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마음 공부

하루를 살아도 좋으니 <티벳 해탈의 서>

작성자山木|작성시간24.10.18|조회수21 목록 댓글 1

It Were Better to Live One Single Day

하루를 살아도 좋으니

 

‘It were better to live one single day in the evelopment of a good life of meditation than to live a hundred years evilly and with undisciplined mind.

 

계율 없이 악하게 사느니

명상하면서 착하게 하루를 사는 것이 더 나으리

 

‘It were better to live one single day in the pursuit of understanding and meditation than to live a hundred years in ignorance and unrestraint.

 

무지와 방종 속에 백 년을 사느니

깨달음과 명상을 추구하며 하루를 사는 것이 나으리

 

‘It were better to live one single day in the commencement of earnest endeavour than to live a hundred years in sloth and effortlessness.

 

게으르고 노력하지 않으면서 백 년을 사느니

힘써 노력하고 정진하며 하루를 사는 것이 더 나으리

 

‘It were better to live one single day giving thought to the origin and cessation of that which is composite than to live a hundred years giving no thought to such origin and cessation.

 

모든 것의 근원과 소멸을 생각지 않고 백 년을 사느니

모든 것의 근원과 소멸을 생각하며 하루를 사는 것이 더 나으리

 

‘It were better to live one single day in the realization of the Deathless State than to live a hundred years without such realization.

 

물멸을 모르고 백 년을 사느니

불멸을 알고 하루를 사는 것이 더 나으리

 

‘It were better to live one single day knowing the Excellent Doctrine than to live a hundred years without knowing the Excellent Doctrine.’

 

최상의 교의를 모르고 백 년을 사느니

최상의 교의를 알고 하루를 사는 것이 더 나으리

 

The Buddha, from the Dhammapada, vv. 110–15

(based upon N. K. Bhagwat’s Translation).

볍구경,110 ~115절 (바그와드 영역본)

 

 

The Buddha’s Sermon on What is True Blessedness?

‘참다운 행복이 무엇인가’에 관한 붓다의 설법

 

 

Praise be to the Blessed One, the Holy One, the Author of all Truth.

 

행복한 자, 신성한 자, 모든 진리의 근원인 자에게 찬양이 있기를.

 

Thus I have heard.

On a certain day dwelt the Blessed One at Srāvastī, at the Jetavana Monastery, in the Garden of Anathapindaka.

And when the night was far advanced, a certain radiant celestial being, illuminating the whole of Jetavana, approached the Blessed One and saluted Him, and standing aside, and remaining so, addressed Him with these words: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날 행복한 분(여래)께서 쉬라바스티(사위성)의 아나타핀다카 뜰(급고독원)에 있는 제타바나(제타 숲)에 머물고 계셨다.

밤이 깊었을 때 어떤 빛나는 천인(天人)이 제타바다 전체를 비추면서 행복한 분께 다가가 인사하고 곁에 선 후 이렇게 물었다.

 

‘Many gods and men, yearning after good, have held diverse things to be blessings; declare Thou, What is true blessedness?’

 

‘많은 신과 인간들이 좋은 것을 갈망하면서 행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를 붙들고 있는데,

당신은 참다운 행복이 무엇이라고 말하겠소?’

 

‘To serve wise men rather than fools, to give honour to whom honour is due; this is true blessedness.

 

‘어리석은 자들보다 현명한 사람들을 가까이 하면서

존경할 만한 사람을 존경하는 일,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To dwell in a pleasant land, to have done virtuous deeds in a former existence, to have a heart filled with right desires; this is true blessedness.

 

‘쾌적한 땅에 살면서 유덕한 행위에 앞장서고,

올바른 욕망을 지니는 일,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Much wisdom and much science, the discipline of a well-trained mind, and right speech; this is true blessedness.

 

‘큰 지혜와 많은 지식, 마음의 수양과 바른말,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To wait on father and mother, to cherish wife and child, to follow a peaceful calling; this is true blessedness.

 

‘부모를 섬기고 아내와 자식을 돌보며 평화로운 부름에 따르는 일,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To give alms, to live piously, to protect kinsfolk,

to perform blameless deeds; this is true blessedness.

