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초보 길라잡이

[주식23]평균회귀의 원리의 의미와 오해

작성자템플턴교수|작성시간15.07.08|조회수896 목록 댓글 33

1.평균회귀의 원리의 의미

평균으로의 회귀란 통계학에서 표본 집단의 수의 크기가 커지면 평균으로 회귀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일반생활에서나 주식시장에서도 활용하게 되는데 우량주의 속성인

성장성과 수익성이 꾸준하게 기대되는 종목은 시장전체의 악화나 기업의 관련된

단기 악재로 과도하게 하락할 수 있다.

그러나 두려움을 가진 주식 보유자들의 매도가 완료되면 제 가치를 향해 반등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이론을 평균회귀 이론이라고 한다.

조지소로스, 워렌 버핏, 피터린치 등이 이 이론을 이용한 대표적인 명인들이다

그러므로 평균회귀이론은 이미 검증된 성공 투자원칙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개인투자가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리고 펀더멘탈상 가치가 있는 종목에

적용해야 하는 이론을 단기적인 관점에서 저점매수의 근거로 활용하는데 있다.

더욱이 이론을 너무 맹신하게 되면 하락추세에서 실적이 악화되는 종목은

이동평균선의 기울기가 계속 하락하면서 주가 또한 지속적으로 하락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2.평균회귀에 대한 오해

투자자들은 평균회귀라는 개념에 대해 자주 오해한다.

평균운 일련의 높고 낮은 수치의 중간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개념이다.

그런데 회귀라는 개념을 평균에 적용할 때 혼란이 발생한다.

기업의 이익률은(이익/수입 또는 매출액) 평균회귀의 속성이 강한 지표다.

투자자들은 보통 평균회귀가 발생할 때 이익률이 평균으로 안착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잘못된 판단이다.

이익률이 평균으로 안착할 수는 있지만 평균회귀 개념이 의미하는 것은

이것이 아니다.

평균회귀의 개념이 함축하고 있는 것은 움직이는 방향이다.

어떤 지표의 평균이 계속 그 평균을 유지한다고 가정한다면 그 지표가

평균으로 회귀하려면 현재의 점에서 평균을 지나 반대쪽으로 어느 지점을

향해 움직여야 한다.

즉 0이 평균이라고 할 경우 +5인 지표가 평균인 0으로 회귀하려면

평균이하인 -5로 가야 한다. 0으로 가는 것이 아니다.

 

평균으로 회귀하는 것은 단순히 평균으로 가는 것과는 다르다.

이익률이 평균이상이면 언젠가는 평균이하로 내려가고 이익률이 평균이하면

언젠가는 평균이상으로 올라가야 한다.

다른 평균회귀 지표들인 자본수익률 주가수익률 등에도 같은 논리가 적용된다.

평균회귀란 단순히 평균이 되는 것이 아니라 평균이상 또는

그 이하로 움직이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해가 잘 되셨나요?

차트를 보고 그 의미를 새겨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이건머야 | 작성시간 20.04.08 잘보고 갑니다~~~
  • 작성자아이담 | 작성시간 20.06.19 감사합니다
  • 작성자언제나평온 | 작성시간 20.06.26 감사합니다
  • 작성자인천항공모함 | 작성시간 20.10.23 10일차 감사합니다.
  • 작성자ssad007 | 작성시간 22.04.08 오늘도 배웁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