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김현기토지 칼럼

수도권이 규제1번지인 이유

작성자김방기|작성시간22.11.17|조회수45 목록 댓글 0




 

 

 

 

수도권이 규제1번지인 이유

 

 

 

 

1. 개발의 타당성이 높은

 난개발 온상이 바로 수도권이기 때문

 

 

즉 개발의 다양성과 타당성, 그리고

난개발 그 중간 지점이 바로 수도권인 것

 

예) 수도권정비계획법의 필요성↗

 

 

 

 

 

2. 서울특별시와 그 주변가치↗

 

예) 위성도시의 가치↗

 

 

 

 

 

3. 희소성과 잠재성이 정비례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

(빼어난 입지, 독보적 위치)

 

예) 국토 면적의 11% 정도의 공간에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집중되어 있는 지경

 

그래서 집중 관리가 필요한 것

(예-과밀억제권역)

 

 

 

 

 

 

 

요컨대 비수도권의 규제 색깔과 수도권 규제 색깔이 판이한 건

인구의 다양성 및 다변화 현상 때문

 

 

 

 

 

수도권 인구의 특징 - 젊은 동력↑

(출산가능인구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신뢰성↑)

 

 

 

비수도권 인구의 특징 - 비경제활동인구↑

 

(∵수도권 관련 대기업 집중도가 너무 높기 때문

 

학교, 직장 문제로 비수도권의 젊은 인구가

수도권으로 꾸준히 유입)

 

 

 

수도권의 단기 규제 목적 - 거품제거의 수단

 

수도권의 장기 규제 목적 - 난개발 제거의 수단으로 이용

 

 

 

비수도권의 규제 목적 - 자연보호

 

 

 

 

 

4. 그린벨트1번지

 

서울과 경기지역이 각기 25%정도 차지

 

(∵인구폭증현상에 의한 난개발현상!

그에 따른

투기세력이 강해짐에 따라

그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는 판국

 

그러나 신도시 개발할 때

반드시 필요로 하는 땅이 그린벨트!

땅투자자입장에선 그린벨트가 필요악이 될 수도 있음)

 

 

의왕, 과천, 하남 등 땅 덩어리가 넓지 않은

지역 - 그린벨트1번지

 

하남 - 77% 정도가 그린벨트

 

과천과 의왕은 80%대 보지

 

참고로 자연환경보전지역이 많은

제주특별자치도엔

그린벨트가 하나도 없다

과거 다 해제되었기 때문이다

 

 

 

 

5. 서울의 힘↗

 

예) 서울은 재개발1번지

재건축1번지

 

(∵실수요 겸 투자자가 급증세

 

물리적 안전성보단

경제적 가치에 집착하다 보니

재개발 난발)

 

 

 

 

경기도의 힘↗

 

에) 신도시의 힘↗

 

(국가 주도의 1,2,3기 신도시의 연동 및 연계

 

현재 및 미래가치↑)

 

 

인천의 힘↗

 

3개의 국제도시 보유

(영종+송도+청라국제도시=인천경제자유구역)

 

검단신도시와 계양신도시(각기 2,3기 신도시) 등의 개발로 인해

인천의 현재 및 미래가치가 높아질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공격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유리한 여건 

 

 

 

 

 

수도권 - 규제일변도

(∵주거인구↑ 개발계획↗

보존과 개발을 동시다발적으로 이행 중

 

중첩규제와 중첩개발 가능

 

예컨대 그린벨트 해제하여

개발과정 밟는다)

 

 

비수도권 - 보호와 보존 일변도

(∵관광인구와 관광지↗

해양국립공원의 존재가치↗)

 

 

 

수도권의 지역상징물 - 아파트와 대기업의 높은 존재가치

 

 

비수도권의 지역상징물 - 

대자연의 존재감(또는 박진감이나 생동감)

 

 

 

수도권의 공기(대기상태)는 더럽지만

지방오지 등은 그 반대의 상황

 

공기청정지역이자 거품청정지역을 보지할 수 있는 연유다

 

 

 

 

 

 

수도권 땅값이 지방 땅 보다 

비싼 근본적인 이유 -

 

개발공간의 차이 때문

 

수도권정비계획 유무의 차이 때문(필요성의 차이)

 

수도권 안엔 반드시 과밀억제권역이 존재

(서울의 경우 수도권의 대표적 과밀억제권역.

과밀억제권역의 표본이다)

 

보존가치와 개발가치가 모두 높다

(예-성장관리권역과 자연보전권역

 

경기도 용인의 경우

성장관리권역이자 자연보전권역)

 

인구유입 및 증가현상이 꾸준히 일어나고 있기 때문

 

땅값은 무조건 사람들이 올리기 마련

 

두 사람이 올리는 것과 400명이 올리는 것과는

극과 극의 차이

 

10만 명이 담합, 단합하여 올리는 가치와

100만 명이 담합, 단합하여 올리는 가치는

역시 극과 극

 

 

 

 

 

비수도권의 개발공간이 넓은 이유 -

지방자치제도의 영향력 때문

 

항상(!) 위정자의 개발공약이 풍부

(일단 창의력과 기획력이 뛰어나기 때문))

 

 

예) 농공단지조성

휴양시설조성

(웰빙의 필요성 대두)

 

 

 

 

 

비수도권의 강점 - 

(개발과 관련)규제수위↘

(∵맹지 규모와 범위↑)

 

 

 

 

수도권의 맹지 상태 - 사업용토지를

확보한 대기업의 좋은 먹잇감

 

(∵접근성 높은 맹지의 미래가치가 곧

대규모 아파트단지 조성!)

 

 

 

'김현기의 토지이야기'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카페회원님들은 같이이용하시면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