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조상유물전시

[스크랩] 이이신도비

작성자이관희|작성시간14.05.13|조회수315 목록 댓글 0


유명 조선국 숭정대부

 의정부우찬성 겸 지경연

 춘추관 성균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관찰감사 세자사 시 문성공

 율곡 이선생 신도비명 병서 


옛날에 우리 소경 대왕이 글을 숭상하고 학문을 진흥시켜

 유신을 높이 등용하기 좋아하였으므로

 그 조정에 오른 이들이 찬란하게 문학을 빛낸 선비가 많았다.

 하늘이 인재를 도타이 내리는 것은

 반드시 먼저 징조를 보이는 것으로,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범을 따르며,

 성왕이 일어나면 어진 보좌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때로 말하면,

 이이 선생의 경우는 태평성대를 만나서 

옛 성인의 도를 계승하고 후학을 개도하는 것을

 자신의 책임으로 삼아서 장차 큰일을 해낼 듯하였다.

 그런데 갑신년 정월에 하늘이 선생을 급속히 빼앗아 갔다.

부음이 전해지자,

 상께서는 소복을 입고 소식을 하였다.

 그리고 선생이 병들었을 때부터 작고하여 장사지낼 때까지,

 작고하기 전에는 의원의 문안이 길을 이었고

 약과 음식이 자주 내려졌으며,

 작고한 뒤에는 근신이 치조하고

 사마가 치제하였으며,

 사도가 폄기를 갖추어 주고 

종백이 천례를 인도해 줌으로써 

무릇 죽은 이를 높이고 

종신을 영화롭게 하는 도리가 다 갖추어졌다.

이때에 태학생 및 삼학의 생도, 금군,

 서도들은 달려와서 문에 가득히 회곡하였고,

 심지어 여염의 백성들은 방아 찧는 일을 중지하기까지 하였다.

 선생의 죽음을 슬퍼하는 자가 도성을 기울인 가운데

 모두가 이구동성으로 말하기를,

 “우리는 어찌해야 하는가.”

라고 하였다.

 그리고 발인때에 미쳐서는 담장 밖으로 나와서 촛불을 잡고

 장송하는 이들이 모두 방성통곡을 하며 지나치게 슬퍼하였으므로,

 군자가 말하기를,

 “유여하고 위대하도다.

 덕이 대중을 화합하게 하는 것이 이와 같도다.”

라고 하였다.

임진년 이후 7년 동안을 병란이 종식되지 않고

 유복이 땅에 떨어져서,

 세상이 공리만을 서로 다투어 사욕이 하늘에 넘침으로써,

 협서율과 위학의 금령이 이미 조짐을 나타내어

 선인들의 두려워하는 바가 되었다.

 그러고 보면 전일에 이씨의 도를 높이던 사람들이

 의당 외면을 하고 팔을 내저어서

 그 학문을 말하기를 꺼려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조관이나 선비들이 날로 더욱 마음으로 복종하여,

 재목을 모으고 비석을 다듬어서 

후세에 영원토록 전하기를 도모하여

 나에게 그 중책을 맡기었다.

 그래서 나는 감히 할 수 없다고 굳이 사양하였으나,

 무릇 여섯 차례나 왕복을 하면서까지 

끝내 고집하여 마지않으므로,

 마침내 가엾게 여겨 삼가 승낙을 하였다.

그런데 이윽고 또 나는 치욕스레 소멱을 하고

 적막하게 황야에 틀어박혀 있는데,

 전일의 선비 수배가 행장을 가지고 나를 찾아와

 명을 지어 달라고 요구하면서 말하기를,

 “선생이 처음에 한 말씀이 있기 때문에

 감히 선생에게 청합니다.

 많은 선비들이 기다리고 있으니,

 청컨대 선생은 도모해 주십시오.”

라고 하므로,

 마침내 행장을 절하고 받아서 다음과 같이 서술하는 바이다.

이씨는 덕수현에서 나왔는데,

 그 처음에 돈수라는 이가 있어 

고려를 섬겨 중랑장이 되었다.

 그로부터 육세를 지나 판관 의석에 이르러서는 

대사헌에 추증되었고,

 대사헌이 휘 천을 낳았는데

 천은 우참찬에 추증되었으며,

 참찬이 휘 원수를 낳았는데

 원수는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덕수 이씨는 드러난 지가 대체로 오래되었으나,

 공에 이르러서 더욱 크게 드러났다.

