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원불교용어 설명

원융 (圓融) 원융무애 (圓融無碍) 원융사상 (圓融思想) 원융회통 (圓融會通) 율도원융 (律度圓融)

작성자산들바람|작성시간08.09.05|조회수455 목록 댓글 0

원융 (圓融)

원(圓)은 모자람이 없이 원만구족 하다는 뜻, 융(融)은 융통·융화의 뜻. 천차 만별의 모든 법의 사리(事理)가 구별없이 널리 융통하여 하나가 된다는 말.

 

 

원융무애 (圓融無碍)

원만구족하고 융통·융화해서 조금도 거리낌이 없고 막히는 것이 없다는 말. 대도 정법이나 불보살의 인격을 나타내는 말. 원융무애하지 않으면 무상 대도가 될 수 없고, 원융무애한 인격이 아니면 불보살이 될 수 없다. 일원상의 진리는 원융무애한 진리요, 대각여래위는 원융무애한 불보살이다.

 

원융사상 (圓融思想)

모든 사상을 분립·대립의 관계로 보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보는 우리나라 불교특유의 사상 가운데 하나.

 

원융회통 (圓融會通)

진리가 원융무애해서 모든 종교의 진리가 결국은 하나가 된다는 뜻. 일원상의 진리는 원융회통한 것이다.

 

율도원융 (律度圓融)

율(律)은 율법 또는 계율이라는 뜻. 도(度)는 법도(法度)라는 뜻. 계율과 법도가 원융무애 하다는 말. 원불교 교법은 율도원융해서 누구나 믿고 수행해서 불보살이 될 수 있는 대도정법임을 강조하는 말.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