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생명탈핵 실크로드 방문기 12 - 중앙아시아에 묻힌 독립투사들

작성자무심거사| 작성시간19.10.25| 조회수175| 댓글 10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바다처럼 넓었던 아랄해에는 한때 약 4만 명이 어부로 생업을 유지할 정도로 어획량이 풍부했었다.
    물이 가득 찼던 호수가 사막이 되는 천지개벽이 일어났고, 뒤늦게 복원이 추진되고 있다고 한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1989년과 2008년 아랄해 위성사진 비교.
    1989년 당시 최대 수심은 102m, 면적은 68,000 ㎢
    [경기도 면적이 1만㎢, 대한민국 면적은 10만㎢]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우즈벡 항구도시의 사막화된 모습. 2011년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 삶과 목숨을 바치신 분들에 대한 예우를 생각하면 참 부족합니다.
    지난 봄 계봉우 지사와 배우자, 황운정 지사와 배우자의 유해를 고국으로 모셔왔습니다.
    그분들의 모습을 찾아보며 반성하고, 그분들의 숭고한 뜻과 희생정신을 기립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머나먼 이국땅에서 생을 마감했지만 아직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독립유공자는 모두 152위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계봉우 지사부부 생전모습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황운정 지사부부 생전모습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운동의 요람이었던 러시아 연해주.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0.26 러시아 연해주에서 활동하뎐 항일 독립운동가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교협홍보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08.18 홍범도 장군 유해는 2021년 8월15일에 조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