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회원사랑방

집안관계용어 요약정리

작성자이수부|작성시간22.08.06|조회수22 목록 댓글 0

집안관계용어 요약정리

1. 자기 아버지
부친(父親) 가친(家親) 엄친(嚴親) 

2. 남의 아버지
춘부장(椿府丈•春府丈)
춘부(椿府) 춘장(春丈)

* 椿(춘)은 대춘(大椿)이라는 
상상의 나무로 장자(莊子)는 
이 나무가 8천년을 봄으로 삼고 다시 8천년을 가을로 삼는다고 하였다. 

그러하니 1년 춘하추동 4계절을 합하면 무려 3만 2천년이나 된다. 

그러므로 椿(춘)은 장수(長壽)를 염원(念願)하고 기원(祈願)한다는 축하의 말이다.
또한 부(府)는 큰 집, 장(丈)은 어른. 그러므로 부장(府丈)은 집안의 큰 어른이라는 말

3. 자기 어머니
모친(母親) 자친(慈親) 자위(慈闈)
* 闈 대궐안 작은문: 위

4. 남의 어머니
자당(慈堂) 훤당(萱堂) 북당(北堂) 영당(令堂) 대부인(大夫人)

* 훤(萱)은 원추리꽃으로 옛날 어떤 효자가 며느리에게 살림을 물려주고 물러나신 

어머니를 모실때 뒷 마당에 별당을 짓고 어머니께서 좋아하시는 원추리꽃을 가득 

심은데서 유래함. 
또한 훤(萱)은 이제는 시름을 잊으시라고 '망우초(忘憂草)'라고도 한다
자(慈)는 '사랑하다'의 뜻으로 따뜻한 온기(溫氣)를 뜻하는 玆(자)에 마음 心(심)자를 

더했다. 즉 '따뜻한 어머니의 마음' 이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두루 통용되는 말이다.

* 춘훤(椿萱)
① 춘당(椿堂)과 훤당(萱堂)
② 남의 부모를 높여 이르는 말

* 고당(高堂)
① 남의 부모의 높임말
② 남을 높여 그의 집을 말함

5. 돌아가신 아버지
선친(先親) 선고(先考)

6. 돌아가신 어머니
선비(先妣)
* 妣 죽은 어미: 비

7. 시어머니와 시아버지
고구(姑舅)
* 시어미와 며느리
고부(姑婦)

8. 아내의 아버지
장인(丈人) 빙부(聘父)
악공(嶽公) 존옹(尊翁)

9. 아내의 어머니
장모(丈母) 빙모(聘母)

10. 장인과 사위
옹서(翁壻)
* 사위와 며느리
서부(壻婦)

* '사위'의 이칭(異稱)
①백년지객(百年之客)
②반자지명(半子之名)
③교객(嬌客) ④서랑(壻郞) 등등

* 췌서(贅壻): 데릴사위
贅 혹: 췌

(받은 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