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재미있는 이야기

[스크랩] 산나물의 종류,사진,이름-

작성자10회 신희철|작성시간15.07.26|조회수296 목록 댓글 0
,·´″"`°³о산삼과하수오о³°`"″´·,

 

 

 

산나물의 종류,사진,이름-

        

 

산나물 손질법(맨 끝에)

41. 혼닙나물(화살나무)

예전에 산나물의 대표였다.

산밑 혹은 산기슭, 산골 밭뚝 같은 곳에 많다.

요즘은 유행처럼 공원에 많이 심는다. 나무 줄기가 화살처럼 생겼다.

 

42. 담배나물(망초)

봄나물의 대표다. 순하고 맛도 좋다.

공원이나 하천 뚝 어디서나 많이 만난다.

 

우리집에서는 해마다  4월초부터 5월 중순까지

식탁에 산나물이 떨어지지 않는데

그 대표가 담배나물이다.

집 근처 어디나 많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식탁에 오를 수 있다. 

 

43. 질경이

길가나 공터에 어디서나 잘 자란다.

나물보다는 국으로 끊여 좋다.

씨를 '차전자'라 하여 한약재로 쓰인다. 이뇨효과가 있다. 

 

44. 시금치나물(쇠별꽃)

봄나물의 대표격이다.

약간 습한 낮은 땅에 잘 자란다.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시금치처럼 순한 좋은 나물이다.

흰색 별꽃이 핀다.

 

45. 방아나물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박하 비슷한 강한 냄새가 난다.

그래서 생선 조릴 때 같이 넣으면 비린내가 없어진다.

 

46. 개갓 다닥냉이

묵은 풀밭에 자란다. 아주 맛있는 봄나물이다.

 

47. 씀바귀

풀밭에 어디나 난다.

잎도 먹고 뿌리도 나물로 무쳐 먹는다.

그러나 쓴 맛이 나기 때문에 삶아 물에 24시간 이상 우려야 한다. 

 

48. 깨나물 (오리방풀)

깻잎처럼 생겼고 냄새도 깻잎냄새가 진하게 난다.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 자란다. 

 

49. 고추나물

 약간 습한 곳에 잘 자라며 노란꽃이 핀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물례나물'과 '용담초'가  있다.

좋은 나물에 속한다.

 

50. 으아리나물(위령선)

양지바른 산소 근처나 산골 밭뚝, 혹은 개굴가에 많이 난다.

노랑빛을 띤 흰꽃이 피는데 꽃의 크기에 따라

큰으아리, 작은으아리로 나눈다.

뿌기가 검은색으로 국수처럼 갈라지는데

한약재로 '위령선'이라 한다.

 

51. 쑥부쟁이

깊은산 풀밭속에 난다.

맛과 향도 좋은 귀한 산나물의 하나이다.

가을에 청색꽃이 좋아 공원이나 정원에 벌개미취와 함께 식재한다.

 

52. 좀단풍취

큰산 깊은 숲속 낙엽 위에 나는 고산 식물이다.

귀한 나물에 속한다.

 

53. 고비

큰산 계곡 음지 물가에 난다.

위에 그림은 나물 때를 지나 활짝 핀 모습니다.

 

54. 산머루

야산에 흔히 덤불로 자란다.

어린 순은 옛부터 나물로 먹었다.

 

55. 청가시나물

들판 돌무덤 같은데 많이 자란다.

가시가 사나우나 순은 여리고 순하다.

 

56. 좀갈퀴나물

갈퀴나물은 잎이 크고 넓은 것과 작은 것이 있다. 

위의 것은 작은 것이다. 청색 꽃이 핀다.

 

57. 꼬리솔나물

층층둥굴레와 비슷하나 잎이 작고 가늘다.

야산 양지바른 곳에 난다.

 삶으면 갈색으로 변해 구미가 떨어진다.

 

58. 좁쌀풀 나물

 약간 습한 지역에 군락을 이루어 총생한다. 

 여름에 노란꽃이 핀다.

이것도 삶으면 초록이 갈색으로 변질된다

 

59. 궁궁이 나물(천궁)

                                                                   

 자생 궁궁이를 만나기는 쉽지 않다.

 약초로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잎에서도 강한 한약냄새가 난다. 뿌리 천궁은 귀한 한약재로 쓰인다.

 

60. 산나리(산백합)

 깊은 산속 고목 밑에 자란다

원추리 같은 고운 꽃이 핀다

 

산나물 손질법

 

1. 뜯어온 산나물을 신문지를 넓게 펴놓고 다듬는다. 검불, 잡풀 등을 하나하나 가려낸다.

2. 물에 20분쯤 담가서 나물이 싱싱하게 다시 살아난 다음 두세 번 깨끗이 싯는다.

3. 물을 적당이 붇고 삶는데 시금치같은 밭채소보다 약간 더 삶아야 한다.

(산나물 줄기를 손으로 만져보며 알맞게 삶아야 한다.)

4. 채반같은 데 삶은 산나물을 건져 찬물로 식힌다. 두세 번 찬물에서 짜내어 파란 물을 빼낸다.

5. 다시 넓은 그릇에 옮겨 찬물을 많이 붇고 적어도 15시간 내지 24시간

우려내야 한다. 산나물은 쓴맛이 많기 때문이다.

6. 우려낸 산나물을 다시 찬물에 두세 번 헹구어 주먹으로 꼬옥 짜서

양푼에 옮겨 다시 산나물을 풀어 낸다.

7. 양념하기: 간장 약간, 설탕 퍽 많이, 다진 마늘 반 수저쯤, 참기름 작은수푼 하나,

미원 아주 약간만, 볶은깨 한 수푼, 고추장 두 수푼 크게 넣고

8. 비닐장갑을 끼고 버무리어 가만이 꼬옥 꼬옥 짜면 물이 약간 생길 정도가 된다.

9. 맛을 보고 간을 적당이 가감한다.

 

 

 

-산나물의 종류,사진,이름..-

 

 

 

 

 

Love Soccer (축구동영상) 쭉빵카페 *여성시대* 차분한 20대들의 알흠다운 공간 이종격투기 도탁스 (DOTAX) 뉴빵카페-(얼짱 성형 패션 뷰티 여성정보 만땅카페) 엽기 혹은 진실 (세상 모든 즐거움이 모이는 곳) 한류열풍 효소건강다이어트 사랑 소울드레서 (SoulDresser) * 남성시대 * 상남자들의 박력터지는 휴식공간 밤과 새벽 사이 텐인텐[10년 10억 만들기] ★9꿈사★공무원을꿈꾸는사람들 망나니와고삐 대구 텐인텐 유머나라 산삼과하수오 《이세모》이 세상의 모든 것 독도카페 (DOKDO) 보기보다 늠름한 딸내미들 프로방스집꾸미기- 인테리어,DIY,요리,화초,여행,결혼,육아 중고나라· 완전초보자를 위한 기타작살내기 (무료기타강좌) 야구용품싸게사기 방탄소년단 부산맘 - 리니지를 사랑하는 - 짠돌이 BTOB 공식 팬카페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산삼과하수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