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교대 반수 가능할까요?

작성자인혹| 작성시간19.07.12| 조회수517| 댓글 8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이름 작성시간19.07.13 안녕하세요~ 답변을 조금만 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작성자 이름 작성시간19.07.13 성적은 1학년 때에 비에 3학년 때 많이 올라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네요~ 3학년 1학기 때 1.77을 받은 것과 수학 성적이 올랐지만 다시 떨어진 것에 대해서는 자소서에 스토리로 잘 풀어내거나 2차 때 면접에서 설명해야 할 것 같아요.
    예체능 1,2 개가 b인 것은 괜찮지만, 멘티님처럼 b가 다소 많다면 면접에서 질문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자소서로 잘 풀어내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해 주세요.
    수상은 다양한 부분에서 많이 하신 것 같아서 문제될 것이 없어 보입니다~^^
    봉사 활동과 독서 역시 그 양이 평균 지원자들에 비해 뒤쳐지지 않습니다.
    세특은 기록되어 있는 과목이 영어, 법과 정치 이렇게 두 과목
  • 답댓글 작성자 이름 작성시간19.07.13 밖에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학생부 세부능력특기사항은 학생의 학업 성실성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인데 그 부분이 부족하신 것 같아요.
    그러나 절대 포기하지는 마시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자소서를 잘 써낸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멘티님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보완할 수 있는 자소서를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부를 꼼꼼히 들여다보고 그런 소재를 신중하게 선택해서 작성하신다면, 작년에도 그랬듯이 올해도 1차 통과 하실 수 있을 거예요.
  • 답댓글 작성자 인혹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7.13 이름 정말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3학년 때는.모든.세특이 기재 되어있고
    2학기때 영어와 법과 정치 세특이 추가로 기재 되었습니다. 정말 자소서 열심히 써서 꼭 합격 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작성자 잇츠유 작성시간19.07.13 현실적으로 남학생의 경우, 광주(40%)·부산(35%)·대구(30%)처럼 한쪽의 성비가 60~ 70%를 넘지 못하게 하는 교대와 25% 성비를 적용하는 청주교대를 지원해야 합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멘티님의 경우, 20학년 수시에 지원 가능 학교는 대구교대 지역인재 > 광주교대 > 부산교대 > 춘천교대 = 청주교대입니다. 대구교대 지역인재는 모집정원이 확대되어 작년 1단계 합격자의 경우, 최종합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입니다. 17~19학년까지 대구·부산은 보는 관점에 따라 남학생 선배 멘티 중에서 합·불이 갈렸지만 40% 성비를 적용하는 광주는 1단계에서 특이사항이 없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잇츠유 작성시간19.07.13 예·체능은 주요 과목만큼 평가 비중이 높지 않아 발목을 잡지 않을 것입니다. 성적 추이도 2.44->1.91->1.21->1.07->1.77>1.56 이면 작년보다 나쁘지 않습니다. 비교과도 대구교대 지역인재와 광주교대의 기준점은 통과한 것 같습니다. 부산은 18~19학년 기준 최종합격률(100%)이 높고 자소서와 교사추천서를 폐지하여 경쟁률이 오르면 누구도 합격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춘천교대의 경우, 경쟁률은 높고 내신 비중은 낮고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을 중시, 춘천에 특화(비교과 영역과 교직적·인성 항목이 탁월)되어 있어도 서류 평가에서 탈락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습니다. 쉽게 말하면 1단계 합격 예측이 어려운 교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잇츠유 작성시간19.07.13 따라서 올해 춘천은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 수능 최저 없는 ‘수시에 올인’하는 학생과 1단계 합격 안정성을 중시하는 지원자의 지원은 줄어들어 경쟁률이 오르더라도 예상만큼 실질 경쟁률은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인혹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7.13 잇츠유 감사합니다. 이렇게.구체적이고 꼼꼼한 답변 수시 지원 할때 정말 큰.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