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마음 공부

The Illusion of Reality 실제에 대한 착각

작성자山木|작성시간23.10.18|조회수51 목록 댓글 1

The Illusion of Reality

실제에 대한 착각

peter russell

All that we see or seem

is but a dream within a dream.

우리가 보거나 보이는 모든 것은

꿈속의 꿈일 뿐이다.

Edgar Allen Poe에드거 앨런 포

The new metaparadigm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consciousness is a primary quality of reality. And it can be considered primary in two distinct ways. The first I have just outlined: the faculty of consciousness, the capacity for experience, is present in all things. The second way in which consciousness is primary is the fact that we never directly experience the world around us. All we ever know are the contents of consciousness, the thoughts, feelings, perceptions and sensations that appear in the mind. This one fact leads to a radical rethink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reality.

새로운 메타 패러다임metaparadigm은 의식이 현실의 일차적 품질이라는 전제에 근거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일차적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내가 방금 설명한 첫 번째는

의식의 능력, 경험의 능력이 만물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의식이 가장 중요한 두 번째는

우리가 결코 우리 주변의 세계를 직접 경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모든 것은 의식의 내용, 생각, 감정,

지각, 감각이 마음에 나타나는 것이다.

이 한 가지 사실은 의식과 실재 사이 관계를 급진적 사고로 이끈다..

 

The idea that we never experience the physical world directly has intrigued many philosophers. Most notable was the eighteenth-century German philosopher Immanual Kant, who drew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forms that appear in the mind–what he called the phenomenon (a Greek word meaning "that which appears to be")–and the world that gives rise to this perception, which he called the noumenon (meaning "that which is apprehended").

All we know, Kant insisted, is the phenomenon. The noumenon, the "thing-in-itself," remains forever beyond our knowing.

우리가 결코 직접 물리적 세계를 경험하지 않는다는 생각은 많은 철학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였는데, 그는 그 현상("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이라고

불리는 형태와 이러한 인식을 일으키는 세계("수집된 것"이라는 뜻)를 명확하게 구분했다.

우리가 아는 것은 현상뿐이라고 칸트는 주장했다. ' 물 그 자체'인 본체는 우리가 알 수 없는 범위에서 영원히 남아 있다.

 

A century earlier, the British philosopher, John Locke, had argued that all knowledge is based on perceptions, caused by external objects acting on the senses. But whereas Locke thought that perception was passive, the mind simply reflecting the images received by the senses, Kant proposed that the mind i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process, continually shaping our experience of the world. Reality, he saw, is something we each construct for ourselves.

한 세기 이전, 영국 철학자 존 로크는 모든 지식은 감각에 작용하는 외부 물체에 의해 야기된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로크는 그 인식은 수동적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마음은 감각에 의해 받은 이미지를 단순히 반영하는 것이었지만,

칸트는 마음이 그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형성한다고 제안했다. 실재는 우리 각자가 스스로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그는 보았다.

 

Unlike some of his predecessors, Kant was not suggesting that this reality is the only reality. The Irish theologian, Bishop Berkeley, had argued that we know only our perceptions, and had then concluded that nothing exists apart from our perceptions, –which led him into the difficult position of having to explain what happened to the world when no one was perceiving it. Kant held that there is an underlying reality, but we never know it directly. All we can ever know is how it appears in our minds.

그의 전임자의 일부와는 달리, 칸트는 이 현실이 유일한 실재라고 제안하지 않았습니다.

아일랜드 신학자인 버클리 주교는 우리가 우리의 인식만 알고 있다고 주장했고, 그 후 우리의 인식과는 별개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고, 그것은 아무도 그것을 인식하지 않을 때 세상에 일어난 일을 설명해야 하는 어려운 입장으로 그를 이끌었다.

칸트는 근본적인 실재가 있다고 주장했지만,

우리는 결코 그것을 직접적으로 알지 못한다.

우리가 알 수 있는 모든 것은 그것이 어떻게 우리의 마음속에 나타나느냐 하는 것이다.

 

As to the ultimate things we can know nothing,

and only when we admit this do we return to equilibrium.

궁극적인 것들에 관해서 우리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이것을 인정해야만 평형상태(평정)로 되돌아간다.

칼 융 (Carl Jung)

 

The Image In the Mind

마음속 이미지

Remarkably, Kant came to these conclusions without any of our current scientific knowledge, or any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y of perception. Today we know a lot more about how the brain constructs its picture of reality.

놀랍게도 칸트는 현재의 과학적 지식이나 지각의 생리학에 대한

이해도 없이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다. 오늘날 우리는 뇌가 어떻게 현실을 그려내는지에 대해 훨씬 더 많이 알고 있다.

 

When I look at a tree, light reflected from the tree forms an image of the tree on the retina of my eye. Photo-sensitive cells in the retina discharge electrons, triggering electro-chemical impulses that travel down the optic nerve to the visual cortex of the brain. There the data undergoes a complex processing that detects shapes, patterns, colors and movements. The brain then integrates this information into a coherent whole, creating its own reconstruction of external world. Finally, an image of the tree appears in my consciousness. Just how my neural activity gives rise to a conscious experience is the "hard problem" we touched on earlier. But even though we have no idea how an image appears in the mind, it does happen. I have the conscious experience of seeing a tree.

