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국가첨단전략산업 7곳, 소부장 5곳

작성자황사 人-박준호|작성시간23.07.21|조회수83 목록 댓글 0
용인·평택·구미, 반도체 육성
청주·포항 등 이차전지 특화
인허가 신속처리·킬러규제 혁파
정부가 전국 7개 지역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하고,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첨단기술 초격차 확보의 '요람'으로 키운다.
2021년에 이어 5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도 추가 지정했다.
우리나라 기술 자립과 공급망 내재화를 주도하는 전초기지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열린 3차 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총 7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했다고 밝혔다.
오는 2042년까지 민간투자 총 614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 8곳을 선정해 올해 540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모두 21개 지역이 특화단지 지정을 신청했다.
정부는 '초격차 확보'를 목적으로 △선도기업 유무 △신규투자 계획 △산업 생태계 발전 가능성 △지역균형발전 등을 중점 평가했다.

경기도 용인·평택 지역과 경상북도 구미는 '반도체 인큐베이터'로 결정됐다.
특히 정부는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대규모 민간 투자를 앞둔 용인·평택 지역을 현재 가동 중인 이천·화성 생산단지와 연계해 시너지를 노린다.
메모리반도체 세계 1위를 지키고, 시스템 반도체 글로벌 점유율을 10%로 확대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는다.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등에 따라 글로벌 산업 생태계의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른 이차전지 분야 특화단지로는...
△충청북도 청주 △경상북도 포항 △전라북도 새만금 △울산이 각각 선정됐다.
각 단지는 리튬황·4680 원통형 등 미래 이차전지 개발부터 재활용(리사이클)까지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에 집중하게 된다.

충청남도 천안·아산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거점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초격차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총력을 쏟는다.

산업부는 이번에 지정된 특화단지에 민간투자를 적기에 집행하기 위해 △인허가 신속처리 △킬러규제 혁파 △세제·예산 지원 △용적률 완화 △전력·용수 등 기반 시설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연
내 특화단지별 맞춤형 세부 육성계획을 마련하는 한편 기업애로를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범부처 지원 협의체'도 구축한다.
<국가첨단전략산업 및 소부장 특화단지 지도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부는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신규 지정된 '바이오' 산업에서도 내년 상반기 특화단지를 지정한다.
정부는 같은 날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5개 '소부장 특화단지'도 추가 지정했다.
지난 2021년 2월 5개 분야에서 소부장 특화단지를 최초 지정한 후 2년 6개월 만이다.

위원회는 미래자동차, 바이오 등으로 신산업 지정대상을 확대했다.
이어 광주(미래차), 대구(미래차), 충북 오송(바이오), 부산(반도체), 경기도 안성(반도체) 등 5개 신규 특화단지를 발표했다. 총 6조7000억원 규모의 기업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정부는 특화단지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테스트베드, 사업화 등 기술자립과 국내 복귀 기업지원, 지방투자 등 단지 내 기업유치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신규 지정된 특화단지들이 우리나라 경제의 강력한 성장엔진이 되도록 각종 인허가, 인프라, 연구개발(R&D)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지난달 신설한 '소부장 공급망 센터'를 활성화하고, 하반기 '산업공급망 3050 정책'을 수립해 체계적 공급망 관리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
반도체 특화단지(2곳)는...
O 경기 용인·평택
O 경북 구미,
이차전지 단지(4곳)는...
O 충북 청주·경북 포항·전북 새만금·울산,
디스플레이 단지(1곳)는...
O 충남 천안·아산에 들어섭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