처음에 진사 신명화가 한 딸을 대단히 사랑했는데,

 총명함이 뛰어나서 고금의 글을 다 통하여 

글을 잘 짓고 그림 그리는 일에도 뛰어났다.

 그래서 신명화가 스스로 동양의 망족인데다 

또 이런 규수가 있다 하여 그 배우자를 높이 가렸는데,

 참찬이 마침내 찬성을 그 규수에게 장가들였다.

 그래서 가정 병신년에 신부인이 임신을 하여,

 용이 바다에서 날아와 방으로 들어와서 아이를 안아다가 

부인의 품속에 넣어 주는 꿈을 꾸고는 이윽고 아들을 낳았다.

공은 3세 때에 벌써 스스로 문자를 알았고,

 5세 때에는 신부인에게 병환이 있자 

외가의 사당에서 기도하였으며,

 12세 때에 찬성에게 병환이 있을 적에도 또한 그렇게 하니,

 사람들이 비로소 공을 이상하게 여겼다.

 16세 때에 부인이 작고하여서는

 상사에 효성을 다하여

 3년을 하루같이 최복을 벗지 않고 여묘살이를 하였다.

18세 때에는 구도할 뜻이 있어 

산사에 가 있으면서 우연히 석씨의 글을 펼쳐 보다가

 사생에 관한 설에 감화를 받았고,

 또 이른바 돈오법이란 것이 있다는 것을 듣고는 이에 말하기를,

 “큰길이 숫돌처럼 편평하니,

 어쩌면 그렇게 신속할 수 있을까.”

 하였다.

 그래서 19세에는 출가하여 금강산에 들어가서 계정을 견고히 닦다가

 갑자기 스스로 마음에 생각하기를,

 “만상이 일로 돌아가면 일은 어느 곳으로 돌아간단 말인가.”

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해 보아도 

끝내 그 요령이 없는 다음에야

 그 학문을 모조리 버리고,

 마침내 상자를 열고 공씨의 글을 취하여

 엎드리고 읽다가 해를 넘기어 나왔다.

 그러자 도중의 숙유들이 모두 유의하여

 공을 높이 우러러보고 배항을 굽혀

 서로 얼굴 알기를 요구하였다.

공은 이때 퇴계 선생이 도산에 은거하여

 도학을 강명한다는 말을 듣고

 그곳에 찾아가 주일응사의 요점을 물었다.

 이로부터 체용이 겸비되고 지행이 아울러 진취되어,

 발하여 글이 된 것이 바르고 우아하고 여유작작하였으므로,

 자유자재로 답안을 작성하여 

응시할 때마다 합격을 하였다.

 갑자년에는 사마와 명경 양시에 응시하여

 연달아 장원을 하였으므로,

 당시에 구장 장원으로 일컬어졌다.

그 후 지부, 춘관, 천조의 낭서와 정언,

 교리, 사가호당 등의 관직을 역임하는 동안에 

화려한 명성이 날로 높아지자,

 공이 진정하여 스스로 자신을 탄핵하여 말하기를,

 “어린 나이에 구도의 뜻이 있었으나

 학문의 방향을 알지 못하여 

마침내 석교에 빠져들어 선문에 종사한 것이

 거의 일 주년이나 되었는지라,

 장부를 긁어내어 씻는다 하더라도

 그 더러움을 다 씻기에는 부족합니다.

 그런데 신의 아비가 재주를 애석히 여겨

 굳이 공명을 구하게 하므로,

 부끄러움을 참고 더러움을 숨겨 가면서

 마침내 거인이 되었던 것이니,

 이는 다만 승두의 녹봉을 구해서 기한이나 면하기 위한 것인데,

 어찌 좋은 벼슬이 뜻밖에 내려지기를 기대했겠습니까.”

 하니, 상이 이르기를,

 “예로부터 아무리 호걸한 선비일지라도 

불씨에게 빠져드는 것을 면치 못했거니와,

 또 허물을 뉘우치고 스스로 새로워졌으니

 그 뜻이 가상하다.”

하고, 윤허하지 않았다.

일찍이 경연에서 치란을 말하고

 왕사를 진술하면서 경술로써 부연하였는데,

 말마다 상청을 감동시키므로 듣는 이들이 놀라워하였다.

 또 서당의 과제를 인하여 왕패 치안에 관한 도리를 진술해서

 이를 동호문답이라 명명하고

 이것으로 상의 마음을 계발시킴이 있기를 기대하였다.

하루는 상이 을사년의 일을 언급하자,

 대신으로서 그때 연좌 체포된 선사가 많았다고 말하는 자가 있으므로,

 공이 그를 반박하여 말하기를,

 “대신은 모호한 언행을 해서는 안 됩니다.