나무를 볼 때, 나무에서 반사된 빛은 눈의 망막에 나무의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망막의 광 감각 세포는 전자를 방출하여 시신경을 따라 뇌의 시각 피질까지 이동하는 전기-화학적 자극을 유발합니다. 여기서 데이터는 모양, 패턴, 색상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잡한 처리를 거친다. 그런 다음 뇌는 이 정보를 일관된 전체로 통합하여 외부 세계의 자체 재구성을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나무의 이미지가 내 의식 속에 나타난다.

단지 내 신경 활동이 의식적인 경험을 불러 일으키는 방식으로,

우리가 앞서 건드렸던 "어려운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이미지가 마음속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전혀

알지 못하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납니다.,나는 나무를 보는 의식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Similar activities take place with the other senses. A vibrating violin string creates pressure waves in the air. These waves stimulate minute hairs in the inner ear, which send electrical impulses on to the brain. As with vision, the raw data are then analyzed and integrated, culminating in the experience of hearing music.

비슷한 활동이 다른 감각과 함께 이루어집니다.

진동하는 바이올린 끈은 공기 중에 압력 파를 만들어낸다.

시각과 마찬가지로 원시 데이터는 분석되고 통합되어 음악을 듣는 경험으로 절정에 달합니다.

 

Chemical molecules emanating from the skin of an apple trigger receptors in the nose, leading to the experience of smelling an apple. And cells in the skin send messages to the brain that lead to experiences of touch, pressure, texture and warmth.

사과의 껍질에서 나오는 화학 분자는 코의 수용체를 유발하여 사과 냄새를 맡는 경험을 하게 합니다. 피부의 세포는 촉감, 압력, 질감, 따뜻함을 경험하게 하는 메시지를 뇌로 보낸다.

 

In short, all that I perceive–all that I see, hear, taste, touch and smell–has been reconstructed from sensory data. I think I am perceiving the world around me, but all that I am directly aware of are the colors, shapes, sounds and smells that appear in the mind.

요컨대 내가 지각하는 모든 것,

내가 보고 듣고 맛보고 만지고 냄새를 맡는 것은

감각 데이터에서 재구성된 것이다.

나는 내 주위의 세계를 지각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직접 알고 있는 것은 마음 속에 나타나는 색깔, 모양, 소리,

냄새뿐이다.

 

Every man’s world picture is and always remains a construct of his mind, and cannot be proved to have any other existence.

Erwin Schrödinger

 

모든 사람의 세상은 그의 마음의 구성물이며,

다른 어떤 존재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

에르빈 슈뢰딩거

 

Our perception of the world has the very convincing appearance of being "out there" around us, but it is no more "out there" than are our nightly dreams. In our dreams we are aware of sights, sounds and sensations happening around us. We are aware of our bodies. We think and reason. We feel fear, anger, pleasure and love. We experience other people as separate individuals, speaking and interacting with us. The dream appears to be happening "out there" in the world around us. Only when we awaken do we realize that it was all just a dream–a creation in the mind.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우리 주변 "저 밖에" 있는 존재라는

매우 설득력 있는 형상을 하고 있지만, 그것은 우리의 밤의 꿈처럼 "저 밖에" 있는 것은 아니다.

꿈속에서 우리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광경, 소리, 감각에 대해 알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몸을 알고 있다. 우리는 생각하고 이치를 따진다. 우리는 공포, 분노, 쾌락, 사랑을 느낀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와 말하고 상호작용하는 분리된 개인으로서 다른 사람들을 경험한다.

그 꿈은 우리 주변의 세계에서 "저 밖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깨어날 때 비로소 우리는 그것이 모두 꿈일 뿐, 즉 마음속의 창조물이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When we say "it was all just a dream" we are referring to the fact that the experience was not based on physical reality. It was created from memories, hopes, fears, and other factors. In the waking state, our image of the world is based on sensory information drawn from our physical surroundings. This gives our waking experience a consistency and sense of reality not found in dreams. But the truth is, it is as much a creation of our minds as are our dreams.

우리가 " 그것은 모두 꿈일 뿐"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그 경험이

물리적 현실에 근거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그것은 기억, 희망, 두려움, 그리고 다른 요소들로부터 만들어졌다. 깨어 있는 상태에서,

우리의 세계 이미지는 우리의 신체적인 환경에서 얻을 감각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이것은 우리의 깨어있는 경험을 꿈에서 찾을 수 없는 일관성과 현실감을 준다.

하지만 사실은, 그것은 우리의 꿈만큼이나 우리의 마음의 창조물 이라는 것이다.

 

I have given everything I see…

all the meaning it has for me.

A Course in Miracles

 

내게 보이는 것에 모든 것을 다 바쳤는데...

그게 나에게 주는 모든 의미.

기적 수업

 

This, I know, runs totally counter to common sense. Right now you are aware of the pages in front of you, various objects around you, sensations in your own body, and sounds in the air. Even though you may understand it is all a reconstruction of reality, it still appears that you are having a direct perception of the physical world. And I am not suggesting you should try to see it otherwise. What is important for now is the understanding that all experience is an image of reality created in the mind.

이것은, 내가 알고 있는 상식과는 완전히 상반되는 것이다.

지금 당신은 눈앞에 있는 페이지들, 당신 주위의 다양한 사물들,

자신의 몸에서 느껴지는 감각들, 그리고 공중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인지하고 있다.

