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20) 권리회복 방해하는 무서운 적

작성자Peter Kim| 작성시간12.07.26| 조회수640| 댓글 8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맑은이슬 작성시간13.06.04 어제 모 두카티 동호회원 9명이 교통법규위반 혐의로 입건되는것을 보면서 종일 맘이 안좋았습니다. 그들의 행위가 사실이라면 마땅히 처벌받고 지탄을 받아야하지만 언론은 행위의 본질보다는 그외의 배경을 더부각시키는것 같습니다.
    그내용을 보면 교통법규 위반사실보다는 전문직이 포함된 고가의 외제오토바이라는 것을 유난히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고가의 외제 이륜차를 타고다니면 무언가 비정상적이고 폭주족일것이다라는 인상을 받을수밖에 없는 보도내용입니다.
    저들의 행동을 두둔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그토록이나 갈망하는 이륜차의 권익회복을 더욱 더디게 할 뿐이라는 생각입니다.
  • 작성자 곰뎅뎅 작성시간13.09.02 ㅠㅠ우리동네....ㅠㅠ저는 안운하겠습니다...
  • 작성자 ♡Desmosedici♡ 작성시간14.09.03 저도 과거 배달했을 때 저런식으로 달리곤 했었는데 저게 순간 스트레스나 화는 풀릴지 모르나 재수없으면 큰 부상을 입거나 사망까지 할 수있는 위험한 라이딩 행태입니다. 그러나 배달을 그만 둔후로는 안전하게 라이딩을 하려고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만 최대한 안전하게 라이딩하고 있습니다. 진짜 궁극적인 스트레스나 화를 풀려면 차라리 가만히 가부좌나 반가부좌로 앉아서 명상을 하거나 조용한 숲길을 걸으면서 보행명상을 하는 것이 그보다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 작성자 Peter Ki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4.09.04 사실 자동차 운전은 스트레스를 푸는데 도움이 된다고들 말합니다. 이륜차는 더 많은 스트레스를 풀어 주는 게 사실이지요. 하지만 님의 말씀과 같이 몸은 하나밖에 없고, 치료는 첫째 돈이 많이 들고, 회복에는 한계가 있으니 삼가거나 조심해야지요. 사실 이런 것을 교육시켜야 하는데 아직 경찰청이 이륜차를 포함한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교육 기준이 미비해서 걱정입니다.
  • 작성자 totory2000 작성시간15.01.01 이륜자동차를 저렇게 타니 이륜자동차를 안좋게 보는거죠 저렁거 단속안하시나요
  • 작성자 biker 작성시간16.06.14 권리도 없는데 무슨 의무는............ㅆㅃ...알아서 타는 거죠...ㅠㅠㅠ
  • 작성자 CREA 작성시간16.11.03 이륜차만 문제가 아닙니다.
    도로의 자동차들.. 2차선 3차선 다 적당한 흐름인데도 1차선으로 저속주행하는 차량도 문제있습니다.
    차선이 세개일 경우 3차선으로 주행을 하고 추월시 2차선을 이용하고,
    2, 3차선이 차량이 많아 저속주행할 때, 1차선으로 추월하고 등등
    이런 차선유지가 제대로 이어지면,
    바쁜 차들은 좌측차선 이용하고 천천히 갈 차들은 우측차선 이용하고...
    그렇게 하면 누가 칼치기 하나요....
    사륜차든 이륜차든... 조금 급해서 빨리 가려는데,
    앞에 몇대 안되는 차들이 차선 다 차지하고 주행하니깐 이리저리 빠져서 앞으로 가려는 거지요.
  • 답댓글 작성자 Peter Ki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6.11.05 이 말씀에는 제가 답글을 달겠습니다.
    급하면 지그재그 해도 됩니다.(바쁨과 급함은 다름)
    다만, 조건이 있는데, 상향등 켜고, 껌뻑껌뻑, 경적을 울리며, 비상차량임을 밝혀야 합니다. 즉, 사회적 입장에서 빨리 가야 할 이유가 있는 "긴급"이라면 당연한 것입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긴급이 아니라면..)
    주변차량의 속도가 이미 제한속도를 상회하는 상황에서는 양보를 강요하거나 해야 할 의무가 없다는 것입니다.
    “즉”, 예절 상, 에티켓으로 비켜주면 모를까...
    다시 말씀드려, 원래 추월차로가 없는 일반도로에서
    좌측차로 주행차량이 이미 제한속도를 넘어서고 있다면 지그재그 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