 

‘자선을 베풀고 경건한 삶을 영위하며 친지를 보호하고

결함 없이 행동하는 일,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To cease doing evil, to abstain from strong drink,

to persevere in right conduct; this is true blessedness.

 

‘악행을 끊고 술을 많이 마시지 않으며 바르게 처신하는 일,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Reverence and humility, contentment and gratitude,

the hearing of the Law of Righteousness at due seasons;

this is true blessedness.

 

‘공손함과 겸양, 만족과 감사, 때맞춰 바른 법을 듣는 일,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Patience and pleasing speech, association with holy men,

to hold religious discourse at fitting moments; this is true blessedness.

 

‘인내심과 부드러운 말, 성자들과의 친교,

필요할 때 종교적인 담론을 갖는 일,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Penance and chastity, discernment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realization of peace; this is true blessedness.

 

‘참회와 순결, 네 가지의 거룩한 진리(四聖諦)의 통찰과

평화의 인식,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A mind unshaken by the vicissitudes of this life, inaccessible to sorrow, passionless, secure; this is true blessedness.

 

‘이승의 영고성쇠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 슬픔을 떠난 침착과 안정, 이것이 참다운 행복이오.

 

‘They that observe these things are invincible on every side, on every side they walk in safety; yea, their’s is the true blessedness.’

 

‘이들을 아는 사람은 어떤 경우에도 지지 않으며,

어딜 가더라도 안전하오.

 

—Magala Sūtra법구경

 

A recension by the Editor, based on Professor Childer’s Translation and on that by Irving Babbitt in The Dhammapāda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and London, 1936), page 76.

 

 

Mahārshi of Tiruvannamalai

티루반나라이 마하리쉬

‘There may come a time when one shall have to forget all that one has learnt. Rubbish that is swept together and heaped up is to be thrown away. No need is there to make any analysis of it.’

 

“자신이 배운 것을 모두 잊어버려야 하는 때가 다가 올 것이다.

쓸어 모아 쌓인 쓰레기는 버려진다.

거기서는 어떤 분석도 필요 없다.”

 

Plotinus

플로티누스

Our comprehension of the One cometh to us neither by scientific knowledge, nor by thought, as doth the knowledge of other intelligible things, but by a presence which is superior to science.

 

우리가 일원성을 이해하게 되는 것은

과학적 지식이나 사고(思考)에 의해서가 아니라

과학을 초월한 어떤 힘에 의해서이다.

 

When the knowing-principle in man acquireth scientific knowledge of something, it withdraweth from unity and ceaseth to be entirely one; for science implieth discursive reason and discursive reason implieth manifoldness.

 

인간이 무언가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획득할 때

그의 지식 획득 가능성은 일원성으로부터 분리된다.

왜냐하면 과학은 이론을 요구하고 이론은 복잡 다양하기 때문이다.

 

We must, therefore, transcend science, and never withdraw from what is essentially One; we must renounce science, the objects of science, and every other intellectual pursuit.

 

따라서 우리는 과학을 초월해야 하며

일원으로부터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과학과 과학의 목적과 그 이외의 모든 지적인 탐구를 포기해야 한다.

 

Even Beauty must be put aside, for beauty is posterior to unity, being derived therefrom, as is the light of the day from the Sun.

 

아름다움 역시, 빛이 태양으로부터 연유하듯 합일로부터 연유하지만, 자신의 원인 보다는 중요치 않으므로 젖혀놓아야 한다.

 

Accordingly, Plato saith that Unity is unspeakable and indescribable.

Nevertheless, we speak and write of it only to stir our higher natures thereby, and so direct them towards this Divine Vision, just as we might point out the road to someone who desireth to traverse it.

 

플라톤은 합일을 말로 표현하거나 설명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말과 글로 그것을 설명하는 것은

오직 우리 내부의 좀더 높은 본성을 일깨워

그 신성한 상태를 지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The teaching itself goeth only so far as is requisite to point out the Path and to guide one thereon; the attaining of the Vision is the task of each one alone who seeketh it.

 

가르침은 길 안내로서 필요하다면 저절로 우리에게 주어질 것이다.

그 상태를 달성하는 것은 사람들 각자의 몫이다.

<THE TIBETAN BOOK OF THE GREAT LIBERATION>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정혜 | 작성시간 24.10.21
    댓글 이모티콘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