비록 그것이 모두 현실의 재구성이라는 것을 이해할지라도, 당신은 여전히 물리적 세계에 대한 직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나는 당신이 그것을 다르게 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것이 아니다.,지금 당장 중요한 것은 모든 경험이 마음 속에

창조된 현실의 이미지라는 이해입니다.

 

Cracks in Reality

현실의 균열

Our impression that we are perceiving the world directly is mostly very convincing. Occasionally, however, we may come across phenomena that reveal cracks in our construction of reality. Visual illusions are a good example. These usually occur because the brain misinterprets the sensory data and constructs an image of reality that is either misleading or inconsistent.

우리가 세상을 직접 지각하고 있다는 우리의 상상은 대부분 매우 설득력이 있다.,하지만 가끔은 현실 구조에 균열이 생기는 현상을 마주 할 수도 있다. 시각적 환상이 좋은 예이다.

이는 대개 뇌가 감각 데이터를 잘못 해석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일관성이 없는 현실 이미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A simple example, is demonstrated by the illustration below. This drawing of a cube is something we have all seen many times, but is it a cube seen from above, or a cube seen from below?

간단한 예는, 아래 그림에 의해 증명된다.

이 정육면체의 그림은 우리가 모두 여러 번 보아온 것이지만 위에서 본 정육면체인가, 아니면 아래에서 본 정육면체인가?

Most people’s first response is "from above." This is probably because we are used to seeing rectangular corners from above–tables, boxes, TV sets, computers, etc. Less often do we view such objects from below. But if you put your attention on the top line and bring that forward in your mind's eye, you can change your perception and turn it into a cube see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대부분의 사람들의 첫 반응은 "위에서"입니다.

이것은 아마도 우리가 테이블, 상자, TV 세트, 컴퓨터 등에서 직사각형 모서리를 보는 데 익숙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물체를 아래에서 보는 경우가 적다.

하지만 만약 여러분이 맨 위 줄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마음의 눈 앞으로 가져온다면, 여러분은 인식을 바꿔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입방체로 바꿀 수 있습니다.

 

The most intriguing aspect of this illustration, however, is not that you can see it in two different ways, but that, whichever way you see it, you see a three-dimensional cube. You are actually seeing twelve lines on a flat sheet of a paper. Yet your experience is of an object with depth. This depth may appear very real, but it is actually an interpretation added by your brain.

그러나 이 그림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보든 3차원 입방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당신은 실제로 평평한 종이에 12개의 선을 보고 있다.

하지만 당신의 경험은 깊이 있는 객체이다. ,이 깊이는 매우 실제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이것은 뇌에 의해 추가된 해석이다.

 

Maya마야

There are, therefore, two realities. There is the physical reality–whatever is actually "out there" stimulating our senses–and there is the personal reality that we each experience, the reconstruction of the world that appears in our minds. And both are very real.

실재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는 '외부에서' 우리의 감각을 자극하는 물리적 실재가 있고, 둘째는 우리 각자가 경험하여 마음으로 재구성한 개인적 실재이다.

그리고 이 둘 다 진짜 실재이다.

 

Some people claim that our subjective reality is an illusion. But that is misleading. It may all be a creation of the mind, but it is nonetheless very, very real–the only reality we ever know.

어떤 사람들은 우리의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각인된 주관적 실재(개인적 실재)가 착각이라고 주장하지만, 그것은 오해이다.

그것은 모두 마음의 산물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이며,

어떻게 보면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유일한 실재이다.

The illusion comes when we confuse the reality we experience with the physical reality, the thing-in-itself. The Vedantic philosophers of ancient India spoke of this confusion as maya. Often translated as illusion (a false perception of the world), maya is better interpreted as delusion (a false belief about the world). I suffer a delusion when I believe the images in my mind are the external world. I deceive myself when I think that the tree I see is the tree itself.

우리가 경험하는 실재와 물자체인 물리적 실재를 혼동할 때 착각이 일어난다. 고대 인도의 베단타 철학자들은 이러한 혼동을 마야(maya)라고 했다. 마야를 세계에 대한 잘못된 지각인 착각으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세계에 대한 잘못된 믿음인 '환영(幻影)'으로 해석하는 게 더 적절하다. 우리가 마음의 상을 외부 세계라고 생각할 때 환영이 일어난다. 우리가 본 나무를 나무 자체라고 생각할 때 우리는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Our assumption that we are directly interacting with physical reality has close parallels with the way we respond to the picture on a computer screen. When I move my computer’s mouse, it appears as if I’m moving the cursor around the screen. In actual fact, the mouse is sending a stream of data to the central processor, which calculates a new position for the cursor and then updates the image on the screen. In early computers there was a noticeable delay between issuing a command and seeing the effects on the screen. Today computers are so fast they can recalculate the image on a screen in a fraction of a second, and there is no visible delay between moving the mouse and the cursor moving on the screen. As far as I am concerned, I am moving the cursor across the screen.

우리가 물리적인 현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가정은

컴퓨터 화면에서 우리가 그림에 반응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컴퓨터 마우스를 움직이면 커서를 화면 주위로 옮기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마우스는 중앙 프로세서에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으며, 이는 커서에 대한 새로운 위치를 계산한 다음 화면의 이미지를 업데이트한다. 초기 컴퓨터에서는 명령을 내리는 것과 화면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것 사이에 현저한 지연이 있었다.

