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세미나] 도시농사의 제도적 활성화 방안[알림포함]

작성자상생21|작성시간20.04.05|조회수59 목록 댓글 0

기후위기및지구촌연구위원회에서 알립니다.


2020년 4월 7일(화)  도시농사의 제도적 활성화 방안 세미나행사는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오후6시부터 9시까지 중계될 이 회의는 학회회원 누구나 보실 수 있습니다.
회의 ID: 304 234 5896    

보다 깨끗한 생중계화면은 다음 사이트에서
검색창에 '마로니에방송'을 치고 들어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상단이미지
 

기후위기및지구촌연구위원회 2020년 제1차 공동 온라인세미나 개최

우리 학회는 국토와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계획을 학문의 영역으로 하고 있지만 범위를 확장하면 지구촌도 계획의 대상에 포함됩니다. 현재 기후위기는 지구촌의 화두입니다. 가령 최근 호주의 들불산불도 국토계획 차원의 연구대상입니다. 지구촌의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합리성 강구의 필요성이 여러 측면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국제학계에서 전개되어온 성과를 이젠 국내의 학계에서 소화함과 동시에 독자적인 접근을 진행할 시점입니다. 이에 2020년에 기후위기및지구촌연구위원회(위원장 이원영 수원대 교수)가 출범합니다.
 
첫 세미나를 순환형도시계획연구위원회(이상훈 한양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도시농사의 제도적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구하고자 합니다. 도시농사는 1) 직접재배 및 근거리 식량자급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하고 2) 도시소비자의 먹거리재배를 체험케 하여 농촌에서의 생태적 농법의 확산에 기여하고 3) 그럼으로써 농촌 토양의 탄소배출감소에 크게 기여하고, 4) 도시내 오염원감소 및 재활용순환시스템을 갖춤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5) 시민건강, 시민경제와 지역사회의 활력에 기여하고 6)그럼으로써 기후위기의 중요한 해법이 되기도 합니다.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수립시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큰 부문입니다. '우리나라 도시농사의 도시계획적 접근을 위한 공간적 입지기준 설정방안'으로 본학회에 논문(2012년)도 게재한 前서울시도봉구도시계획국장 심재홍박사가 발제할 예정입니다. 

○ 일 시 : 2020. 4. 7 (화) 18:00~21:00
○ 장 소 : 온라인 상(ZOOM 화상회의)
○ 주 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기후위기및지구촌연구위원회, 순환형도시계획연구위원회
○ 주 제 : 도시농사의 제도적 활성화 방안

 
본 세미나는 ZOOM 회의실 및 다음 블로그를 통해 생중계될 예정입니다.
   [ZOOM 회의실 바로가기]
  *ZOOM 홈페이지에서 바로 접속할 경우 회의 ID 304 234 5896 검색
  [다음 마로니에방송 바로가기] 
 (ZOOM 회의실에서 생중계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으로 보다 깨끗한 화면으로 시청 가능)


◎프로그램

○ 발 제
    -심재홍(서울시 도봉구 前도시계획국장, 도시계획학 박사)
○ 토 론
    -고태규(서울시 서초구 前도시계획국장, 도시계획학 박사)
    -이원영(수원대학교 교수, 기후위기및지구촌연구위원장)

○ 사 회
    -이상훈(한양대학교 교수, 순환형도시계획연구위원장) 
오른쪽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순환형도시계획 연구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