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흥미돋]한국과 일본간 명칭이 뒤틀려버린 먹거리

작성자갸갸겨겨교|작성시간24.03.10|조회수4,902 목록 댓글 13

출처 : ㄷㅅ

 

 

 

 

+)

한국 : 구두는 일본어 쿠츠에서 왔다
일본 : 쿠츠는 한국어 구두에서 왔다

????


고구마에는 근연 야생종에는 없는 DNA 조각이 식별되는데 식물을 감염시키는 세균인 Agrobacterium으로부터 유입된 외래 DNA라고 합니다. 어찌보면 천연 GMO인데, GMO가 막연히 위험하다는 것을 반박할 때 거론되기도 합니다.


고구마의 원래말 감저는

제주도어르신들이 아직도 고구마를 부르는 용어로 남아있음.

반면 감자는 지슬이라고 부름.


실제로 해남고구마가 일본에서 훔쳐온 품종임 '베니하루카'라고 해남군청이 연구소에서 쌔벼온거 자기네 품종으로 등록함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97821

일본산 고구마의 국내반입을 금지하는 이유는 고구마의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감염속도가 빠르며, 방제가 어려운 개미바구미·고구마바구미의 유입 가능성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그 어느 때 보다 반일(反日)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당장 돈이 되고 찾는 농민들이 있다고 해서 몰래 들여온 것을 심어 놓았는데, 간사하고 교활하기 짝이 없는 이 족속들이 ‘로열티’ 라도 내 놓으라고 한다면 그때는 어떻게 하지? 대책없는 한 장의 공문을 보면서 드는 기우(奇偶)이다.

(중략, 전문은 출처로)

 

https://www.nongmin.com/article/20190714313465

본지는 올 4~5월 일본에서 2010년 품종등록한 <베니하루카>가 국내에 정식 도입·신고된 사실이 없음에도 전체 고구마 재배면적의 40%에 육박할 정도로 급속히 확산한 과정에 의혹을 제기하는 한편 외래병해충 발생을 우려했었다. 이번에 농기센터가 앞장서서 <베니하루카>를 대량증식, 농가에 보급한 사실이 드러나 급속 확산과정은 해명된 셈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농기센터의 도덕적 해이를 탓하고 끝날 일은 아니다. 일본 고구마의 국내 반입을 금지하는 이유는 고구마의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감염속도가 빠르며, 방제가 어려운 개미바구미·고구마바구미의 유입 가능성 때문이다. 또한 감자암종병·감자걀쭉병·감자시스트선충·담배노균병 등의 기주식물 역할을 해 식물방역법으로 수입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즉 이들 외래병해충이 국내에서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만일 그 경우 농기센터도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중략, 전문은 출처로)

 

https://www.newskr.kr/news/articleView.html?idxno=31583

2007년 전국최초 고구마 조직 배양묘 보급을 시작으로 부터 2008년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해남고구마 지리적 표시 제42호로 등록이 이루어 졌고 이후 많은 변화를 가져와 오늘 해남고구마의 명성을 만들어 왔다.

그러나 지자체가 만들어낸 해남1호라는 고구마 품종, 시작부터 단초가 잘못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해남만이 가지고 있는 토종 고구마는 일명 해남 물 감자다.

특성상 보관이나 당도가 낮아 소비자들로부터 선택을 받지 못 받던 중, 해남지역 선진 농업인들의 일본견학을 통해 고구마를 몰래 들여온 베니하루까품종은 해남 1호고구마가 되었고 그때 이후 종순을 키워 고구마를 생산 했다.
(중략, 전문은 출처로)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이순대 | 작성시간 24.03.10 대마도가 우리 땅인데 뭔 상관~~~ 음 고구마~ 신토불이 그 맛!
  • 작성자멜론수박바 | 작성시간 24.03.10 대마도 우리땅이잖아
  • 작성자구운감자맛도리 | 작성시간 24.03.10 민첩한 하루 되세요~^^
  • 작성자Moleskine | 작성시간 24.03.10 ㅋㅋ잘먹을께~
  • 작성자전 enfj 입니다 | 작성시간 24.03.13 대마도 - 우리땅
    고구마 - 우리꺼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