오늘날 컴퓨터는 너무 빨라서 스크린의 이미지를 단 1초만에 다시 계산할 수 있고, 마우스를 움직이는 것과 화면에서 움직이는 커서의 움직임 사이에는 눈에 보이는 지연이 없다.

내가 보기에 나는 커서를 화면 위로 옮기고 있다.

 

Our experience of daily life is similar. When I kick a stone, my intention to move my foot is communicated to my body, and my foot in the physical world moves to meet the physical stone. But I do not experience the interaction directly. The brain receives the information sent back by the eyes and body and updates my image of reality appropriately.

일상 생활의 우리의 경험은 비슷합니다.

돌을 차면 발을 움직이려는 의도가 몸으로 전달되고, 물리적 세계에서의 발은 물리적 돌과 맞닿게 된다. 하지만 나는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지 않는다.,뇌는 눈과 몸이 보내준 정보를 받고 현실에 대한 나의 이미지를 적절하게 업데이트한다.

 

As with a computer, there is a small delay between the event in the physical world and my experience of that event. It takes my brain about a fifth of a second to process the sensory information and construct the corresponding picture of reality. Thus my awareness of reality is about a fifth of a second behind physical reality. But I never notice the lag because the brain cleverly compensates for the delay, leaving me with the impression that I am interacting directly with the physical world.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물리적 세계에서의 사건과 그 사건에 대한 나의 경험 사이에는 약간의 지연이 있다. 감각 정보를 처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현실의 그림을 만드는데 뇌는 약 5분의 1초가 걸린다.

따라서 현실에 대한 나의 인식은 물리적 현실보다 약 5분의 1초 뒤쳐져 있다.

하지만 나는 뇌가 지연을 영리하게 보상해주므로, 내가 물리적 세계와 직접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인상을 남기기 때문에 결코 지연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Things are not what they seem to be,

nor are they otherwise.

Lankavatara Sutra

 

만물은 보이는 대로도 아니고, 그 반대도 아니다.

능가경

 

The Unknowable Reality알 수 없는 실재

If all that we ever know are the images that appear in our minds, how can we be sure there is a physical reality behind our perceptions? Is it not just an assumption? My answer is: Yes, it is an assumption; nevertheless, it seems a most plausible one.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게 우리 마음에 나타난 감각상(感覺像)에 불과하다면, 우리의 지각을 지지하는 물리적 실재가 존재한다면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 그것은 가정에 불과하지 않을까? 답은 '그렇다'는 것이다. 그것은 가정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가정은 그럴듯해 보인다.

 

For a start, there are definite constraints on my experience. I cannot, for example, walk through walls. If I try to, there are predictable consequences. Nor can I, when awake, float through the air or walk upon water. Moreover, my experience generally follows well-defined laws and principles. Balls thrown through the air follow precisely defined paths. Cups of coffee cool at similar rates. The sun rises on time. Finally, this predictability is not peculiar to my experience of reality. You report similar patterns in your own experience. The simplest way, by far, of accounting for these constraints and for their consistency is to assume that there is indeed a physical reality. We may not know it directly, but it is there.

처음에는, 내 경험에 일정한 제약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벽을 통과 할 수 없습니다. 내가 노력한다면, 예측 가능한 결과들이 있다.,

깨어 있을 때 공기를 둥둥 떠다니거나 물 위를 걸을 수도 없다.

게다가, 나의 경험은 일반적으로 잘 정의된 법과 원칙을 따른다.

공중에 던져진 공은 정확하게 정의된 경로를 따른다. 커피 한 잔도 비슷한 비율로 식는다.

태양은 제때 떠오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예측가능성은 나의 실재 경험과는 별반 다르지 않다.

당신은 자신의 경험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고한다.

이러한 제약조건과 그 일관성을 대한 설명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실제로 물리적 현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우리가 그것을 직접적으로 알지는 못하겠지만, 그것은 거기에 있다.

 

To reveal the nature of this underlying reality has been the goal of much scientific endeavor, and over the years, scientists have elucidated many of the laws and principles that govern its behavior. Yet curiously, the more deeply they have delved into its true nature, the more it appears that physical reality is nothing like we imagined it to be.

이 기본 현실의 본질을 공개하는 것은 많은 과학적 노력의 목표였으며, 지난 몇 년 동안, 과학자들은 그 행동을 지배하는 법과 원칙의 많은 것을 밝혀왔다. 그러나 호기심, 더 깊이가 그 본질로 탐구 한 더 많은 우리가 할 그것을 상상처럼 실제 현실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나타납니다.

 

Actually, this should not be too surprising. If all we can imagine are the forms and qualities that appear in consciousness, then these are unlikely to be appropriate models for describing the underlying physical reality.

이 말에 너무 놀랄 필요는 없다.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의식 형태와 특성뿐이라면, 이런 것들은 근본적인 물리적 실재를 기술하는 적절한 모델이 아닐 것이다.

For two thousand years it was believed that atoms were tiny solid balls–a model clearly drawn from everyday experience. Then, as physicists discovered that atoms were composed of more elementary, sub-atomic particles (electrons, protons, neutrons and suchlike) the model shifted to one of a central nucleus surrounded by orbiting electrons–again a model based on experience.

