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초보 길라잡이

[주식89]분산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작성자템플턴교수|작성시간16.03.04|조회수513 목록 댓글 17

분산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시장의 변동성을 이길 가장 확실한 방법]

 

 

1. 다양한 사업을 통해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보유종목을 늘림으로써 성장성 높은 여러 사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성장성이 뛰어날 것이라고 생각한 한두 개 종목에만 집중투자하면 당장에는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겠지만 반대로 처참한 결과를 안겨줄 수도 있다

 

2. 한두 개의 기업에 집중된 포트폴리오는 전체 포트폴리오를 뒤흔다

 

대표적인 주식에만 집중되어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면 개별기업의 위험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위험을 분산해야 한다

 

투자자가 3개의 종목을 산 경우는 자신의 전체 포트폴리오의 33%의 손실을 따를 수 있어 만회하기가 어렵지만

 

20개 종목을 보유하였다면 종목이 상장폐지 되더라도 5%만 손실을 보면 되므로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 될 수 있다

 

3. 주식시장의 변동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시장자체도 큰 변동성을 보이는데 개별종목은 더 큰 변동성을 가져오므로 몇 개만의

집중된 포트폴리오는 시장의 평균수준보다 더큰 변동성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를 짤 때 종목을 최대한 분산한다면 시장의 변동성에 따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

 

4. 고수익을 올릴 종목을 보유할 확률이 높다

지난 10년간 1000개 종목중 100개의 종목이 매우 뛰어난 수익률을 보였다고 가정한다면

 

3개 종목을 보유한 투자자는 수익률이 뛰어난 100개 종목 중 하나도 보유하고 있지

않을 확률은 72.8%[900/1000*899/999*898/998]이지만

 

20개 종목을 보유한 투자자는 수익률이 뛰어난 100개 종목중 하나도 보유하고 있지

않을 확률은 11.9%로 하락한다[900/1000*899/999*898/998*... 881/981]그렇기에

집중투자는 대박아니면 쪽박이다

 

선정한 적은 종목중에 뛰어난 종목이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5. 종목 수가 많아서 관리하기 어렵다는 오해를 버려야 한다

증권브로커는 종목수가 많아지면 관리도 안되고 차별화된 성과도 내기 어렵다

기관투자자에 비해 관련 정보가 부족해서 주가를 모니터링하고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종목을 관리한다고 한다면 어느 수준에서 손실을 제한하도록 하는 행동인데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비중을 축소하거나 저평가 된 기회를 노려 추가 매수하는 것이다

[다만 기업분석은 반드시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투자자들도 어떤 매수기준을 가지고 종목을 매수하였다면 손실 난 종목 몇몇 개의

종목의 비중을 줄인다면 훌륭한 리스크 관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집중투자란 수많은 종목 중에서 아주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가정을 근거로 하고

있는 것이다

 

6. 더 나은 매매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흔들리기 시작하면 좋지 않은 타이밍에 주식을 팔고 싶어 진다

 

잘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면 한두 종목이 급락한다 하더라도 포트폴리오의

전체는 시장대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므로 잘 견디고 넘어갈 수 있다

 

그렇기에 분산투자는 잦은 매매를 방지하게 되고 장기적으로 종목을 보유할

있는 기본이 마련될 수 있다

 

어떻게 되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수한 주식이 하락하면

바로 물타기를 하기보다는 물러서서 확률을 생각해 보는 것이 현명하다

 

정배열을 유지하고 상승하는 종목은 더 보유하고 손실이 나고 있는 종목을 매도해야 한다

 

그리고 그 돈으로 정배열을 유지하고 있는 우상향하는 종목에 피라미딩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다

 

집중투자를 강조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기업분석능력이 없는 분은 반드시

분산투자해야 한다

 

분산투자의 잘못은 같은 업종을 나누어 매수하는 것은 분산이 아니고 집중투자다

 

오히려 분산투자는 업종별로 나누어 종목으로 분산하는 것이다

 

투자고수는 단지 어떤 대단한 기법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투자원칙과

철학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별개다

 

집중투자는 자신이 평가한 자산의 가치를 절대적으로 확신하고 일정기간 안에

그 가치에 접근할 것으로 확신한다면 가진 돈을 모두 그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

 

분산투자는 어느 종목이 저평가 되어 있고 어느 종목이 고평가 되어 있는지 를 전혀

알 수 없다면 거래비용을 고려해서 최대한 분산투자해야 한다

 

그렇다면 분산투자가 필요한 이유는 첫째 우리가 평가하는 주식의 가치는 절대적으로

확실할 수가 없다 둘째 우리가 평가한 가치가 정확하다고 해도 시장가격이 언제 그 가치에

접근할 지 알 수가 없다

 

오늘의 격언

 

안전마진이 풍부한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시장을 움직할 만한 능력이 있다면 보유종목수가 적어도 불합리한 투자가 아니다

 

반대로 회사의 미래가 매우 불확실하고 가격조정시점도 불분명하다면 폭넓게 분산투자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아직도 모른다면 선택은 누구의 몫

시장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는 말은 믿을 수 없다 따라서 오로지 주가가 쌀 때 매수해야만

한다는 말만 믿을 수 있다

 

비관적인 시장에서는 주가 하락이 문제의 일부가 아니라 해답의 일부가 된다-랄프웬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부자아빠전도사 | 작성시간 19.09.19 나는 할 수 있다. 명예의 전당으로 가자!!!
  • 작성자이건머야 | 작성시간 20.06.18 잘보고 갑니다~~~
  • 작성자Les fourmi | 작성시간 21.11.12 분산투자는 어느 종목이 저평가 되어 있고 어느 종목이 고평가 되어 있는지 를 전혀

    알 수 없다면 거래비용을 고려해서 최대한 분산투자해야 한다.
  • 작성자주이재 | 작성시간 22.03.30 공부하고 있습니다
  • 작성자50부터 | 작성시간 22.04.19 투자고수는 단지 어떤 대단한 기법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투자원칙과

    철학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