 간인이 쓸데없는 말을 날조하여 

사류들을 모조리 제거하고

 이것을 빙자하여 위훈을 만들었던 것이니,

 이제 신정을 당하여 의당 먼저 위훈을 삭제하고

 명분을 바로잡아야만 국시가 이에 정해질 것입니다.”

하고,

 물러나와 조정에서 그 의논을 제창하니,

 선배인 퇴계, 고봉 같은 이들도 

오히려 그 일을 중대하고 어렵게 여기었는데,

 공이 홀로 굽히지 않고 항언하여

 마침내 힘을 다해 남김없이 격파하니,

 조야에 사기가 증진되었다.

경오년에는 공이 스스로 학문이 더 진취되지 못하여 

정치에 종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마침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

 해주의 고산에 집을 짓고 은거하면서,

 성철의 글이 아니면 읽지 않고

 의리에 어긋나면 비록 천사라도 돌아보지 않았으며,

 그 일체의 세미에 대해서는 담박하였다.

 그러자 조의가 더욱 관작으로 공을 묶어 두고자 하여 

누차에 걸쳐 천관 원외, 옥당, 중서, 미원의 아장을 임명하였는데,

 간혹 억지로 입조한 때도 있었으나 모두 오래지 않아서 물러갔다.

 공이 직제학으로 들어왔을 적에는 

조야가 모두 공에게 확연한 뜻이 있는 줄로 알았고,

 삼사에서는 서로 상소하여

 공을 머물게 하기를 청하기까지 했으나 

공은 바로 떠나 버렸다.

공이 젊어서 글을 읽을 적에

 ‘장공예의 구세가 동거하였다’

는 구절에 이르러 개연히 말하기를,

 “구세의 친족이 한 집에 같이 살기는 어려울지라도

 형제간이야 어찌 따로따로 살 수 있겠는가.”

라고 했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형제와 뭇 종형제들이

 한 당에서 베개를 나란히 하여 잘 수 있었다.

 매양 주식의 연회 때에는 

아우에게 거문고를 타게 해서 

젊은이와 어른이 함께 노래하고 즐기며,

 새벽이면 가묘를 배알하고

 당에 물러와 차서대로 모이었다.

 자손 남녀로부터 기타 가족에 이르기까지

 가정의 예의가 엄숙하여,

 한 사람이 집례하여 가훈을 펴서 한 번 죽 읽으면

 뭇사람이 머리를 숙이고 공경히 들었으므로,

 온 집안이 여기에 이르러 힘입었다.

이윽고 동부승지에 승진되었다.

 공이 매양 상을 뵐 적마다 걸핏하면 삼대를 끌어대므로

 상이 공을 우활하다고 여겼는데,

 이때에 이르러서는 또 상에게 큰 뜻을 분발하라고 권유하였다.

 그리고 또 말하기를,

 “예로부터 유자는 속리와 일을 도모하기가 어렵습니다.

 유자는 말하기를,

 ‘당우 시대를 당장 이룰 수 있다.’

라고 하고, 속리는 말하기를,

 ‘고도는 반드시 행하기 어렵다.’

고 합니다.

 그러므로 속리는 유학을 배척하고 유학 또한 속리를 배척하니,

 똑같이 양쪽의 말이 다 잘못된 것입니다.

 그러니 정치는 의당 요순을 본받아서 하되,

 사공에 대해서는 모름지기 점진적으로 이뤄 나가야 합니다.

 신이 삼대를 끌어대는 것은 

그 시대를 한걸음에 올라가라는 것이 아니라,

 오늘 한 가지 선정을 행하고,

 내일 또 한 가지 선정을 행하여 

점차로 지치를 도모하자는 것일 뿐입니다.”

라고 하였다. 또 말하기를,

 “고사에 의하면 현량의 선비는 비록 등제를 못했을지라도

 모두 대관이 될 수 있었는데,

 기묘년에 사림이 패배한 이후로 이 길이 마침내 폐해졌으니,

 이는 매우 훌륭한 인재를 넓히는 길이 아닙니다.”

라고 하고, 이를 계청하여 시행하게 하였다.

그런데 이때 막 퇴계의 상을 당하여

 한창 시호를 의논하려 하는데,

 상이 행장을 아직 짓지 못했다는 이유로 그것을 어렵게 여겼다.

 그러자 공이 말하기를,

 “황의 언론과 풍지가 이미 세상에 드러났으니,

 행장의 있고 없음은 경중이 될 바가 아닙니다.