2천 년 동안 원자를 원소의 최소 단위로 생각해왔고, 이 모델은 일상 경험을 통해 쉽게 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이 원자가 전자, 양자, 중성자와 같이 더 작은 소립자 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하게 되면서, 궤도를 선회하는 전자에 둘러싸인 중앙핵이 있는 모델로 바뀌었다. 이것 역시 경험에 기반을 두고 있다.

An atom may be small, a mere billionth of an inch across, but these sub-atomic particles are a hundred thousand times smaller still. Imagine the nucleus of an atom magnified to the size of a grain of rice. The whole atom would then be the size of a football stadium, and the electrons would be other grains of rice flying round the stands. As the early twentieth-century British physicist Sir Arthur Eddington put it, "matter is mostly ghostly empty space"–99.9999999% empty space, to be a little more precise.

원자의 지름은 1인치의 10억분의 1에 불과하여 아주 작은데, 소립자는 그보다 10만 배나 더 작다. 원자의 핵을 쌀알 크기로 확대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럴 경우 원자 전체는 축구장 만 할 것이고 전자는 스탠드 주변을 날아다니는 쌀알 크기만 할 것이다. 20세기 초 영국의 물리학자인 아서 에딩턴 경이 말한 것처럼, "물질은 대부분 섬뜩할 정도로 빈 공간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99.9999999 퍼센트가 빈 공간이다.

 

Matter is not made of matter.

Hans-Peter Dürr

물질은 물질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ㅡ 한스 페터 뒤르

 

With the development of quantum theory, physicists have found that even subatomic particles are far from solid. In fact, they are not much like matter at all–at least nothing like matter as we know it. They can’t be pinned down and measured precisely. Much of the time they seem more like waves than particles. They are like fuzzy clouds of potential existence, with no definite location. Whatever matter is, it has little, if any, substance.

양자이론이 등장하면서, 물리학자들은 소립자조차도 결코 단단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사실 소립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물질과는 다르다. 소립자를 분명히 설명 할 수도 없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도 없다. 대부분 소립자들은 입자라기보다는 오히려 파동처럼 보인다. 소립자들은 일정한 위치도 없고 뿌연 구름과 같은 잠재적 존재인 것 같다. 어떤 물질이든, 실체는 거의 없다.

 

Seeing What Isn’t There

‘그곳에 없는 것’을 보는 것

 

The image of the world that appears in the mind is very different from the actual physical world, and in two complimentary ways.

마음 속에 나타나는 세계의 이미지는 실제의 물리적 세계와는 매우 다르며 두 가지 찬사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On the one hand, our image of reality is more than physical reality in so far as it contains many qualities not present in the latter. Take my experience of the color green, for example. There may be light of various frequencies, but the light itself is not green. Nor are the electrical impulses that are transmitted from the eye to the brain. There is no color there. The green I see is a quality created in consciousness. It exists only as a subjective experience in the mind.

한편으로는 현실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는 현실에 대한 물리적 실재 이상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여러 가지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녹색에 대한 나의 경험을 들어보면.

다양한 주파수의 빛은 있을 수 있지만, 빛 자체는 녹색이 아니다.

또한 눈에서 뇌로 전달되는 전기적 충동도 아니다.

거기에는 색깔이 없다. 내가 보는 녹색은 의식 속에서 만들어진 자질이다.,

그것은 단지 마음 속에 있는 주관적인 경험으로만 존재한다.

 

The same is true of sound. When Bishop Berkeley argued that only that which is perceived actually exists, a vigorous debate ensued as to whether a falling tree made a sound if no one was there to hear it. At that time nothing was known of how sound was transmitted through the air, or of how the ear and brain functioned. Today we know much more about the processes involved, and the answer is clearly "No." There is no sound in the physical reality; pressure waves in the air, perhaps, but no sound. Sound exists only as an experience in the mind of a perceiver–whether that perceiver is a human being, a deer, a bird, or an ant.

소리도 마찬가지다.,버클리 주교가 실제로 인식되는 것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을 때, 떨어지는 나무가 소리를 냈는지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뒤따랐다.

그 당시에는 소리가 공기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었는지, 귀와 뇌가 어떻게 기능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관련된 과정에 대해 훨씬 더 많이 알고 있으며, 대답은 분명히 "아니오"이다. 물리적인 현실에는 소리가 없다; 아마도 공기 중에 압력파도 있지만 소리는 나지 않는다.

소리는 인식자가 인간인지, 사슴인지, 새인지, 개미인지, 지각하는 사람의 마음속에 경험으로만 존재합니다.

 

On the other hand, our image of reality is less than physical reality in so far as there are many aspects of the external world that we never experience.

반면, 우리가 경험하지 못하는 외부 세계의 많은 측면이 있는 한,

현실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는 물리적 현실보다 적습니다.

 

Our eyes, for example, are sensitive only to light in the narrow frequency range from 430,000 to 750,000 gigahertz (a gigahertz is a billion cycles per second). At lower frequencies are infrared (below red) radiation, and lower still are microwaves and radio waves. At higher frequencies we find ultraviolet (above violet) rays, and beyond them X-rays and gamma-rays. Our eyes detect none of these other frequencies, and our image of reality represents but a tiny fraction of what is there.

