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41049?sid=105
["4년 안에 회상 위상 제고" 이해진 GIO 약속 지켰다
K콘텐츠 선봉장, 올 상반기 대형 엔터사 협업 '예고']
-생략-
'금발의 동양인'이 아니라 김준구 웹툰엔터테인먼트 대표로 통할 정도로 현지에서 웹툰산업이 성장했다는 방증이다. 김 대표는 이해진 GIO(글로벌투자책임자)에 "4년 안에 회사 위상을 높여 흑발로 돌아오겠다"고 했던 약속을 보란듯 지켰다. 북미에서만 월간 1250만명이 1만3000원씩 쓰는 콘텐츠 플랫폼이자 할리우드에서도 찾는 IP(지식재산권)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특히 구글에서 웹툰 키워드 검색량이 기존 디지털만화를 뜻하는 '웹코믹스'를 크게 앞지르고, 미국 3대(아이스너·하비·링고) 만화시상식을 네이버웹툰이 석권하는 것은 문화산업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김 대표는 "DC코믹스·하이브 등 글로벌 엔터테인먼트사와 손잡은 '슈퍼캐스팅' 프로젝트의 80%는 상대에서 러브콜을 보냈다"라며 상반기 글로벌 대형사와의 협업을 예고했다.
웹툰으로 집샀다…교사·회계사도 "웹툰 작가될래요"
2004년 네이버(NAVER)에 개발자로 입사해 11년 만에 웹툰 CIC(사내독립기업) 대표로 고속승진한 그는 곧바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다. 네이버웹툰이 독립법인으로 분사하기 1년 전인 2016년 미국에 지주사격인 웹툰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 게 대표적이다. 제2라인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직원 5명과 무작정 미국에 갔지만, 웹툰이란 생소한 장르의 아시아 출신 회사에 관심 두는 사람은 없었다.
김 대표는 "매일 현지 작가 400명에게 메일을 보냈지만, 회신 한 번 받지 못했다"라며 "작가 1, 2명을 영입하기 위해 발로 뛰었는데 이제는 네이버웹툰 문을 두드리는 아마추어 창작자만 12만명이 넘는다"라고 자랑했다. 이처럼 웹툰작가로 몰리는 이유는 경제적 보상이 따라서다. 네이버웹툰은 2020년부터 현지 작가들에 월평균 총 100만달러(약 12억원) 이상을 지급하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해 현지 1세대 작가로부터 메시지를 받았다. '한국에선 웹툰작가가 네이버에서 3년 이상 살아남으면 집을 산다는 네 이야기가 사기인 줄 알았는데, 오늘 집 매매계약을 했다. 약속 지켜줘서 고맙다'라고 하더라"라며 "교사·회계사처럼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사람들도 지원할 정도로 한국에서의 성공 히스토리가 미국에서도 현실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궁극적인 지향점은 '아시아에서 시작한 글로벌 규모의 포스트 디즈니'다. 이는 단순 디즈니처럼 인기 IP를 많이 확보하겠다는 차원을 넘어, 유명 IP를 전 세계로 확산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가 담겼다. 김 대표는 "세상의 모든 콘텐츠 플레이어가 IP를 찾기 위해 방문하는 스토리 테크 플랫폼이 되겠다"가 강조했다.
"불황에 강한 웹툰…북미 IPO 예정대로 추진"
네이버웹툰의 다음 목표는 미국 증시 상장이다. 최근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10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1조2000억원의 자금을 유치한 만큼, 1위 사업자인 네이버웹툰에 대한 기대감도 덩달아 높아진다. 다만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성장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건 부정적인 요소다.
김 대표는 "카카오엔터 투자 유치 이후 기업가치에 대한 시장기대감이 부담스럽다"면서도 "해외상장으로 국부에 도움 된다는 측면도 있어 1등 회사로 어느정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웹툰은 스낵컬처(짧은 시간에 소비하는 콘텐츠)로 불황에 강한 사업"이라며 "엔데믹으로 불리한 측면이 있긴 하지만, 계획대로 IPO를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시점을 특정하진 않았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