 그런데도 전하께서 이미 죽은 현자에게 

한 가지 포장을 아끼시니,

 황이 시호를 갖는 것은 비록 1년이 지체된다 하더라도

 진실로 안 될 것이 없겠으나,

 삼가 사방에서 전하께 호선하는 정성이 없는 것인가 의심할까 염려됩니다.”

라고 하였다.

 갑술년에는 만언소를 올리니,

 상이 명하여 한 통을 더 쓰게 하여 조석으로 보았다.

공이 간장으로 있을 때 

하루는 상이 황랍 500근을 올리라고 명한 일이 있었으므로

 공이 조정에서 강력히 간쟁하니,

 상이 누구에게서 들었느냐고 책망하여 묻자,

 공이 말하기를,

 “도로에 시끄러이 들리는 말에 의하면

 장차 불상을 만들려 한다고 하더이다.

 전하께서는 다만 의당 속으로 반성해 보아서

 그런 일이 있으면 고치셔야 할 터인데,

 어찌 완강히 거절하기까지 하신단 말입니까.”

라고 하였다. 그러자 상이 이르기를,

 “감히 언근을 숨기는 것은

 임금에게 숨김없이 말하는 도리가 아니다.”

라 하고,

 조언율로 다스리려고까지 하므로,

 공이 말하기를,

 “대간은 들은 것이 있으면 바로 간하는 것이니,

 이것을 임금에게 숨김없이 말하는 도리라고 하는 것인데,

 지금 간관에게 중률을 가하려고 하시니,

 이것은 한 마디 말로 나라를 망치는 데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이때 임금의 노여움이 더욱 격해져서

 함께한 신하들은 두려워서 모두 목을 움츠리고 있었으나,

 공의 대답은 더욱 준절하여 조금도 꺾이지 않았다.

이윽고 병으로 해면되어 돌아갔다가 

황해도 관찰사에 임명되었고,

 그 다음해에 사임하고 돌아와서 부제학에 임명되었다.

 상이 일찍이 경연에서 공에게 이르기를,

 “사서의 집주가 착란스러워서 반드시 산정을 거쳐야겠으니,

 지금 경에게 맡기노라.” 

하였다.

이때 조신들이 형적을 서로 표방하여 

동서의 당이 생기기까지 하므로

 조정이 소란스러워지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공이 조정이 편안하지 못할 것을 미리 걱정한 나머지,

 노상 수신에게 말하여

 심의겸, 김효원 두 사람을 외군으로 내보내서

 조정을 진정시키기를 청하였다.

 그리하여 심의겸은 개성부 유수가 되고

 김효원은 부령 부사에 임명되자, 공이 말하기를,

 “북쪽 변새는 유신이 있을 곳이 아니다.

 효원은 병약하므로 살아서 돌아오지 못할까 두렵다.”

라고 하고, 상에게 그 사실을 말하니,

 상이 공을 효원의 당이라 하여 따르지 않았다.

 그러나 뒤에 공이 또 이 일을 강력히 말하여

 마지않음으로써 효원이 마침내 삼척 부사로 고쳐 임명되었다.

 그러자 혹자가 말하기를,

 “천하에 양시는 없는 법인데,

 공은 이 일에 있어 양쪽을 다 보전하려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므로, 공이 말하기를,

 “두 사람이 조정의 불화를 만드는 데에 있어서는 양쪽이 다 그르다.

 그러나 둘이 다 사류인데,

 굳이 이쪽을 옳게, 저쪽을 그르게 여기려고 하다가는

 그 논쟁이 끝날 때가 없을 것이니,

 오직 융화를 시켜야 한다.”

고 하였으나,

 조의가 그렇게 여기지 않으므로,

 이에 돌아가기를 결심하고 떠나 버렸다.

 이미 물러간 뒤에 승지, 대사간, 이조와 병조의 참판,

 전라 관찰사 등의 관직이 내려진 것은

 모두가 우연히 왔다가 우연히 간 것들이다.

공이 해주에 있을 적에는

 누차 조정에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날마다 학자들을 가르치니,

 학자들이 원근에서 모여들었다.

 그 당시 파주에는 성혼이란 이가 있었으니,

 고 청송 선생 수침의 아들로

 파산에 은거하여 부자가 잇따라 종유가 되었는바,

 세상에서 우계 선생이라 일컬은 분인데,

 공과 막역한 친구가 되었다.