예를 들어, 우리의 눈은 430,000에서 750,000 기가헤르츠(기가헤르츠는 초당 10억 사이클)의 좁은 주파수 범위의 빛에만 민감하다. 낮은 주파수에는 적외선(빨간색 이하) 방사선이 있고, 낮은 주파수에는 마이크로파와 전파가 있다. 더 높은 주파수에서 우리는 자외선(보라색 위) 광선을 발견하고, 그 너머에는 X선과 감마선이 있다. 우리의 눈은 다른 주파수를 감지하지 못하며, 현실의 이미지는 그 안에 있는 것의 아주 작은 부분만을 나타낸다.

 

The same holds true of the other senses. What we hear, smell and taste is but a limited sample of the physical reality. Furthermore, there are aspects of the physical world, such as magnetic fields and electric charge, that have very little, if any, impact on our experience.

다른 감각들도 마찬가지다.,우리가 듣는 것, 냄새와 맛은 물리적 실재의 한정된 표본에 불과하다.

게다가 자기장이나 전하 같은 물리적 세계의 측면이 있는데, 그 측면은 우리의 경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We know that there is not one space and one time only, but that there are as many spaces and times as there are subjects.

Jacob von Uexkull

 

우리는 하나의 공간과 하나의 시간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있는 만큼의 공간과 시간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야코브 폰 윅스쿨리((Jacob Von Uexkull)

독일계 스웨덴 국적 생물학

 

Human beings may not be able to sense these other facets of reality, but some creatures can. Dogs, for example, detect much higher frequencies of sound than we do, and their noses are estimated to be a million times more sensitive than ours. If we could put ourselves in a dog's mind we would find ourselves in a different world. Imagine what it might be like to be able to detect the scent of a person hours after they have passed by, and to be able to follow that scent, distinguishing it from hundreds of others, for many miles.

인간은 현실의 이러한 다른 측면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지만, 일부 생물 수 있습니다. 개는, 예를 들어, 우리보다 소리의 훨씬 더 높은 주파수를 감지하고 그들의 코는 우리보다 백만 배 더 민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우리가 개들의 마음에 우리 자신을 넣을 수 있다면, 우리는 다른 세계에 있는 우리 자신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들이 지나간 지 몇 시간 후에 사람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고,

그 냄새를 따라 수백 개의 다른 냄새와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이 어떤 것일지 상상해 보십시요.

 

We can fairly easily imagine the reality of a dog, since its sensory perception is an extension of ours. But the reality of a dolphin is much harder to picture. With their highly developed echo-location abilities, dolphins experience qualities of which most of us know nothing. When a dolphin perceives me with its sonar, it does not perceive a solid body. Its sonar image is more like the ultrasound scans used to monitor the fetus during pregnancy. A dolphin can sense the shapes and movements of my internal organs. The beating of my heart, the churning of my stomach and the state of my muscles are all visible to the dolphin mind. It sees my inner reactions as clearly as I see the frown on a person's face.

우리는 개의 감각적 인식이 우리 것의 연장선이기 때문에 개의 현실을 꽤 쉽게 상상할 수 있다.

하지만 돌고래의 현실은 상상하기 훨씬 어렵다.

고도로 발달된 초음파 위치의 능력으로 돌고래들은 우리 대부분이 알지 못하는 특성을 경험한다.

돌고래는 음파 탐지기로 나를 감지할 때 단단한 몸을 인식하지 못한다.

그 음파 탐지기 이미지는 임신 중 태아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초음파 스캔과 더 비슷합니다.

돌고래는 내 장기의 모양과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심장이 고동치고, 위가 요동치고, 근육이 팽팽하게 뛰는 것이 돌고래의 마음에서 모두 보인다.,그것은 내 내면의 반응을 사람의 얼굴에 있는 찌푸린 표정을 보는 것만큼 분명하게 본다.

 

Other species experience qualities of which we know nothing. Most snakes have organs sensitive to the infrared range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and so "see" the heat emitted by their prey. Bees see in the ultra-violet range, and are sensitive to the polarization of light. Sharks, eels and other fish can detect minute changes in electrical fields. The realities that they construct contain qualities totally unknown to human experience.

다른 종들은 우리가 아무것도 모르는 자질을 경험한다.

대부분의 뱀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외선 범위에 민감한 장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의 먹이가 발산하는 열을 "인식"한다.

벌은 초보라색[자외선] 범위에서 보고, 빛의 양극화[편광]에 민감하다.

상어, 장어, 그리고 다른 물고기들은 전기장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들이 구축하는 현실은 인간의 경험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자질을 포함하고 있다.

 

There is no creature who perceives all of what is and what happens.

Judith and Herbert Kohl

 

무엇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두 인식하는 생물은 없다.

주디스와 허버트 콜[공저]

The Private Worlds of Other Creatures 동물들의 눈으로 본 세상

 

Ultimately, there are as many different ways of perceiving the world as there are species of life in the universe. What we take to be reality is just the particular way the human mind sees and interprets the physical world.

궁극적으로, 우주에 생명체의 종처럼 세계를 인식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현실로 받아들이는 것은 인간의 마음이 물리적 세계를 보고 해석하는 특별한 방식일 뿐이다.

 

The New Copernican Revolution

새로운 코페르니쿠스의 혁명

Immanuel Kant believed his insights into the nature of perception, and the distinction between physical reality and the reality we each experience, would be the basis for "a Copernican Revolution in philosophy." Now, two hundred years later, it seems he may have been close to the mark. In the Copernican Revolution, the key insight was the realization that the earth was spinning through space.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two realities is likewise the key insight which opens the door to a new metaparadigm.

