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여시뉴스데스크]인정받지 못한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 여동생' 안성녀 여사

작성자악귀|작성시간21.08.16|조회수2,389 목록 댓글 7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599642?sid=102



안중근 의사의 차남 안준생의 장례식, 1951. 왼쪽에서 네번째가 안성녀 여사


안 의사 가문에서 독립운동을 한 여성은 13명에 이른다. 안성녀 여사는 안중근 의사의 여동생이다.

안성녀오항선추모기념사업회에 따르면 1889년 태어난 안 여사는 1910년대부터 광복 즈음까지 중국 만주 등지에서 활동했다.

1910년대 중국 하얼빈에서 남편과 함께 양복점을 차린 그는 군복을 제작, 수선하고 군자금을 몰래 지원하는 활동을 했다.

이후 1920년대 남편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안 여사는 독립군이 모여있는 북만주 쪽으로 이동했다.

그곳에서 안 여사는 독립군의 주요 문서나 군자금 전달을 하는 데 주요 역할을 했다.

후손에 따르면 안 여사의 거침없는 활동에 일본 군인이나 경찰의 감시는 매우 심했다고 한다.

안 여사의 증손자인 권순일 안성녀오항선추모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은 "안 할머니는 밀림처럼 우거진 산에서 몸에 권총을 지닌 채 딸과 함께 이곳저곳을 피해 다녔다"고 말했다.


부산 남구 천주교묘지에 있는 안성녀 여사의 묘



이후 광복을 맞이한 안 여사는 한국전쟁과 함께 부산에 피난을 왔지만 삶은 순탄치 못했다.

영도구 봉래동에서 터를 잡은 안 여사는 생활고를 면치 못하다 1954년 끝내 별세했다.

안 여사가 숨을 거둔 지 60여년이 지났지만, 그(증손자)는 여전히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상태다.

증거 부족으로 국가로부터 서훈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안 여사의 손자인 권혁우 안성녀오항선추모기념사업회 명예총재는 "주로 중국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국내 남은 자료가 거의 없다"며 "중국에 있는 후손에게도 확인했으나 별다른 증거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문서로 남은 자료가 없는 점도 걸림돌이다. 권 사무국장은 “안 할머니가 일본 경찰로부터 고문을 당했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재판에 넘어가야 기록이 남았던 탓에 이를 증명하기 어렵다”며 “구술 증언 역시 친척이 증명했다는 이유로 보훈처로부터 인정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전문 출처로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Kko_Kko | 작성시간 21.08.16 기억하겠습니다.. 몰랐어 진짜..
  • 작성자고양이가세상을웅앵웅 | 작성시간 21.08.16 감사합니다 기억할게요 절대 잊지않겠습니다
  • 작성자Tommy Shelby | 작성시간 21.08.16 기억할게요
  • 작성자Wouter Hamel | 작성시간 21.08.16 독립된지가 언젠데 저 이름을 지금에서야 아는걸까... 맘이 아프면서도 꼭 기억해야겠다는 다짐이생기네 ㅠ
  • 작성자써머다 | 작성시간 21.08.16 세상에 몰랐어..감사합니다... 기억할게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