 예수님을 섬기면서 헛된 세상 영광을 꿈꾸어서는 안 된다. 아멘.


https://youtu.be/ONa_Q6U27NU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