임마누엘 칸트는 지각의 본질에 대한 그의 통찰력과 물리적 현실과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의 구별이 "철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 혁명"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

이제 200년이 지난 지금, 그는 그 목표에 근접해 있었던 것 같다.

코페르니쿠스 혁명에서 핵심적인 통찰은 지구가 우주를 통해 회전하고 있다는 깨달음이었다.

칸트의 두 현실의 구별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메타 패러다임에 대한 문을 여는 중요한 통찰이다.

 

In both cases the key insight defied common sense. In Copernicus’ time it seemed absolutely obvious that the Earth was still. Today it seems equally obvious that we are perceiving the physical world directly. Even when we intellectually accept the fact that our entire world of experience is a construction within the mind, as eventually we must, we still see this world "out there," around us.

두 경우 모두 핵심 통찰력은 상식에 어긋났다. 코페르니쿠스의

시대에는 지구가 정지해 있다는 것이 절대적으로 명백해 보였다.

오늘날 우리가 물리적인 세계를 직접적으로 지각하고 있다는 것은 똑같이 명백해 보인다.

우리가 경험의 세계 전체가 마음의 구성이라는 사실을 지적으로

받아들이더라도,

결국 우리는 반드시 받아 들여야만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우리 주변의 이 세계를 "저 바깥"으로 보고 있다.

 

It may be that we will always see it this way. Even now, five centuries after Copernicus, we still see the sun going down, even though we know that it is really the earth spinning round.

우리는 항상 이런 식으로 보게 될 수 있습니다. 코페르니쿠스가 지나간 지 5세기가 지난 지금도 우리는 지구가 정말 둥글게 돌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여전히 해가 지는 것을 본다.

 

In this instance, however, it is possible to see it the other way. All you need do is go somewhere where you have a good view of the horizon. Then, rather than thinking of yourself as stationary, see yourself standing on this huge ball of rock we call Earth, which is slowly turning in space from West to East. As it turns new parts of the sky come into view in the East while others disappear from view in the West. Now, instead of seeing the sun setting, you see the horizon moving up and hiding it. In a similar way, the full moon "rises" as the opposite horizon moves down opening up new vistas. Changing your perception in this way, the Copernican shift becomes an experienced reality.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반대로 볼 수도 있다. 지평선이 잘 보이는 곳으로 가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는, 자신을 정지 상태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천천히 우주에서 돌고 있는 지구라고 부르는 이 거대한 바위덩어리에 서 있는 자신을 보라. 하늘이 바뀌면서 동쪽의 새로운 부분이 시야에 들어오고 다른 사람들은 서쪽의 시야에서 사라진다.

이제 해가 지는 것을 보는 대신 지평선이 위로 올라가서 그것을 숨기는 것을 보게 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보름달은 반대쪽 지평선이 아래로 내려가 새로운 경관을 열면서 "상승"한다.

이런 식으로 인식을 바꾸면 코페르니쿠스의 변화는 경험이 현실이 된다.

 

It is much more difficult, however, to do a similar exercise with our perception of the world around us. Try as I may, I cannot experience the fact that it is all an image within my mind. But this doesn’t mean it is impossible to see things differently. Some spiritual adepts who have made deep person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consciousness, and witnessed the arising of experience, claim to have achieved this new perception.

하지만 우리 주변의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유사한 연습을 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아무리 노력해도, 나는 그것이 모두 내 마음 속에 있는 이미지라는 사실을 경험할 수 없다.,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사물을 다르게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뜻은 아니다.

의식의 본질에 대해 깊은 개인적인 조사를 하고 경험의 발생을 목격한 일부 영적 숙련자는 이 새로운 인식을 달성했다고 주장합니다.

 

Perhaps one the most succinct and clearest descriptions of this alternative mode of consciousness comes from the contemporary Indian teacher Sri Nisargadatta Maharaj, who, describing his own spiritual awakening, said:

아마도 이러한 대안 의식의 방식에 대한 가장 간결하고 분명한

서술은 현대 인도 스승인 Sri Nisargadatta Maharaj로부터 나온 것일 것이다. 그는 자신의 영적 각성을 묘사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You realize beyond all trace of doubt that the world is in you, and not you in the world.

그대는 세상이 그대 속에 있고, 그대가 세상 속에 있지 않다는 것을 전혀 의심의 여지없이 깨닫는 것이다.

 

Swami Muktananda, another contemporary sage, said:

또 다른 동시대 현자 스와미 묵타난다 는 말했다 :

You are the entire universe.

You are in all, and all is in you.

Sun, moon, and stars revolve within you.

당신은 우주 전체입니다.

당신은 모두에 있고, 모든 것은 당신 안에 있습니다.

태양, 달, 별들이 여러분 안에서 회전합니다.

And the Ashtavakra Gita, a highly venerated Indian text, states:

그리고 매우 귀중하게 여기는 인도어 텍스트인 아시타바크라 기타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The Universe produced phenomenally in me, is pervaded by me…

From me the world is born, in me it exists, in me it dissolves.

우주는 내 안에서 경이롭게 생성되었고, 내 맘속에 만연되어 있다.

내게서 세상은 태어나고, 내 안에서는 존재하며, 내 안에서는 용해된다.

