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검색
댓글
댓글 리스트-
답댓글 작성자어물쩡우물 작성시간 24.10.01 근데 왜 두 나라 다 국민 행복도는 다 바닥인지.. 이런건 또 정치체계가 문제가 아니라 인구밀도 높은 인적자원밖에없는 나라의 무한경쟁 체제 때문에 국민은 행복하지 않은거같아..
-
작성자권력과공간 작성시간 24.10.01 차라리 저런 철학이라도있고 행동해쓰면
-
작성자independ 작성시간 24.10.01 권위주의의 가장 큰 문제는 그 권위자가 타락했을 때 국가 전체가 존망에 처하는 문제에 쉽게 놓인다는 거임
리콴유 말대로 리더가 공정하고 올바르며 도덕적 사고를 갖추고 행정 및 경제 시스템을 케어하는 데 전력을 다한다면 그 누구보다 효율적이고 우수한 국가를 만들 수 있음.
그런데 독재에 의존하는 게 과연 안전한가? 리더도 사람인데 정말 공정하게 흘러갈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고 실제로 싱가포르를 제외한 모든 전체주의 권위주의 국가는 모조리 비효율과 부정부패가 심각함. 싱가포르만이 작은 규모를 이용해 이상적 통치체제를 갖추고 있을 뿐임..난 김대중 전대통령의 말이 맞다고 생각함 -
답댓글 작성자밀레시안 작성시간 24.10.08 나도 이게 젤커 결국 모래성처럼 무너짐
미국서 우리나라는 국가가 환난(전쟁, 식민통치같은일 등)있을때 독립의지가 강할거같나? 했을때 미국서 대만은 ㄴㄴ 한국은ㅇㅇ라고 결론 내린적도있어
지금은 비슷해보여도 미래엔 어떻게될지모르는거야 거기다 우리나라는 싱가폴과 비교하면 몸집이 큰데 민주화이뤄내서 격차큼 -
작성자Coffee and 작성시간 24.10.01 싱가폴 지금 리콴유 아들이 총리 하고 있지 않아? 아무리 능력있는 지도자여도 권위주의 리더의 한계아닌가… 글고 작은 규모여도 벌금도시라고 불릴만큼 국민을 압박하고 있잖아. 여기서 규모가 더 커지면 북한 중국 같은 나라인건데. 좋은 정치라고 보기에는 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