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유명산-국내산

황매산 철죽할머니

작성자깔끔이|작성시간12.05.24|조회수133 목록 댓글 2

황매산 철죽할머니 (2) - 신라시대 헌화가는 영화 은교에 있다.   
 

황매산 바위군으로 오르는 등산로에 멋진 절경이 이어진다.

철쭉꽃 축제를 맞아 사람들이 무척 많아 좁은 등산로는 기다리는 시간이 많다.

덕분에 주위의 풍경에 더 많은 시선을  줄 수 있었다.

 

절벽의 바위 틈에 피어난 철쭉꽃

짙은 붉은 빛의 색깔이 요염하다. 

신라시대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부인에게 절벽의 철쭉꽃을 따다주는 헌화가가 삼국유사에 전해진다.

영화 은교에서는 바위 아래 떨어뜨린 은교의 거울을 노시인 이적요가 위험한 바위 비탈을 내려가 주어다 준다.

과거와 현재의 노인의 마음이 오버랩된다.

 

이적요는 절규로 몸부림친다.

늙음은 잘못이 아니라고...

노인도 열정을 불태울 절열이 살아있을을....

 

IMG_0747.jpg

 

IMG_0748.jpg

 

[순결바위]

 

IMG_0750.jpg

 

[노각나무]

줄기가 멋져 찍었는데

뜻밖에도 우리나라 특산종인 노각나무였다.

차나무과(Theaceae) 5속

노각나무속 (Stewartia) 1종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별명 : 노가지나무,비단나무,금수목

분포 : 경북, 충남 이남의 표고 200~1,200에 자생하고 지리산,소백산,평안도 일부와 속리산,가야산 이남과 밀양 표충산에서 생육된다.

특징 : 한국 특산이며 세계적으로 7종의 노각나무 종류가 분포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품종이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수피는 모과나무,배롱나무와 같이 껍질이 벗겨져 홍황색 얼룩무늬가 있어서 비단나무라 불리우기도 한다. 변재는 아주 넓으며 갈색, 심재는 갈색줄무늬가 있는 담자흑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이 분명치 않고 연륜은 희미하게 구분된다. 산공재로 목리와 나무갗이 치밀하고 광택은 보통이고 딱딱하고 무거우며 할열이 어렵고 강건하다.

 

노각나무는 약 100여년전에 윌슨이라는 미국학자가 가져가서 품종 개발과 재배를 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 노각나무를 수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높은 가격으로 역수입되고 있다고 한다.

   

IMG_0752.jpg

 

[많은 등산객]

 

IMG_0753.jpg

 

[바위 벼랑]

 

IMG_0754.jpg

 

IMG_0755.jpg

 

[올라가는 사람들이 지체된다] 

IMG_0756.jpg

 

[헌화가]

붉은 바위 가에

잡고 있는 암소 놓으라 하시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신다면

꽃을 꺾어 바치겠나이다

 

IMG_0757.jpg

 

IMG_0758.jpg

 

IMG_0759.jpg

 

IMG_0760.jpg

 

 

헌화가 / 신달자

 

사랑하느냐고 한마디 던져 놓고

천길 벼랑을 기어오른다

 

오르면 오를수록 높아지는 아스라한 절벽

그 끝에 너의 응답이 숨어 핀다는 꽃,

 

그 황홀을 찾아 목숨을 주어야

손이 닿는다는 그 도도한 성역

나 오로지 번뜩이는 소멸의 집중으로 다가가려 하네

 

육신을 풀어 풀어 한 올 회오리로 솟아올라

하늘도 아찔하여 눈감아버리는 캄캄한 순간

나 시퍼렇게 살아나는 눈맞춤으로

그 꽃을 꺾는다

 

 

IMG_0761.jpg

  

[벼랑 아래 철쭉꽃]

 

02.jpg

  

[은교]

은교를 만나고

내 세상은 무너졌다.

  

돌이킬 수 없는 젊음을 그리워하는 영화, 은교

박해일의 인터뷰를 읽고 영화를 보았다.

 

 

01.jpg

 

[은교(恩橋)]

서지우가 산에서 실수로 은교의 손거울을 절벽에 떨어뜨렸고

은교는 엄마에게서 선물받은 거울이라며 울상을 짓는다.

서지우는 똑같은 걸 사주면 되지 않느냐며 말하지만

은교는 어떻게 그런 말을 할 수 있냐며 버럭 화를 낸다.

이때 이적요가 위험한 절벽을 내려가 은교의 거울을 주워 올라온다.

은교는 이적요의 호의에 크게 감동해 그를 덥석 안는다.

 

 

 

[감상]

새순처럼 풋풋한 은교에게

노시인 이적요는 사그러지던 순정의 꽃망울을 활짝 터뜨린다.

이를 본 젊은 문하생 서지우는 진홍빛 질투를 불태운다.

 

너의 젊음이 너의 노력으로 얻은 상이 아니듯이

내 늙음도 내 잘못으로 받은 벌이 아니다.

 

순수를 잃지 않으려는 발버둥

그 마음으로 감상했다.

 

IMG_0767.jpg

 

IMG_0770.jpg

 

[철쭉꽃]

헌화가의 소를 몰던 노인과 영화 은교의 원로 시인 이적요가 오버랩된다.

피곤한 마음 저편에 깔린 내밀한 욕망을 끄집어낸다.

 

IMG_0762.jpg

  

[바위 벼랑의 이정표]

철계단을 올라오니 돛대바위 이정표가 있고 멋진 풍경이 전개된다.

 

IMG_0763.jpg

  

[철사다리 지지철]

 

IMG_0764.jpg

 

[돛대바위]

사랑하는 연인을 만나러 은하수로 가던 중 배가 걸렸다는 전설이 있는 돛대바위 쉼터 

바위 능선을 타고 올라온 등산객들이 한 숨 돌리며 절경을 감상하고 있다.

 

IMG_0765.jpg

 

IMG_0766.jpg

 

[돛대바위 옆 노린재나무]

 

IMG_0768.jpg

  

[찰나의 순간]

돛대바위의 틈에 비추는 멋진 풍경

그러나 이 포즈는 아니었다.

 

IMG_0772.jpg

 

[돛대바위에서 본 풍경]

 

IMG_0775.jpg

 

IMG_0776.jpg

 

[대기저수지]

 

IMG_0777.jpg

 

[돛대바위에서 모산재로 오르고 있다]

 

IMG_0778.jpg

  

[쇠물푸레나무]

 

IMG_0780.jpg

  

[명당자리]

돛대바위에 올라온 경치좋은 곳

전망이 끝내주는 곳이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보니 이 곳 주위를 "무지개터"라고 하여 진짜 명당자리란다.

무지개터

한국 제일의 명당자리로 알려져 있는 곳으로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용마바위가 있어 "飛龍上天"하는 지형으로 옛부터 이곳에 묘를 쓰면 천자(天子)가 태어나고 자손대대로 부귀영화를 누리는 반면에 온나라가 가뭄으로 흉작이 든다하여 명당자리 일지라도 묘를 쓰지 못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음. (안내판)

 

IMG_0783.jpg

  

[점심을 먹으면서 본 전망]

 

IMG_0784.jpg

  

[흔적]

 

IMG_0787.jpg

  

[충전완료]

 

(사진 : 2012-05-19 황매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초승달 | 작성시간 12.08.26 사진마다 해설을 달아주시고 잘보고 가며 감사드림니다
  • 답댓글 작성자깔끔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2.08.26 황매산 철죽이 아름답지요...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