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지보면 소식

위트컴장군과 그의 부인 한묘숙여사의 전설적인 이야기

작성자성인봉 (지보)|작성시간23.12.30|조회수33 목록 댓글 0


리차드 위트컴 장군(Richard S. Whitcomb)과
그의 부인 한묘숙 여사의 전설적인 이야기.

6.25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 장성, 그는 당시에 미군 군수 사령관이었다.

1952년 11월 27일,
부산역 건너편 산의 판자촌에 큰 불이 났다.
판자집도 변변히 없어 노숙자에 가까운 생활을 하던 피난민들은 부산역 건물과 인근에 있는 시장 점포 등이 유일한 잠자리 였는데, 대 화재로 오갈 데가 없게 됐다.
입을 옷은 커녕 먹을 것 조차 없었다.

이때 위트컴 장군은
군법을 어기고
군수창고를 열어
군용 담요와 군복, 먹을 것 등을 3만 명의 피난민들에게 골고루 나눠 주었다.

이 일로 위트컴 장군은 미 연방의회의 청문회에 불려 갔다.
의원들의 쏟아지는 질책에 장군은 조용히 말했다.

"우리 미군은 전쟁에서 반드시 이겨야 하지만, 미군이 주둔하는 곳의 사람들에게 위기가 닥쳤을 때 그들을 돕고 구하는 것 또한 우리의 임무입니다.
주둔지의 민심을
얻지 못하면 우리는 전쟁에서 이길 수 없고, 이기더라도 훗날 그 승리의 의미는 쇠퇴할 수 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 입니다"

라고 답하자, 의원들은 일제히 기립, 오래도록 박수를 쳤다.

다시 한국으로 돌아 온 뒤 장군은 휴전이 되고도 돌아가지 않고,
군수기지가 있던 곳을 이승만 정부에 돌려 주면서

"이곳에 반드시 대학을 세워달라"고 청하였다.
부산대학이 설립된 배경이다.
그러나 부산대 관계자도, 교직원도, 졸업생도 재학생도 이런 역사적 사실을 거의 모른다.

그리고 장군은 또 메리놀 병원을 세웠다.
병원기금 마련을 위해 그는 갓에 도포를 걸치고 이 땅에 기부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애썼다.
사람들은 장군이 체신없이 왜 저러느냐'고 쑤근댔지만 개의치 않았고, 온 맘과 힘을 쏟았다.

전쟁 기간 틈틈이 고아들을 도와온 위트컴 장군은 고아원을 지극 정성으로 운영하던 한묘숙 여사와 결혼했다.

위트컴 장군이 전쟁 고아들의 아버지로 불리는 연유다.
그리고 그는 부인에게 유언을 했다.

''내가 죽더라도 장진호 전투에서 미처 못 데리고 나온 미군의 유해를 마지막 한 구 까지
찾아와달라''고...

부인 한묘숙 여사는 그 약속을 지켰다.
북한은 장진호 부근에세 길죽길죽한 유골만 나오면 바로 한묘숙 여사에게로 가져왔고,
한 여사는 유골 한쪽에 300불씩 꼬박꼬박 지불했다.

그렇게 북한이
한 여사에게 갖다 준 유골 중에는 우리 국군의 유해도 여럿 있었다.

하와이를 통해 돌려받은 우리 국군의 유해는 거의 대부분 한 여사가 북한으로 부터
사들인 것들이다.

한 여사는 한 때 간첩 누명까지 쓰면서도 굴하지 않고 남편의 유언을 지켰다.
남편 만큼이나 강한 여성이었다.

장군의 연금과 재산은 모두 이렇게 쓰였고, 장군 부부는 끝내 이 땅에 집 한 채도 소유하지 않은 채
40년 전에 이생을 달리했다.

부산 UN공원묘원에 묻혀 있는 유일한 장군 출신 참전용사가 바로 위트컴 장군이다.
끝까지 그의 유언을 실현한 부인 한묘숙 여사도 장군과 합장되어 있다.

이 땅에는 이러한 장군을 기리는 동상 하나가 없다.

부산에도, 서울에도 , 아니 부산대학교에도 메리놀병원에도 물론없다.

그런데 오늘, 장군이 떠난지 꼭 40년 만에 뜻있는 사람들이 모여 위트컴 장군 조형물을 만들기로 결의했다.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국가 예산 말고, 재벌 팔을 비틀지도 말고,
70여 년 전 수혜를 입었던 피난민 3만 명, 딱 그 수만큼 1인당 1만원씩 해서 일단 3억 원을 마련하기로 했다.

민주주의의 생명은 참여다.
보은도 십시일반,
참여해야 한다고.
오늘 그 첫 결의를 했다.

1만 원의 기적을 이루어보자.
70년 전, 전쟁 고아들을 살뜰하게 살피던 위트컴 장군을 생각하면서,
메리놀 병원을 세워 병들고 아픈 이들을 어루만지던 장군의 손길처럼 대학을 세워 이 땅에 지식인을 키우려던 그 철학으로, 부하의 유골 하나라도 끝까지 송환하려고 했던 그 마음을 생각하며
각자 내 호주머니에서 1만 원 씩 내보자.

딱 커피 두 잔 값씩만 내보자.

1만 원의 기적이 한국병을 고칠 수도 있지 않을까 ?

설마 이 땅에 1만 원씩 낼 사람이 30만 명도 안 되지는 않겠지 ? 라고 생각하니 또 내 마음은 두둥실, 하늘을 날 것만 같다.

그리고 정부는
장군에게 무궁화
훈장을 추서한다는
소식이다.
너무 늦었지만
감사한 일이다.
정말 기쁜 날이다.

팝콘이 탁탁 터지듯이 그렇게 내 온 몸의 세포들이 기쁨에 겨워 꿈틀거린다.

에스프레소 덕분인가?
까뮈 엑스오 덕분인가?

이제 나는 죽어도
한묘숙 여사를 만나 웃으며 두 손을 잡을 수 있게 됐다.

(부산 출생 박선영/
국제대학교 교수의 페이스북 글입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