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老子) 도덕경 21장(章)
“황홀하도다!” - 惚兮恍兮
孔德之容(공덕지용) 惟道是從(유도시종)
공덕(孔德)의 태도는 오직 도를 따른다.
道之爲物 惟恍惟惚(도지위물 유황유홀)
도가 물질을 위해 하는 일은 오직 황홀하다.
惚兮恍兮 其中有象(홀혜황혜 기중유상)
홀황(惚恍)하다! 그 속에 상(象)이 있다.
恍兮惚兮 其中有物(황혜홀혜 기중유물)
황홀(恍惚)하다! 그 속에 물(物)이 있다.
窈兮冥兮(요혜명혜) 其中有精(기중유정)
그윽하고 감감하다(窈冥 요명)! 그 속에 정(精)이 있다.
其精甚眞(기정진심) 其中有信(기중유신)
그 정(精)은 참으로 진실하다. 그 속에 믿음이 있다.
自古及今(자고급금) 其名不去(기명불거)
예부터 지금까지 그 이름(道)이 사라지지 않고,
以閱衆甫(이열중보)
만물을 거느리고 있다.
吾何以知衆甫之狀哉(오하이지중보지장재) 以此(이차)
내가 어떻게 만물의 실상을 아는가! 이렇게 안다.
<왕필본>
孔德之容, 唯道是從, 道之爲物, 惟恍惟惚, 惚兮恍兮,
其中有象, 恍兮惚兮, 其中有物, 窈兮冥兮,其中有精,
其精甚眞, 其中有信, 自古及今, 其名不去, 以閱衆甫,
吾何以知衆甫之狀哉, 以此
孔德之容(공덕지용), 唯道是從(유도시종)
'매우 큰 덕의 모습은, 오로지 도를 따르는 것이다'
道之爲物(도지위물), 惟恍惟惚(유황유홀),
도라는 것은 만물을 위한 것으로,
있는 듯 없는 듯 흐릿하고 으슴프레할 뿐이다.
惚兮恍兮(홀혜황혜), 其中有象(기중유상),
있는 듯 없는 듯, 흐릿하고 으슴프레하지만, 그 안에 형상이 있다.
恍兮惚兮(황혜홀혜), 其中有物(기중요물),
있는 듯 없는 듯 으슴프레하고 흐릿하지 없지만,
그 안에 만물이 있다.
窈兮冥兮(요혜명혜), 其中有精(기중요정),
그윽하고 아득해보이지만, 그 안에 오묘함이 있다.
其精甚眞(기정심진), 其中有信(기중유신),
그 오묘함은 지극히 참된 것으로 그 안에 진실함이 있다.
<백서본>
孔德之容, 唯道是從. 道之物, 唯恍唯忽. 忽呵恍呵, 中有象呵. 恍呵忽呵, 中有物呵. 幽呵冥呵, 中有情呵. 其情甚眞, 其中有信. 自今及古, 其名不去, 以順衆父, 吾何以知衆父之然. 以此
自古及今(자고급금), 其名不去(기명불거),
옛부터 지금까지, 그 이름이 사라진 적이 없으니,
以閱衆甫(이열중보),
그에 따라 만물의 태초를 가려 볼 수 있는 것이다.
吾何以知衆甫之狀哉(오하이지중보지상재), 以此(이차).
내가 어찌, 만물의 태초가 이러함을 알 수 있겠는가?
다름 아닌 이것 때문이다'
이 장과 관련 장자는 제물편(齐物篇)에서 이런 말을 했다.
"大道不称,大辩不言,大仁不仁,大廉不谦,大勇不忮。
큰 도는 겨루지 않고, 큰 변론은 말로 하지 않으며,
큰 인은 어진 척하지 않고, 큰 청렴은 겸손한 척하지 않으며,
큰 용기는 남을 해치지 않는다.
道照而不道,言辨而不及,仁常而不成,
廉清而不信,勇忮而不成。
도가 드러나면 도가 아니고,
시비를 가리려는 말은 미치지 못하는 데가 있으며,
인이 한결같아서는 이루지 못하고,
청렴이 맑기만 하면 신뢰를 얻지 못하고,
용기가 남을 해치면 이루지 못한다.
五者圆而几向方矣。故知止其所不知至矣。
이 다섯가지는 둥굴지만 모나기 쉽다.
그러므로 지식도 알지 못하는데(不知)에 이르러 머무는 것이
최고의 지식이다.
孰知不言之辨,不道之道。
말하지 않고서도 밝힐 수 있는 말을 누가 알 것이며,
도라고 하지 않아도 도인 것을 누가 알 것인가
(지식은 무한하고 생명은 한정되어 있으니
누구나 다 배우다 마는 것이 아니겠는가?).
若有能知,此之谓天府。
만일 이를 능히 알수 있다면,
이를 두고 천부(도인)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