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연재소설 및 에세이

장편소설(52) - 술 이야기

작성자이뭐꼬|작성시간15.07.20|조회수234 목록 댓글 0

내친 김에 K교수는 술에 관하여 여러 가지 이야기를 풀어 놓았다. K교수는 술을 많이는 못마셔도 술 마시는 분위기를 매우 즐기는 그런 사람이었다.

 

시성(詩聖) 두보는 사람의 마음을 너그럽게 해 주는 데는 술이 제일이요, 사람을 흥겹게 해 주는 데는 시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고 했다. 시선(詩仙) 이태백은 술 석 잔이면 대도(大道)에 통하고 술 한 말이면 자연과 합일하는 경지로 접어들 수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술에 관한 기록은 부여시대 영고라는 제천의식에서 술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에 이미 소주가 등장했고, 조선시대에는 180종의 술이 있었다. 현재까지 전하는 민속주로는 문무백관과 사신접대용으로 쓰인 경주 법주를 비롯해서, 말술을 자랑하는 사람이라도 석 잔을 못 넘기고 취한다는 면천 두견주, 대동강 물로 빚어야 제 맛이 난다는 문배주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주이다.

 

외국의 유명한 술을 보면, 마시면 천일 동안 깨지 않는다는 중국의 중산주, 55도인데도 순하게 느껴지는 달고 아름다운 마오타이주, 사랑의 메시지를 전하는 꼬냑 마르텔, 위스키의 자존심 부캔넌, 빈병 값만 7만원 하는 루이13세 등이 유명한 술에 속한다.

 

술을 마시는 풍습도 민족에 따라 시대에 따라 매우 다르다. 서양에서는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자작문화가 발달해 있고, 중국에서는 건배를 자주 외치며 모두 함께 마시기를 권하는 대작문화가 발달했다. 그런가 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술잔을 서로 주고받는 수작(酬酌)문화가 일반적인 주도이다. 해동잡록에 보면 옛날 사람들은 풍류의 결사나 시 모임 그리고 계꾼들이 모여서 우의를 다질 때에 연종음(蓮鍾飮)을 했다고 한다. 널따란 연잎으로 잔을 만들어 술을 돌려 마시는 운치있는 풍습이다.

 

옛날 스파르타인들은 연회가 열릴 때마다 술을 잔뜩 먹인 한 무리의 노예를 끌고 들어와 청소년들에게 구경을 시켰다고 한다. 술에 취하면 어떻게 되는가를 관찰한 후 스파르타 인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첫잔은 갈증을 면하게 해 준다. 둘째 잔은 유쾌하게 만들어 준다. 셋째 잔은 발광을 시작하게 한다.”는 교훈을 얻고 술에 대한 자제력을 키웠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19201월부터 금주법이 시행됐다. 알코홀 중독 남편의 폭행에 시달린 한 주부의 탄원이 계기였다고 한다. 그러나 불법거래가 성행하였으며 비싼 밀주와 관련된 범죄조직이 기승을 부렸다. 술을 숨어서 마셔야 하므로 담소하면서 여유 있게 마실 수가 없었다. 빨리 마시고 술병을 치워 버려야 하므로 독주가 유행하였다. 엉뚱하게도 인접한 카나다의 위스키 업체들이 급격히 대기업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음주가 특권층과 부유층의 상징으로 간주되었고 가난한 노동자들은 좀처럼 술을 마실 수가 없었다. 밀주 제조업자들은 산업용 주정을 구입해 술을 만들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업용 주정에 유해 색소를 타서 유통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불법 주정으로 만든 술이 여전히 유통되고 1926년에는 수천 명이 사망하는 사고까지 나타났다. 이를 보고 시민들은 정부가 합법적인 살인을 저지르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또한 술로 스트레스를 풀 수 없게 된 저소득층의 폭력이 늘어나서 금주령 폐지에 대한 논란이 갈수록 치열해졌다. 결국 1933년에 금주령은 폐지되었고 오랫동안 인류가 즐겨왔던 술을 법으로 금지할 수 없다는 교훈을 남겼다.

 

우리나라에서도 금주가 법은 아니지만 국민운동으로 시행된 적이 있다. 일제 때인 1922년 물산장려운동과 함께 자급자족과 소비절약의 일부로서 기독교단체에서 시작한 금주운동이 추진되었으나 2년 만에 흐지부지 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기독교의 일부 보수 교단에서는 신도들에게 아직도 금주를 엄격히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일인당 술 소비량은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든다. 1996년 통계로는 그 비싸다는 발렌타인 30년짜리 생산량의 1/3을 한국에서 수입하고, 로얄 살루트도 1년 생산량 12만 병 가운데 1/34만 병이 우리나라에서 소비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술에는 인색하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이 책값으로는 술값의 1/10 정도밖에 지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러한 통계는 국민 모두가 분수를 모르고 외국 빚 얻어다가 잔치를 벌였던 IMF 이전의 부끄러운 수치이다. 2014년 통계를 보면 한국은 술 소비 10대 국가에 끼지 못하였다.)

 

한가한 오후, 네 사람은 미녀식당 베란다에서 포도주를 마시며 술을 주제로 재미있는 대화를 나누었다. 미스K는 간간히 오는 손님 때문에 자리를 계속 지키지 못하고 왔다 갔다 하면서도 끝까지 합석을 하였다. 다음에 또 만나서 스파게티를 먹기로 약속을 하고서 세 교수는 미녀식당을 나섰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