 

These people appear to have awoken from the dream of maya–the delusion that we are directly perceiving the physical world. They know as a direct personal experience, not just as some theoretical idea, that their entire world is a manifestation within the mind. These are the ones–the enlightened ones, we sometimes call them–who have personally made the shift to a new metaparadigm.

이 사람들은 마야의 꿈에서 깨어난 것처럼 보입니다.

바로 우리가 물리적 세계를 직접 인식하고 있다는 망상으로부터.

그들은 자신의 세계 전체가 마음의 표상이라는 것을 이론적인 생각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개인적인 경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들은 깨달은 사람들이며, 우리는 종종 그들을 새로운 메타 패러다임으로 전환시킨 사람들이라고 부릅니다.

 

Turning Reality Inside Out

현실을 밖으로 돌리기

 

In much the same way as Copernicus’ insight turned our model of the cosmos inside ou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hysical world and our experience of the world turns the relationship of consciousness and the material world inside out. In the current metaparadigm, consciousness is assumed to emerge from the world of space, time and matter. In the new metaparadigm, everything we know, including space, time and matter, manifests from consciousness.

코페르니쿠스의 통찰이 우리의 우주 모델을 뒤집어 놓은 것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물리적 세계와 세계의 경험 사이의 구별은 의식과 물질 세계의 관계를 뒤집어 놓는다.

현재의 메타 패러다임에서 의식은 우주 공간, 시간 및 물질의 세계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상정된다.

새로운 메타 패러다임에서는 공간, 시간, 물질을 포함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이 의식에서 나타난다.

 

We think the world we see around us is composed of matter–that the stuff of the world is, for the want of a better word, matterstuff. As far as the actual physical reality is concerned, this may be so–uncertain though we may be as to the ultimate nature of this matterstuff. But the world we see around us is not the physical world. The world we actually know, is the world that takes form in our mind. And this world is not made of matterstuff, but mindstuff. Everything we know, perceive, and imagine, every color, sound, sensation, thought, and feeling, is a form that consciousness has taken on. As far as this world is concerned, everything is structured in consciousness.

우리는 우리 주위의 세계가 물질 matter–that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세상의 물질은 더 나은 단어 matterstuff가 필요하기 때문에 문제라고 생각한다.

실제 물리적 현실에 관한 한, 우리가 이 문제의 궁극적인 본질에 관해서 알고 있을지 모르지만,, 이것은 매우 불확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주변에서 보는 세계는 물리적 세계가 아닙니다.

우리가 실제로 알고 있는 세계는 우리 마음속에 형성된 세계입니다.,

이 세상은 물질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알고, 인식하고, 상상하는 모든 것, 모든 색, 소리, 감각, 생각, 느낌은 의식이 취하는 형태입니다. 이 세상에 관한 한 모든 것은 의식 속에 구조화되어 있다.

 

Matter is derived from mind or consciousness, and not mind or consciousness from matter.

마음이 물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물질이 마음에서 나온다.

Tibetan Book of the Great Liberation

티베트 해탈의 서

 

Kant argued that this was even true of space and time. To us, the reality of space and time seems undeniable. They appear to be fundamental dimensions of the physical world, entirely independent of my or your consciousness. This, said Kant, is because we cannot see the world in any other way. The human mind is so constituted that it is forced to construct its experience within the framework of space and time. Space and time are not, however, fundamental dimensions of the underlying reality. They are fundamental dimensions of consciousness.

칸트는 이 공간과 시간에 대해서도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우리에게는 시간과 공간의 현실이 부인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들은 나나 그대의 의식과는 완전히 무관한 물리적 세계의 근본적인 차원으로 보인다.

칸트는 이것이 우리가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볼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인간의 마음은 공간과 시간의 틀 안에서 그 경험을 구축할 수밖에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공간과 시간은 근본적인 현실의 차원이 아니다.,그것들은 의식의 근본적인 차원이다.

 

It was an astonishing claim at the time–and probably still seems astonishing to many of us today–but contemporary physics now lends weight to this extraordinary idea.

그것은 그 당시로서는 놀라운 주장이었고, 아마도 오늘날 우리 중 많은 사람들에게 여전히 놀라운 것처럼 보일 것이다. 하지만 현대 물리학은 현재 이 놀라운 아이디어에 무게를 두고 있다.

 

This pure Mind, the source of everything,

Shines forever and on all with the brilliance of its own perfection.

But the people of the world do not awake to it,

Regarding only that which sees, hears, feels and knows as mind,

Blinded by their own sight, hearing, feeling and knowing,

of all substance.

Zen Teachings of Huang Po

 

본래 근원이 청정한 이 마음은,

항상 뚜렷이 밝아 두루 비추고 있다

그러나 그것을 깨닫지 못한 세상 사람들은,

보고 듣고 느끼고 아는 것만을 마음이라 한다.

보고 듣고 느끼고 아는 것에 가려,

끝내는 정교하고 밝은 본체를 보지 못한다.

- 황벽

저자 피터 러셀 (PETER RUSSELL)은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 실험 심리학을 전공했고 , 컴퓨터 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인간 잠재력 세미나를 기업 분야에 최초로 도입한 사람 가운데 한 명으로, 2007년 현재 IBM을 비롯한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창의력, 학습 방법,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지구적인 뇌가 깨어나다>,<의식혁명>,<과학에서 신으로> 등이 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정혜 | 작성시간 23.10.18
    댓글 이모티콘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