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회원사랑방

얼씨구(蘖氏求), 절씨구(卍氏求)

작성자이수부|작성시간22.03.17|조회수31 목록 댓글 0

얼씨구(蘖氏求), 절씨구(卍氏求)

 

역사상 900여회나 되는 외세 침략을 받았는데,
한번 전쟁을 치르고 나면 전쟁에 나간 남자들은

거의 씨가 말라버릴 정도로 많이 죽었지요.

 

그러다 보니 졸지에 과부가 된 여자들과 과년한 처녀들은
시집도 못가고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을 수가 없었답니다.

어디를 간다 해도 쉽게 씨를 받기가 어려웠던 거지요.

 

그래서 한이 맺혀 하는 소리가 있었으니, 그 소리가 바로
“얼씨구 절씨구 지하자 졸씨구'' 였다고 합니다.

 

그 말뜻은
■얼씨구(蘖氏求) : 세상에서 가장 멸시 당하는 서자(庶子) 의 씨라도 구해야 겠네.

■절씨구(卍氏求) : 당시 사회에서 천노(賤奴)였던 중의 씨라도 받아야 겠네.

■지하자 졸씨구(至下者 卒氏求) : 가장 낮은 졸병의 씨라도 구해야 겠네.

 

이렇게 남자의 씨를 구하고자 했던 아픈 사연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한자 원문을 풀이해 보면 다음과 같다고 이야기합니다.

■얼씨구(孼氏求)란?
•얼(蘖): 첩자식 얼(서자=庶子)

•씨(氏) : 성씨

•구(求) : 구할 구, 구걸할 구,
짝 구, 찾을 구, 바랄 구 우리나라의 가족사에 서얼 (庶孼)이란 말이 있어요.

서자(庶子)와 얼자(孼子)를 합친 말이지요. 서자(庶子)는 양반의 남자가
양가나 중인의 여자를 첩으로 얻어 낳은 자식을 말하며,
얼자(孼子)란 천민의 여자로부터 얻은 자식을 말합니다.

 

그러니 천대받는 서얼(庶孼)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지요.

■또 절씨구(卍氏求)란 절깐에서 씨를 구한다는 의미이니 중의 씨를 구한다는

뜻인데 당시 승려는 사노비(私奴婢)와 백정, 무당, 광대, 상여꾼, 기생(妓生),

공장(工匠)과 함께 팔천(八賤)이라 하여 천민(賤民)에서도 최하위 천민에 속해 있었지요.

그래서 천민에 속해있는 중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되지요.

 

지하자졸씨구(至下子卒氏救) 는
•지(至) : 이를지, 지극할지,
•하(下) : 낮을 하, 아래 하.
•자(者) : 놈 자
•졸(卒) : 종 졸

세상에서 가장 바닥생활을 하던자로 어딘가 모자라고 신체적으로 불구(至下子)인

들은 전쟁터에 나가는 최하위 졸병들의 수발을 들며, 허드레 막일을 하던 사람들

이었답니다. 한마디로 병신(病身)인 졸병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라 합니다.

 

아마도 전해지는 일본의 ' '기모노 내력'''과 비슷한 시대였다고 생각됩니다.

우린 각설이 타령에 이런 가슴 아픈 의미가 숨어 있는지도 모르고, 그저 각설이 타령은 거지들이 구걸하는 모습으로만 알고 있었으니 실로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더 나아가 술자리에서 건배를 하며 태평성대를 즐기는 듯
‘얼씨구 절씨구 지하자 좋다’하면서 술을 마시고 춤을 추고 있었으니
이 일을 어찌하면 좋을런지요?

 

우리의 가슴아픈 역사 이거늘~✒ 옮긴 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