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생명탈핵 실크로드 방문기 27 - 터키의 국부 아타튀르크

작성자무심거사| 작성시간19.12.09| 조회수133| 댓글 22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무심거사님이 소개한 터키의 국부 아타튀르크가 예외없이 모든 터키 지폐 앞면에 새겨진 모습은 내게 매우 인상적이었다. 아직도 이슬람 전통이 뿌리깊게 남아 있지만 근대국가로서의 터키가 무엇을 지향하는 지를 대변하는 것처럼 보였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터키의 국부 아타튀르크는 종이돈 속의 인물이 될 수 있었지만 한국의 ‘국부’(?)로 삼아야 한다는 이승만대통령은 왜 지폐 속 인물로 선정되지 못하는가 하는 의문도 뒤따랐다.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이란, 사우디 그리고 터키는 모두 천 년 이상 이슬람교에 바탕을 두고 존속해왔고 현재에도 종교적 전통이 강하게 살아있는 국가들이다. 이 5개국의 종이돈에 투영된 모습을 찾아가 보았다.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오늘날까지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사우디 ‘리알’화의 도안에는 자연스럽게 재위 중인 국왕의 초상과 이슬람 종교가 중심주제이다.
    새 국왕이 즉위하면 지폐 속 옛 국왕의 초상도 사라져야 하나보다.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지폐 속 인물; 옛국왕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지폐 속 인물; 국왕 Fahad (1984–2007)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지폐 속 인물; 국왕 Abdullah (2007–2016)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이란에서는 팔레비왕이 사우디처럼 자국의 ‘리알’화 지폐 속에 건재하고 있다가 호메이니의 혁명 후 사라졌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일종의 신정(神政)체제가 수립되면서 이슬람혁명과 종교, 종교지도자 이맘의 묘당 등이 이란 ‘리알’화 지폐도안의 중심소재가 되었다.

    1000 리알화 앞면: 이맘 레자 묘당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2000 리알화 뒷면: 이슬람성지 카바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우즈베키스탄은 ‘쏨’화 지폐에 민족국가 융성시기의 인물과 문화유적을 채워 넣었다.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500 쏨 앞면: 우즈벡 국가문장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500 쏨 뒷면: 티무르왕 동상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100000 쏨 뒷면: 울루벡 천문대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현재 터키 ‘릴라’화 지폐 앞면에 예외 없이 국부인 아타튀르크를 뒷면에는 근대국가 형성에 공헌한 정치지도자와 인물들을 담아, 앞뒤면 모두 사람을 내세운 것이 특징이다.
    20 ‘리라’ 지폐 뒷면에는 20세기 초 근대국가 형성기 활약한 건축가도 등장한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아제르바이잔 ‘마나트’화 지폐에서는 인물과 이슬람 종교색채가 배제되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근대 독립국가로 새롭게 출범하면서 전근대적 봉건주의, 소련 사회주의 그리고 이슬람 종교 전통으로부터 해방되어 현 시대정신에 맞는 국가체제를 정립하겠다는 의자가 역력하다.

    5 마나트 지폐 뒷면: 영토와 고부스탄 암각화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자국영토에서 생성된 문화 예술 유산과 평화와 공존의 가치, 과학기술과 경제 발전을 추구하는 미래지향적인 내용이 ‘마나트’화 지폐의 주제이다.

    20 마나트 지폐 앞면: 권력 상징. 뒷면은 평화 문양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50 마나트 지폐 앞면: 미래세대와 과학기술, 변영발전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이제 한국 사회가 매일 품고 다니며 주고받는 지폐는 어떤 모습일까 생각해 본다.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세종대왕, 신사임당, 이 네 분은 분명 우리 역사에서 모두 위인으로 불리는 인물임에 틀림없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단풍나무 작성시간19.12.11 위에서 언급한 5 개국 지폐를 감상하면서 설정한 관점에 비추어 보면 앞면은 조선시대 인물, 뒷면은 과학기기라 할 수 있는 혼천의를 제외하고 옛 그림 일색이다.
    지폐 3장의 뒷면에는 1점의 산수화(계상정거도)와 신사임당이 그린 ‘월매도’와 ‘조충도’이다. 군주제와 유교이념의 틀이 짓게 배어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