 이에 앞서 호운봉이 정의가 발현하는 것을 성심에 분속시키었고,

 퇴계에 이르러서는 또 이기호발의 설이 있었는데,

 우계는 퇴계를 존신하여 항상 그 설을 주장하였다.

 그러자 공이 체용은 근원이 하나이기에 

이를 두 가지로 나누어 변석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편지를 수십 차례 왕복하였는데,

 그 중에는 간혹 전현들이

 미처 발명하지 못한 것을 발명한 것도 있어

 마침내 이학의 전문가가 되었으니,

 그에 대한 말은 본집에 나타나 있다.

 전언에 구애되지 않고 

스스로 경지를 깨달았으니,

 율곡보다 천 년 뒤에 반드시 

귀신의 가르침이나 신묘한 고안이 있어

 곧바로 정문에 일침을 놓는 경지에 도달해야만

 바야흐로 진맥을 찾을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색맥을 후맥으로 착각하는 자가 많게 될 것이다.

경진년에는 대사헌에 발탁되었다가 

이윽고 대사간에 옮겨졌는데,

 이때 호조 판서의 자리가 비었으므로

 대신의 천거에 의해 호조 판서에 제수되고

 아울러 대제학을 겸하였다.

 공이 호조 판서가 되어서는 재물을 절약하고

 백성의 일에 심력을 다하여 

백성들이 싫어하는 것을 제거하니,

 백성들이 공의 은택을 하늘처럼 여겼다.

 임오년에는 이조 판서에 전임되어

 인재 선발을 온당하게 하였고,

 이윽고 숭정에 올라 우찬성이 되었다.

 이해 겨울에 황홍헌, 왕경민 두 조사가 나오므로,

 명을 받고 원접사가 되어 경상에 나가서 그들을 영접했는데,

 향연을 베풀고 술잔을 나눌 때에 

미쳐 공이 스스로 멀리 떨어져 올라가서 배례를 하니,

 황조사가 공을 가리켜 역관에게 묻기를,

 “어쩌면 저리도 산림의 기상이 있단 말인가.

 혹 우리들을 위하여 산림의 선비를 억지로 불러들인 것이 아닌가?”

 하자, 역관이 말하기를,

 “삼장 장원으로 오랫동안 옥당에 몸담아 있었고,

 중년에는 비록 고향에 물러가 있었으나,

 상부의 찬성으로 들어온 지도 또한 수년이 되었습니다.”

 하니, 두 조사가 경의를 표하여 

심지어는 율곡이라 칭하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그 일을 마치고는 병조 판서에 전임되었다.

 이때 북로가 구란을 일으킴으로 인하여 군무가 가득 쌓였었는데,

 손으로 판별하고 입으로 결정하며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계획하되,

 조금도 서로 혼란됨이 없었고,

 환연하여 마음에 생각하지도 않은 듯하였다.

 그래서 상이 공의 처사를 훌륭하게 여겨 

공에게 북관의 일을 전적으로 맡기었는데,

 일이 쌓여도 적체되지 않았고

 여러 가지 일을 아울러 행하여도 그릇되지 않았으므로,

 사람마다 속으로 말하기를,

 “우리 공이 아니면 나라를 다스릴 수 있겠는가?”

고 하였다.

공이 일찍이 십만의 군대를 길러서

 완급에 대비하려는 뜻으로 건의하자,

 서애 유성룡이 불가하다고 말하였다.

 그러자 공이 조정에서 물러나와 서애에게 말하기를,

 “나라의 형세가 부진한 지 오래인데,

 속유들은 시의를 모르겠으나

 공이 또한 이런 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하였다.

 그 후 임진년의 변란이 일어나자,

 서애가 항상 조당에서 말하기를,

 “당시에는 무사하기에

 나 또한 백성을 소요시키는 일이라고 했었는데,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니,

 이 문정은 참으로 성인이었다.”

고 하였다.

공은 평생에 붕당을 하나로 하고 공안을 고칠 것과 

사례를 약정하여 민력을 펴게 할 것을 우선으로 삼았는데,

 상이 처음에는 매우 실망되게 여겼으나,

 오랫동안 시험해 보고는 믿음이 더욱 두터워져서 

바야흐로 공을 의뢰하여 정사를 하게 되었고,

 공 또한 선을 추장하고 악을 억제하여 

자기 소신을 곧바로 행해서 아무도 돌아보지 않았다.

