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2008 서울 한남 2고가

서울시의 자동차전용도로 일부구간 해제와 고가도로 일부구간의 이륜차 통행금지해제 의견입니다.

작성자Chopaksa|작성시간08.05.18|조회수619 목록 댓글 4

제가 네이버 지식인에 올린 질문 중에서 서울시내의 자동차전용도로 일부구간 해제와 고가도로 일부구간의 이륜차 통행금지 해제에 대한 질문을 올려 보았습니다. 아래의 내용이 네이버 지식인에 올린 질문을 그대로 복사 한 것입니다.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2&dir_id=1201&eid=lBP7VukwayM7mTy7tcVm3DNCBrG1ajw0

------------------------------------------------------------------------------------------

저는 고속도로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240~250cc 이상의 이륜차의 통행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원래는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막연한 위험으로 이륜차의 통행을 반대했으나 이륜차단체를 알게 된 다음 원래는 이륜차가 고속도로와 자동차전용도로의 통행을 정해진 배기량을 넘는 이륜차라면 통행이 가능했으나 언제부터인가 통행이 금지가 된 것을 알게 되었으며 고속도로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240~250cc 이상의 이륜차의 통행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아래의 홈패이지가 이륜차단체의 홈패이지입니다.

 

http://www.code63.com 

http://cafe.daum.net/twowheel

http://cafe.naver.com/autobiker

 

서울의 한강변에 있는 자동차전용도로 중 강변북로(한강변 북쪽에 있음, 가양대교~구리시), 올림픽대로(한강변 남쪽에 있음, 행주대교~강동대교), 내부순환로(서울 도심 주변을 순환, 성산대교 북단~성수동), 동부간선도로(중랑천변과 탄천변에 있으며 강변북로의 성수대교와 청담대교 구간과 겹침, 의정부시 경계~복정 또는 분당), 서부간선도로(안양천변에 있으며 1번국도의 자동차전용도로 구간 ,성산대교 남단~시흥)를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는게 좋다는 생각은 아닙니다만 서울시의 도로 중 지도상에서 고속화도로로 표시되지 않은 간선도로의 일부가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고 서울시내의 자동차전용도로 중에서 삼거리 또는 사거리 형태로 되어 있는 교차로와 신호등이 있고 버스정류장이 설치되어 있고 도로변에 인도가 있어 자동차전용도로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도로도 있어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야 하는 도로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자동차전용도로 해제에 대한 의견이 어떤가요? 

 

아래의 지도 중에서 노란색으로 표시된 도로는 고속화도로 또는 자동차전용도로이며 파란색 선은 고속화도로 또는 자동차전용도로이지만 지도상에서 고속화도로 또는 자동차전용도로로 표시되지 않으며 제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야 한다고 생각하는 도로이며 퀵서비스를 하시는 분들이 이륜차 통행을 요구하는 도로이기도 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남부순환로의 시흥IC~구로IC~오류IC 구간입니다. 시흥IC~구로IC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지만 구로IC~오류IC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지 않았고 버스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노들길(성산대교 남단~한강대교 남단)입니다. 지도상에서 옆에 올림픽대로가 지나고 있으며 노들길이 고속화도로 또는 자동차전용도로로 표시되어 있지 않고 일반도로처럼 표시되어 있지만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이 되어있어 이륜차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으며 버스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양재대로 구간입니다. 노들길과 남부순환도로와 마찬가지로 지도상에서는 일반도로로 표시되어 있지만 자동차전용도로입니다. 양재대로는 노들길과 남부순환도로의 구로IC~오류IC와는 달리 삼거리 형태로 되어 있는 교차로도 있으며 그 교차로에는 신호등이 있으며 도로변에 인도도 있어 자동차전용도로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아래는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이 되어있지 않았지만 서울시의 고가도로의 일부를 보면 이륜차의 통행이 금지된 고가도로도 있습니다. 파란색 선으로 표시한 곳이 이륜차의 통행이 금지된 고가도로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남대교 북단과 가까이 있는 한남고가도로입니다. 중차량제한으로 20t 이상 화물차와 버스의 통행이 금지되어있지만 승용차보다 가벼운 이륜차의 통행도 금지가 되어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현고가도로입니다. 충정로역에서 신촌으로 가거나 신촌에서 충정로역으로 갈때 아현고가도로를 지나면 짧은 시간에 갈수 있지만 이륜차의 경우 통행이 금지되어 있어 이륜차의 경우 충정로삼거리나 아현교차로에서 신호를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화양고가도로입니다. 한남고가도로처럼 대형화물차와 버스의 통행도 금지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륜차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라매고가도로입니다. 보라매공원과 구로디지털단지역 사이에 있는 고가도로로 이륜차의 통행이 금지가 되어있어 이륜차의 경우 아현고가도로처럼 신호등이 설치된 교차로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고가도로를 이용하는것보다 소요시간이 길수밖에 없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Chopaksa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8.05.18 네이버 지식인에 올린 위의 내용과 같은 올린 질문이 네이버 지식인 운영자가 삭제를 했습니다. 제 생각으로 네이버 지식인 운영자가 홍보성이 있는 질문으로 판단되어 삭제를 한 모양입니다.
  • 작성자슈퍼깐돌이 | 작성시간 08.05.18 남부순환로가 .........해제가 되야되는데도 불구하고 그대로 놔두며 집중 단속기간에 건수 올리는 명당자리가 된계기는....아실분들은 아실거지만.....과거 그곳에 통행료 백원씩 내는곳이 있었지요......아마도 그당시에 통행료 내는곳이니 이륜차 금지해놨다가....통행료 내는 시설이 사라진 지금도...그대로 이륜차 금지가 유지되는듯 합니다......참 웃기지요....버스정류장도 있고 온갖 화물차 쓰레기차가 돌아다니는데 이륜차만 못다니게 한다니 참.....한심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서형운 | 작성시간 08.05.19 맞아요.. 버스정류장이 있는데 그 구간만 조금 지나면 되는데 막아버려서 불편이 이만 저만이 아니죠.. 물론 그냥 무시하고 가면되지만 그래도 편하게 주행하는거랑 쫒기듯이 주행하는거랑은 틀리니까요.
  • 작성자엠피삼 | 작성시간 08.05.19 정부에 이륜차 통행 금지로의 근거를 전면 재 검토 해 주기를 이제는 바랄때가 되지 않았나 싶네요. 전체 이륜차에게 혹은 검토와 주행테스트 등을 의뢰해서 특정 배기량 이상의 통행, 금지 도로는 특별하고 과학적인 근거, 예를 들면 고가도로라면 사고후 밖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안전막 설치 이전까지는 통.금 등... 이런 이해 되는 해석을 과학적 근거와 전문가의 주행 테스트 이후 정확하게 발표하여 들어 봤으면 좋겠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