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흥미돋]트럭은 왜 뒷바퀴를 들고 다닐까?

작성자세차|작성시간24.10.18|조회수19,239 목록 댓글 28

출처:

:https://blog.naver.com/vodkamu/222451211350

 


트럭은 해운과 함께

우리나라의 물류를 책임지는

화물 운송수단 중 하나다

 

그런데 가끔 고속도로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트럭을 보던 중

이런 생각이 든 적 있는가?

 


'저 트럭 뒷바퀴는 왜 들려있는거지?'

타이어 교체용으로 붙여둔

스페어 타이어라고 생각하기도 하는

저 바퀴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 정체는 단순하다

그냥 내려서 쓸 수 있는 바퀴 축으로

 

이렇게 들고 내릴 수 있는 바퀴 축을

'가변축'

이라고 한다

 

왜 트럭에 가변축이 필요한걸까?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자

 


우리나라는 도로의 파손을 막기 위해

과적 단속을 시행하는데

 

우리나라 도로교통법 상

화물차는 총 중량 40톤 또는

축 하나당 10톤을 초과하는

과적 차량을 단속한다

 


그렇기에 가변축이 없는 6톤 트럭이

실을 수 있는 화물의 한계는 14톤이다

(실제로는 최대 9톤이 한계다)

 

하지만 축이 늘어난다면?


축 무게를 뺀 9톤을 더 실을 수 있어

합법적으로 23톤을 실을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궁금증이 생긴다

 



'그럼 그냥 축을 달아두면 되는거 아냐?'

 

축이 많다고 다 좋은게 아니다

 

일단 추가로 타이어가 더 늘어나므로

마모됐을 때 교체해야 하는 타이어가

4개가 늘어난다는 소리가 된다

주행저항도 문제다

바퀴가 더 달린다는 소리는

주행저항과 마찰력이 커진다는 소리인데

달리 말하면 연비가 감소한다

 

가뜩이나 기름을 많이 먹는 화물차인데

연비가 안좋아진다는 건 뭐..

 

그렇기에 나온게 '가변축'이다

 


짐이 실어져있지 않은 공차 상태일때는

축을 올려 평범하게 달리다가

 

짐을 실으면 축을 내려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렇게만  보면

가변축은 짐을 더 싣게 만드는

훌륭한 장치인 것 같지만..

 


차량의 최대 적재량을 무시하고

단속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인데다가

 

기사들이 가변축만 믿고서

선을 넘는 과적이나

적재 불량을 일삼고

 

과적 단속을 할때만 가변축을 내린 뒤

검문을 통과한 후 다시 가변축을 올리는 등

 

기상천외한 일들을 벌이는 모습을 보면

그냥 가변축을 금지하는게

맞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만두고양이 | 작성시간 24.10.18 재밌다 ..
  • 작성자크로아상 킬러 | 작성시간 24.10.28 와 진심 흥미돋 고마워~~
  • 작성자국방부장관 | 작성시간 25.04.16 ㅁㅊ 존나 신기할지경
  • 작성자la갈비 | 작성시간 25.04.16 오...
  • 작성자헐렝 | 작성시간 25.04.16 오 전혀 눈치 못챘어 여태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