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리스트
-
작성자 이렇게추워도되나 작성시간25.02.18 궁금해서 찾아봤더니 블록체인이 아니라서 개인정보 다 털리는 완전 스캠코인이라네
https://coinpan.com/free/198487935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IVE장원영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5.02.18 여시 링크 들어가서 봤는데 개인정보 다 털리는 스캠코인에 대한 위험성이 있다는건 인정하긴해. 워낙 여기저기 kyc인증에 대한 위험성이 있다고 얘기들이 많이 있어서 ㅠㅠ 그래서 나도 계속 위험성에 대한 부분을 추가해둔것도 있구!
하지만 블록체인이 아니란거는 잘 모르겠어. 링크 들어가보니 우선 폐쇄 메인넷이 슬슬 나올시기인 21년도 글인데다 비상장에 블록체인 아니다 라는 주장은 틀린주장이거든.
실제로 스텔라루멘 블록체인 오픈소스 가져다가 인용하기도 하고 상장도 되기도했고...
저 링크에서 출처라고 기재한 링크 들어가보니까 그 글도 25년 2월 15일? 로 업데이트를 해놨는데 -
답댓글 작성자 IVE장원영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5.02.18 IVE장원영 They have built a test version of their blockchain and later released the production version (i.e. mainnet). Mainnet is opening up to outside (i.e. enclosed network) as of February 20. After that, users will be able to exchange their Pi coins with fiat currency on exchanges.
Users claim that the project has shared some of its code on github.
-
이게 추가되있더라구
저 링크 글쓴이가 참고한 원문마저도 블록체인 '테스트 버젼이있다' 라고 정정해둬서... kyc인증 및 개인정보 털리는거에 대한 위험도는 있을수있지만 블록체인이 없는 코인이다! 라는건 잘못된 정보 오류같아 -
답댓글 작성자 IVE장원영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5.02.19 이렇게추워도되나 응 여시 말이 어떤 의미인지 이해해. 블록체인이라는건 탈중앙화한 화폐로 쓰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라는건 나도 동의하고!
다만 리플이나 솔라나 같이 유명하지만 중앙화인 코인들도 여럿있는데다 홍채코인으로 유명했던 월드코인도 채굴 후 홍채 kyc인증이란게 있었거든. 파일코인도 채굴 후 kyc인증있던걸로 알고 있고. 이때도 kyc가 개인정보 수집하려하는거 아니냐고 얘기들이 많기도 했고... 그래서 kyc인증은 각 코인마다 성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하는 코인도 있고 안하는 코인도 있고) kyc인증+개발진 중심 > 블록체인이 없다고 생각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보면 여시의 주장인거잖아?
나는 파이코인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위험성에 대한 부분은 여시 뿐만 아니라 여러 여시들과 의견이 같지만 (조심해야함) 블록체인의 경우 스텔라루멘 블록체인을 가져다 쓰는걸로 알고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없다 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오류라고 했던거였어. 블록체인은 존재하나 코인 및 개인정보의 안전성, 시스템 체계성 에 대한 부분이 우려되는 입장이었으니...?
댓 적어보니 이건 여시와 나의 생각차이인거같네 -
답댓글 작성자 이렇게추워도되나 작성시간25.02.20 IVE장원영 그니까 여시는 아무리 스캠코인이라도 블록체인의 기술을 사용했으니 블록체인이 맞다고 얘기하고 싶은거구나.
이부분은 시점 차이가 있네. 그러니까 정리하자면 나는 21년에 쓰여진 글을 가져왔고
21년에는 얘네가 정보공개를 하지않았기때문에 블록체인기술을 사용하는지 안하는지 알 수 없었어
25년에 정보를 일부 공개했기때문에 블록체인기술을 사용한거는 이제서야 알려진거야. 여시가 주장하고싶은거는 이부분이지?
그니까 21년의 글의 블록체인이 아니라는 의혹만 25년에서 와서 해소가된거야. 얘네가 오픈네트워크로 여는게 2월20일부터라며(https://www.binance.com/en/square/post/20432858526961)
내주장은 나는 블록체인이 당연히 가지고 있어야할 것(익명성보장+탈중앙화)을 파이코인은 이를 충족하지 못했으니
블록체인의 기술을 사용했다고 모든게 블록체인이다라고 할수는 없다생각하는거고. 이 부분이 논쟁이 된 것 같네. -
답댓글 작성자 이렇게추워도되나 작성시간25.02.20 이렇게추워도되나 그리고 자꾸 댓글 달리길래 검색 좀 해봤는데
얘네가 보안 서클(Security Circles)라고 Stellar Consensus Protocol(SCP) 기술을 사용해서 자신들만의 폐쇄형 네트워크
구축했다고 백서에 써놨는데 이 부분이 얘네가 운영하고 있는 개발자가 통제하고있는 네트워크 맞는거잖아.
백서에도 그렇게 쓰여있고 사람들도 다들 그렇게 알고있으니 내 주장만은 아니야.
여시가 계속 말했던 "스텔라루멘 블록체인 오픈소스 가져다가 인용하고 스텔라루맨 블록체인을 가져다 썼다" 이부분도 어폐가 있는게
파이코인 백서https://minepi.com/white-paper/ 에는 Stellar Consensus Protocol(SCP) 기술을 사용해서 자신들만의 네트워크
구축해서 썼다는 주장만 있지 이걸 확인할 소스 코드나 기술적 구현 방식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않아서 증명되거나 검증된게 없다며.
"오픈소스에서 가져와서 변형해서 자기들만에 네트워크를 따로 개발했다" 이건 오픈소스 기술을 참고한거지 스텔라루멘 블록체인을 직접 가져와서 쓰고있다는건 잘못된 주장이잖아 -
답댓글 작성자 이렇게추워도되나 작성시간25.02.20 이렇게추워도되나 자칫 "스텔라루멘이 파이코인 전신이다" 라고 오해할수있는데 소스를 참고한거랑 중심이 되는거는 분명히 다르니까.
그러니 따지고보면 스텔라루멘을 가져와서 만든 블록체인이다 이 주장은 현재로서 증명할수없는상태야. 파이코인이 소스를 참고했다고 주장할 뿐이고 이를 검증할 만한 정보나 자료가 공개되지 않았으니까.
어쩌다 이렇게 계속 댓 달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이런 스캠코인에 더 이상 에너지 쏟고싶지않네.
아 그리고 kyc인증말인데 성향차이라고 하기엔 리플같은 안정성 높은 코인이랑 비교하는게 무리가 있다고 생각해. 이런 위험 코인은 신경 쓰지 않는게 제일인 것같아 거래소에 상장된다고 좋은코인인건 아니니까. -
답댓글 작성자 IVE장원영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5.02.20 이렇게추워도되나 좋은 댓 고마워! 내가 너무 단순했나보다 도지코인도 어떻게보면 라이트코인의 블록체인을 따와서 만들었기 때문에 나는 그거랑 비슷한 류라고 생각했거든 전신은 아니지만 블록체인 코인은 맞다 라는생각..? 근데 여시말이 맞는거같아 에너지 쏟게해서 미안해 ㅠㅠ 맞아 나도 아직은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도 있고 위험있는 코인이라는 생각은 변함이없긴해 그래서 본문에도 저렇게 빨갛게(?) 적어둔것도 있고... 아무튼 좋은댓 정말 고마워!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생각하게 해준것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