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의 신도시
1. 대런던 계획
1) 대런던계획
전후 영국의 도시정책은 1944년 대런던 계획(Greater London Plan)에 포함
아버크롬비(1879~1957) : 20세기 건축가이며 도시계획가
「County London Plan」, 「Greater London Plan」의 두가지 계획으로 실현적, 유기적 지역계획의 선구자역할
대런던 계획은 그린벨트와 신도시 사상의 실현을 가져와 세계 여러나라에 영향을 미침
대런던 계획은 그린벨트의 개념을 실현한 계획으로, 런던의 분산화에 초점을 두고 있음
2) 8개의 신도시 제안
대런던 계획에서의 도심부 분산에 대한 대책으로 하워드의 전원도시를 발전시킨 신도시 건설
도심의 분산화를 위해 건설된 신도시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자족성
도시내부에 집중되어 있는 산업시설과 인구를 외곽농촌지역의 신도시로 분산시키는 것
3) 교통계획
신도시간 접근성과 중심부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통기반시설계획
새로운 순환체계와 철도체계를 계획에 반영
4) 그린벨트
구분 |
계획 |
계획가 | |
대런던계획 |
그린벨트를 활용한 런던분산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
<패트릭 아버크롬비(Patrick Abercrombie)> | |
그린벨트 |
8km의 폭을 가진 지역 대런던 계획에서 제시된 4개의환상대(Four Ring) 중 하나 |
| |
설치목적 |
런던중심부의 확산방지 도심부와 농촌부간의 연담화 방지 도시민에게 휴양공간이 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 제공 | ||
4개의 환상대 (The 4Rings) |
도시내부 |
인구와 산업시설의 집중이 가장 심한 지역으로 분산화의 목표가 되는 지역 | |
교외지역 |
계속해서 도심부로부터 확산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 | ||
그린벨트 |
강력하게 규제되는 지역으로, 도시의 확산을 방지하고, 오픈 스페이스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지역 | ||
외곽농촌지역 |
도심부 인구를 분산할 수 있는 대상지이며, 신도시 건설의 대상지 |
|
|
전원도시 개념을 런던에 접목. 패트릭 아버크롬비 교수의 1944년 대런던계획에 의해 10개의 새 위성도시와 지역벨트 계획이 제안된 지역 |
2. 영국의 신도시
1) 신도시의 배경
하워드의 전원도시이념에 따라 경제성 있는 자족도시 표방
아버크롬비의 그린벨트를 활용하여 신도시를 계획
페리의 근린주구이론 도입으로 중심에 국민학교, 공공시설, 편익시설 등 커뮤니티 시설 입지
2) 신도시의 계획내용
계획인구 2~6만, 토지이용은 중심지구․주거․공업 3개의 지구와 녹지로 구성
계획인구 10만 이상, 런던의 인구흡인력에 대항하여 100㎞권내에 기존도시를 중핵으로 인구 수십만의 신도시를 개발
대대적으로 산업을 유치하여 대규모의 흡인력을 가진 자족도시를 건설
런던시가지의 인구분산과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
- 런던주위에 폭 8㎞의 그린벨트 설정
8개를 런던주위에 배치하여 125만명을 공업과 함께 분산 수용
3. 영국 신도시의 형태 및 사례
영국의 신도시는 시가지 구조와 근린주구의 계획방식이 변화함
구분 |
도시 |
내용 |
제1기 신도시 (1946~1950) |
독립적이고 제한적인 이동성과 방사형, 분산형의 소규모 도시 형태 | |
Stevenage(1946) Crawley(1947) Hemel Hempstead(1947) Harlow(1947) Newton Aycliffe(1947) East Kildride(1947) Hatfield(1948) Glenrothes(1948) Peterlee(1948) Welwyn(1948) Basildon(1949) Cwmbran(1949) Bracknell(1949) Corby(1950) |
원론적인 근린주구론에 의한 계획 인구 6천의 근린주구가 2~3개 모여 지구를 구성 지구가 4개 모여 도시를 구성하는 3단계의 시가지 구성기법을 사용 건설 목적은 도시의 과밀에 대응하여 좀 더 저밀도의 환경과 주민들의 활동의 패턴을 담을 수 있는 커뮤니티 구성 | |
제2기 신도시 (1951~1964) |
차량에 의한 이동성의 증가로 도시의 정체성이 밀집된 선형의 형태 | |
Cumbernauld(1955) Skelmersdale(1961) Livingston(1962) Telford(1963) Runcorn(1964) Redditch(1964) Washington(1964) |
목표인구의 증가에 따라 제1기의 신도시에 비해 더 큰 규모로 계획 규모의 변화는 교통의 변화를 수반하여 보행과 자전거 통행에서 대중교통으로 변화하여 이동성 증가 접근성의 향상과 도시성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인해 선형으로 변화 도시 밀도를 대폭 올려서 도심의 다양한 토지이용을 수용 개방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주구는 800m x 400m 의 블록규모와 인구 4~5천명을 기본 단위로 설정 신도시 중앙의 중심지구로 통하는 보행자도로가 계획되고, 내부 도심에 전 인구의 60%가 거주 외곽은 부도심을 가진 3개의 근린주구가 위치 | |
제3기 신도시 (1951~1964) |
두 가지 경향이 통합되며, 도시조직을 자유롭게 수용하기 위한 개방된 형태 | |
Cragavan(1965) Antrim(1966) Irvine(1966) Ballymena(1967) Milton Keynes(1967) Peterborough(1967) New Town(1967) Warrington(1968) Northampton(1968) Londonderry(1969) Central Lancashire(1971) |
저밀의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설계 버스전용도로를 설치하여 대중교통에 의한 접근성을 높여 중심시설과 주거의 입체적 구성을 통해 도시상징성 재고 도시의 평면 형태는 약간 불규칙한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간선도로망은 사방 약 1km의 격자형으로 구성 환경지구 라고 불리는 지구에는 5,000명을 위한 근린주구로 설정 보행자도로는 고가 또는 지하로 차도와 입체교차 교차지점은 활동중심(activity center)으로서 상점·초등학교·교회·도서관 등 생활편익시설이 집중 커뮤니티 센터는 모든 주택으로부터 500m를 넘지 않도록 설정 |
|
|
|
Harlow(1947) |
Cumbernauld(1955) |
Milton Keynes(1967) |
영국 지역계획의 변천
시기 |
내용 |
1939년 |
바로우 보고서(Barlow Report) - 2차대전 이후 런던을 중심으로 한 동남부지역 - 산업ㆍ인구ㆍ고용의 집중(도시화)에 따른 지역불균형문제의 심각성 부각 - 인구 및 산업의 지역분산을 위한 동남부 지역에의 공업입지의 강력한 규제 |
1942년 |
스코트보고서(Scott Report) -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위원회(The Committee on Land Utilization in Rural Area) 작성 - 그린벨트와 농촌 계획을 제도화하는데 기여 |
아스와트 보고서(Uthwatt Report) - 보상과 토지개발이익에 관한 전문위원회(The Expert Committee on Compensation and Betterment) 작성 -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원과 토지의 공개념화를 제언 | |
1944년 |
아베크롬비의 대런던계획 (Abercrambie`s Greater London Plan) |
1945년 |
국립공원체계 설정보고서(The Bower Report on National Parks) |
1947년 |
공원관리조직에 관한 세부연구보고서(Hobhouse Committee Report on National Parks Admin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