 그러자 간혹 공을 좋아하지 않는 자가 있어,

 겉으로는 공을 사모하는 척하면서 

은밀히 간격을 두고 거짓말을 분란하게 퍼뜨리어

 상의 권우를 흔들기를 꾀하여,

 공이 하는 일을 참소해서 헐뜯는 것이 날로 심해졌다.

 그래서 심지어는 붕당의 세력을 분발하여

 은미한 말을 꾸며 만들어서 공공연히 탄핵하므로,

 공이 인책하여 물러가기를 요청하되 

여섯 번이나 소장을 올려 마지않으니,

 대간 또한 더욱 강력히 공을 논박하였다.

그러자 이때 우계 성혼이 부름을 받고

 서울에 와 있으면서 상소하여 그 실상을 진술하였고,

 영의정 박순은 입대를 요청하여 단단하게 아뢰어 공을 구하니,

 양사가 다시 박순과 성혼을 싸잡아 논박하였다.

 그래서 태학생 400여 인이 대궐을 지켜 서서

 공을 신변하자,

 정원이 태학생들을 가리켜 패란을 짓는다고 하니,

 상이 더욱 진노하여 도승지 박근원, 대사간 송응개,

 전한 허봉을 명하여 유배시켰다.

공이 도성을 떠난 지 얼마 안 되어

 판돈녕부사로 불렀는데,

 공이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으니, 상이 이르기를,

 “아, 하늘이 우리나라를 평치하려 하지 않는 것인가.”

라고 하였다.

 그해 겨울에 특별히 공에게 이조 판서를 제수하면서

 하유한 말이 준절하였으므로,

 공이 마지못하여 들어와 사은하니,

 상이 즉시 인견하였다.

 공은 인책하여 사과를 올리고

 유배시킨 세 사람을 귀환시키기를 청한 다음

 인하여 치사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 후 60일이 지나서 병으로 작고하니,

 그 때의 나이 49세였다.

공의 자는 숙헌인데 학자들이 공을 높여서 율곡 선생이라고 한다.

 저술로는 인심도심설, 선악기도,『학교규범』,

『성학집요』,『소학집주』및 문집 10권이 세상에 행해지고 있다.

 묘는 파주의 자운산 아래에 있는데,

 부인 노씨를 부장하였다.

 부인은 바로 경린의 딸인데 아들이 없었고,

 측실(측실)에서 낳은 아들은 경림(경림), 경정(경정)이다.

 노부인은 임진년의 변란을 만나서

 신주를 받들고 산기슭으로 돌아가다가

 적에게 욕을 하고 해를 당하였는데,

 그 일이 조정에 알려져서 정려(정려)되었다.

공이 일찍이 대사간으로 서울에 왔을 적에 

내가 약관의 나이로 공을 저사에서 배알했더니,

 학문하는 요점을 일러 주면서 말하기를,

 “나는 이미 돌아갈 뜻이 있으니,

 그대도 만일 뜻이 있다면

 나를 석담으로 찾아오게나.”

라고 했었는데,

 이때부터 공은 돌아가지 못하였고,

 나 또한 세상살이에 골몰했었다.

 그리고 나는 또 공이 인재 선발하는 권병을 잡고 있었기 때문에

 출세의 배경으로 삼는다는 혐의를 부끄럽게 여겨

 스스로 그 문장에 출입을 금하였으므로,

 공의 일부분도 엿보지 못했었다.

 그런데 지금 대사를 당하고 보니,

 솜씨가 없어서 큰 문장은 발휘할 수 없고,

 다만 자세히 살펴보고 

신중히 쓸 수 있는 정도의 능력만이 약간 있을 뿐이다.

 나의 친구 사계 김장생이 스승의 법도를 고치지 않고 

능히 그 설을 굳게 지키고 있는데, 그가 말하기를,

 “그 학문은 수심양성을 근본으로 삼아 

주정에 전일하여 천인 성명의 은미함과 

수기치인의 도리에 이르기까지 연구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리하여 분화한 가운데서도 스스로의 지킴이 더욱 엄격하였고,

 옥루의 은밀한 데서도 홀로 있을 때를 삼가는 데에 부끄러움이 없었다.

 그리고 경전을 두루 섭렵하면서 자득한 곳을 만났을 경우에는

 매양 흔연히 소리를 높여 읽었고,

 질병이 있지 않은 때에는 일찍이 드러누운 적이 없었다.”고 하였다.

나는 생각하건대,

 공은 들어간 곳이 바르고 깨달은 곳이 통투하였기 때문에

 말할 때는 여유가 있고 행사할 때는 민첩했었다고 여긴다.

