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박준호의 non경제학~!

생활비 부족해도 자녀 도움 안 바라는 고령층 늘었다

작성자하루하루|작성시간23.06.18|조회수20 목록 댓글 0

16일 통계청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 발표
50년 뒤 75세 이상 인구 전체 중 30% 육박
고령자 대다수 생활비 보탬 위해 취업 의사

 

리나라 7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향후 50년 뒤에는 전체인구의 30%를 차지해 OECD 국가 중 가장 많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소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고령층은 더 늘었으나, 자녀에게 생활비, 노후 부양을 기대하는 고령 인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6일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를 발표했다. 고령화 대응을 위해 65세 이상 고령자를 65~74세, 75세 이상으로 세분해 지난 10년간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를 분석했다.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4%로, 2037년에는 31.9%, 2070년이 되면 46.4%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고령자 연령대별 인구 비중 추이 (자료=통계청)

현재 7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전체 인구에서 7.7%를 차지하는데, 2037년이 되면 16%로, 65~74세 인구(15.9%)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추이에 따라 2070년에는 일본(25.6%)을 제치고 우리나라의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30.7%로 OECD 주요 회원국 중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고령인구의 기대여명 역시 늘었다. 2021년 65세와 75세의 기대여명은 각각 21.6년, 13.4년이고 10년 전보다 65세는 2.2년, 75세는 1.6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의사를 가진 고령층도 증가했다. 2022년 65~74세는 59.6%, 75~79세는 39.4%가 장래 근로를 희망했고, 10년 전보다 11.9%p, 11.8%p 늘었다.

취업 의사 (자료=통계청 제공)

65~74세, 75~79세 고령자 모두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53.9%, 50.5%) 취업을 원했다. 이를 이유로 꼽은 65~74세 고령자는 10년 전보다 2.7%p 증가했다.

많은 고령자의 일자리 선택기준은 '임금수준'보다, '일의 양과 시간대'였다. 65~74세는 일의 양과 시간대(33.5%), 임금수준 (17%) 순으로 고려했으며, 75~79세는 일의 양과 시간대(43.1%), 일의 내용(13.9%) 순으로 따졌다. 희망 일자리 형태는 65~74세 중 56.8%, 75~79세 중 79.7%가 시간제 근로를 꼽았다.

주관적 소득수준 (자료=통계청)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고령 가구는 더 늘었다. 2021년 평균 생활비와 비교해 실제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65~74세, 75세 이상 가구는 각각 59.3%, 63.8%였다. 10년 전에는 각각 57.5%, 61.6%로 조사됐는데, 최근 들어 소득의 부족함을 느끼는 고령층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비 마련방법 (자료=통계청)

생활비 마련을 위해 자녀의 지원을 받는 고령자들은 감소했다. 2021년 65~74세, 75세 이상 고령자의 주된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배우자 부담이 각각 78.7%, 46%로 가장 높았다. 10년 전보다 65~74세, 75세 이상 고령자 모두 '본인·배우자', '정부·사회단체 지원'을 받은 이들은 증가했고, '자녀·친척 지원'을 받는 이들은 각각 20.3%p, 24.7%p 감소했다.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54.2%)을,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를 많이 꼽았다.

부모 부양을 꼭 가족 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진 고령층도 줄었다. 2022년 65~74세, 75세 이상 고령자 중 부모부양에 대해 '가족·정부·사회의 책임'이라는 생각을 가진 이들은 각각 56.7%, 52%로 가장 많았다. 다만, 10년 전보다 65~74세, 75세 이상 고령자 모두 부모 노후를 가족이 책임져야 한다는 비중은 각각 13.3%p, 13.5%p로 감소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