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회원사랑방

구시화문(口是禍門)

작성자이수부|작성시간22.04.06|조회수9 목록 댓글 0

구시화문(口是禍門)

입(口)이란 무엇인가 ?
입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구이다.
입을 통해서 밥도 먹고 과일도 먹고 고기도 먹고 술도 마신다.

음식물이 입에 들어가야 사람은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사람이 먹는 음식물이 어디서 왔는가를 따져보면 땅에서 나온것들이다.

인간이 먹는 음식물이란 땅의 地氣를 받고 자란 것들이다. 이렇게 보면 입은 地氣가 들어가는 곳이다.
그러면 天氣가 들어가는 곳은 어디? 코(鼻)다.

사람은 코를 통해서 산소를 흡입 한다. 산소는 바로 천기가 아닌가,

천기를 흡입하는 코와 地氣를 섭취하는 입의 사이에 있는 부위가 바로 人中이다.

사람의 가운데란 뜻이다.이 부위가 人中이라는 이름이 된 이유는 천기와 지기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인중 위쪽으로는 구멍이 2개씩이다. 콧구멍도 2개, 눈도 2개, 귓구멍도 2개이다.

2라는 숫자는 동양의 象數學에서 陰을 상징한다.

그런데 인중 밑으로는 구멍이 한 개 씩 이다.
입도 1개, 배꼽도 1개, 항문도 1개, 尿道도 1개, 産道도 1개다. 1 이라는숫자는 陽을 상징한다.

또한 2개 즉 음은 많이 쓰라는 것이다. 냄새 잘 맡아보고 열심히 살펴보고 잘 귀담아 들어야 하고

1개는 아껴 쓰고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중을 중심으로 위로는 음이 아래로는 양이 배치되어 있는 상황이다.
여기서 입의 위치를 다시 살펴보면 인중 아래로 陽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인체의 陽은 입에서부터 비롯된다.

달리 표현하면 인간 만사가 입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의미다.

입에서 먹을 것과, 복도 들어오지만 禍()도 들락거리는 門이다.

말을 잘못하면 재앙이 들어온다. 그래서 口是禍門 이라는 말이 나왔다.

입은 禍가 들어오는 門이라는 의미이다.
고금의 역사를 보면 말로 인해서 재앙이 초래된 경우가 많다.

心深滄海水(심심창해수) 口重崑崙山(구중곤륜산) 이라는 말이 있다.
"마음 씀씀이는 창해수 처럼 깊어야 하고 입은 곤륜산 처럼 무거워야 한다" 라는 말이다.

 

口是禍之門이란?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다.”라는 뜻으로 全唐書(전당서) 舌詩篇(설시편)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당나라가 망한 뒤의 後唐때에 입신하여 재상을 지낸 馮道 (풍도)라는 정치가가 있었다.
그는 五朝八姓十一君 (오조팔성십일군)을 섬겼는데 다섯 왕조에 걸쳐, 여덟 개의 성을 가진,

열한 명의 임금을 섬겼다는 말이니 그야말로 처세에 능한 달인이었다.

馮道는 자기의 處世觀을 아래와 같이 후세인들에게 남겼습니다.

口是禍之門(구시화지문) : 입은 재앙을 불러 들이는 문이요.
舌是斬身刀(설시참신도): 혀는 몸을 자르는 칼이로다.
閉口深藏舌(폐구심장설) :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安身處處宇(안신처처우) : 가는 곳마다 몸이 편안하리라.

풍도(馮道)는 인생살이가 입이 禍根임을 깨닫고 73세의 장수를 누리는 동안 입조심 하고

혀를 감추고 말조심을 처세의 근본으로 삼았기에 난세에서도 영달을 거듭한 것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