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Q&A] 제 생기부는 괜찮은 편인가요?? 어느 점이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면접관님들이 어떻게 생각할까용

작성자잇츠유| 작성시간16.08.22| 조회수617| 댓글 9

댓글 리스트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잇츠유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6.08.22 성취도 평가는 교과 석차 등급과 함께 전 교과에 대한 성실함을 평가하는 중요한 평가 지표입니다. 그래서 서울대는 '학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신 등급이라기보다 수업 활동이다. 오직 ▲학업 역량(학업 성취도) ▲학업 태도(수업 태도 등 공부와 관련된 열정) ▲학업 외 소양(학교생활·봉사활동·사회성 등) 세 가지 영역으로만 나눠 평가한 뒤 이를 종합한다. 교실 내 수업활동 내역이 성취도 평가로 나타나며 최근 입학 사정 평가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잇츠유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6.08.22 일선 학교에선 처음 학생부종합전형이 도입됐을 때 학생부가 중요하다고 하니 학생부에 기록하는 글자 수를 늘리려고 애썼습니다.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예로 들면 교과 담당 교사들은 똑같이 들어가는 공통 문구로 반 이상을 채우고, 나머지는 담당 교사들 사이에서 “족보”처럼 도는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문구를 적당히 조합하여 학생부를 작성했습니다.

    입사관이 생각하기에 전교 1등의 학생부 분량이 그 학교 선생님들의 성의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던 시절이니 지금 시점에서 보면 어쳐구니없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작성자 잇츠유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6.08.22 너무 저의 능력중심으로 기술한 것 같나요??ㅠ
    →나쁘지 않아요.
    관심을 기울이는 것의 중요성 깨달음- 수업방식을 아이들입장에서 생각해봄- 문제 발생에서 더 사실적(구체적)인 서술이 필요하며 문제 해결보다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전체 분량(절반 이상)을 조절하면 괜찮아요.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잇츠유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6.08.23 최근 뒤늦게 가입한 멘티님이에요.자소서 컨설팅 신청자는 물론 아니며 항상 형평성을 고려해서 발제 글을 통해 학생부와 관련된 궁금한 점과 수시 지원 학교에 대한 가능성 검토 및 유리한 학교를 판단하는 수시지원컨설팅입니다. 항상 멘티들의 형평성을 고려해서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지만 답변 기일에 대한 압박으로 시간 분배의 어려움이 있어요. 자기소개서 프로그램을 서둘러 마감한 이유도 여기에 있답니다. 다음 주에는 해결될 듯합니다. 인사말조차 쓰기 어려운 형편을 이해하길 바랍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