 또 의심하건대, 그 학문에 진취한 차서는 마치 우 임금이 용문을 뚫을 적에 

먼저 긴요한 곳을 좇아 여수, 한수, 제수, 탑수를 뚫어 

성대히 형세를 따라서 했던 것과 같이 하였으므로,

 보는 이들은 마치 상달한 다음에 

하학을 한 것처럼 느끼게 된다.

 그러나 세상에 거꾸로 하는 공부가 어디에 있겠는가.

일찍이 들으니, 경에 이르기를,

 “청명이 몸에 있으면 지기가 신과 같다.”

고 하였고, 전에 이르기를,

 “명으로부터 성한다.[자명성]”

고 하였으니, 나는 이를 해석하기를,

 “하늘이 열리고 태양이 밝으면 자연히 가리움이 없는 것이다.”

고 하노라.

 간혹 영명함이 뛰어난 이의 경우는

 능히 형기의 사사로움을 초월하고 막히고 어두운 틀을 벗어나서,

 그 성립된 것이 마치 바다 위에 뜬 신기루가 인위적으로 다듬은 흔적이 없고

 그 간가도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니,

 또한 생각건대 이것이 아니겠는가.

 지혜로 찾거나 바람을 타거나

 계단을 밟아 올라가지 않고도

 자물쇠를 끄르고 닫힌 문을 열어서

 본체를 환히 내다보았는데,

 마음속에 활경을 지녔으므로 혼란되는 걱정이 없었고,

 정의로 일을 행하였으므로

 하나하나의 선을 점차적으로 성취하는 이로움이 있어,

 축곡이나 무교를 하듯,

 얼음이 풀리듯,

 표적을 꿰뚫듯 하였으니,

 후세에 모두 칭술할 만한 것이다.

아, 산연에서 수레를 빼내어 끝내 구허로 들어갔는데,

 험난한 곳을 나오고자 하여도 끌어 낼 힘이 없어서

 소의 넓적다리와 수레의 굴대가 함께 부러졌으니,

 애석하도다.

지금 세상에 저울대를 가지고 

전배의 경중을 헤아려 

평론할 만한 호걸스러운 사람이 없는 게 한스럽다.

 그래서 다만 나 같은 하찮은 사람의 소견으로 

천년토록 고증할 수 없는 경중을 결정하려고 하니,

 한갓 뻔뻔스러울 뿐이다.

 사람들이 누가 이것을 믿어 주겠는가.

 또 모르긴 하지만 이로부터 몇 백 년 뒤에

 다행히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는,

 마치 지금 이항복과 같은 사람이 한 사람 나와서

 그 말을 동일하게 한다면 이것이 사실에 가까울 것이니,

 우선 조금 기다리는 바이다.

 다음과 같이 명한다.


도가 하늘에서 나와서 

사람에게 부쳐졌으니 

사람이 있으면 도가 있고 

사람이 떠나면 도가 막히도다 

우리 도가 동방으로 오고부터 

드러나고 어두움이 일정치 않았는데 

공은 오직 큰 마룻대가 되어서 

중책을 맡아 의심하지 않았네 

옛날 철인들의 말은 

뜻이 오묘하고 은미했는데 

공이 이를 변석함으로 인하여 

나그네가 집에 가듯 길이 열렸네 

모든 유자로 불리는 자들도 

혹 일은 잘 말하지만 

용을 극진히 함에 이르러서는 

조금 서로 다름을 경계했는데 

아, 공은 말을 하기만 하면 

실행이 반드시 뒤따랐네 

명성이 높은 지위는 

예부터 잘 보전키 어려운 건데 

굴할수록 더욱 밝아지니 

사부가 화살을 부러뜨렸도다 

그 누가 뒤를 이으려는고 

진실로 많은 선비들이로세 

자운산 그 곁에는 

물이 넘실넘실 흐르는데 

비석에 이 명을 새기어 

무궁한 후세에 보이노라 


추충분의평난충근정량갈성효절협책호성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 오성부원군

 이항복이 짓고,

 보국숭록대부 행 판돈녕부사 겸

 판의금부사 김상용이 전액하고,

 숭덕대부 동양위 신익성이 쓰다.

             

숭정 4년 4월 일에 세움


李珥神道碑
 有明 朝鮮國崇政大夫議政府右贊成兼知經筵春秋館成均館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監事 世子師諡文成公栗谷李先生神道碑銘幷序
 昔我 昭敬大王右文興學好尊用需臣其登于朝者彬彬多文學之士矣天篤降材有開必先雲從龍風從虎聖王作而賢佐出時則有若李先生珥遭遇盛際身任繼開若將以有爲也及以甲申正月天奪之速 上服喪食自疾及卒而葬醫問交道藥餌便蕃旣近臣致弔司馬致除司徒??器宗伯詔?禮凡所以崇終而康宗臣者備矣太學生及三學生徒禁軍胥徒奔走塡門會哭至衆庶街巷輟?而嗟者傾都咸一口言曰吾其如何及葬靷出土恒執燭而祖者皆擧音以過哀君子曰優優大哉德之祖洽於衆也如是夫壬辰之後七年不解兵儒服弊于地功利趨競私慾滔天挾書僞學之禁己兆爲善者懼則異時宗李氏之道者宜若背面掉臂諱言其學而乃薦紳韋布日益嚮往鳩材斬石圖所以垂永者委重於余固辭不敢凡六往返猶持不?愍然敬諾俄又?在素蔑泯泯伏荒野前日士數輩以狀踵門速銘曰爲初言故敢動子多士須矣請子圖之遂拜受狀以敍曰李出德水縣其始有敦守者事高麗爲中郎將六世而至諱宜碩 贈大司憲生諱?贈左參贊生諱元秀贈左贊成德水之李其稱蓋久至公益大著初進士申命和奇愛一女穎悟邁倫通古今書善屬文工繪事年十九歸于李氏嘉靖丙申申夫人方重身夢龍騰海入室抱兒納懷中巳而生公三歲自知文字五歲申夫人疾病禱于外家祠十二贊成之疾亦然人始異之十六夫人歿慈良於喪盧墓不?喪三年如一日十八有求道之志放迹山寺偶閱?氏書感死生之說之聞有所謂頓悟法十九入金剛山堅固戒定常自念于心萬象歸一一歸何處思之又思終末有?竅然後盡棄其學遂發?而取孔氏書伏以讀之逾年以出都中宿儒皆注意高仰之折輩行求識面謁退溪先生于陶山辨論義理退溪多從公說嘗致書于公曰發靭正路存心古學他日所就何可量哉前後簡牘具在本集自是學益精道益明餘事文章爾雅紆餘遊刃射科發心中鵠甲子就司馬明經兩試連爲選首時稱九場壯元歷地部春官天曺郎署正言校理賜暇湖堂等職華聞日隆公陳情自劾曰?年求道學未知方汎濫諸家遂耽?敎從事禪門?周一年豈期好官?來也 上曰自古雖豪傑之士未免爲佛氏所陷溺且悔過自新其志可嘉不許嘗於經筵言治亂陳王事發言動聽聞者灑然又因書堂課製陳王覇治安之道名曰東湖問答翼有以啓發上心一日 上語及乙巳事大臣有言善士或有坐死者 公駁言曰大臣不宜含糊姦人造飾遊辭草?士類藉以僞勳今當新政宜先削勳正名國是乃定退而倡議於朝則朝中先輩尙或有難公獨抗言不撓遂悉力擊破之無遺朝野增氣庚午自以學不加進不可以從政遂棄官歸築室于海州之高山而龍蛇焉非聖哲之書不讀非其義雖千駟不顧也其於一切世味泊如也朝議愈欲?以爵累拜天官員外玉堂中書薇垣亞長間或?勉入朝皆不久而退其以直學入也朝野知公有確然之志三司至交章請留而公則去矣公自親歿之後事庶母及伯兄寡嫂始慈母事仲兄如嚴父告面定省老猶不懈家庭悉聽庶母祿俸不自專嘗讀書至張公藝九世同居慨然曰九世之親雖難同室至於兄弟豈可分異乃與兄弟群從同堂連枕每酒食之會命弟彈琴少長歌樂晨拜家廟退序于堂子姓男女以至家衆庭禮栗如一人執禮展讀家訓一遍衆仰首敬恭聽一門抵比賴之俄陞同副承旨公每見 上勳引三代 上以爲迂闊至是又勤 上奮發大志且曰自古儒者難與俗吏謀儒者曰唐虞可立致俗曰古道必難行故俗吏?儒學儒學亦?俗吏均之兩言皆非也爲治當法堯舜事功則須以漸進臣言三代者非日一蹴便到今日行一善事明日行一善政漸圖至治耳時新喪退溪方欲議諡上以行狀未撰難之公言滉之言論風旨巳著於世行狀有無非所輕重 殿下於巳死之賢猶?一褒滉之有諡遲一年固無不可竊恐四方疑 殿下無好善之誠也甲戌上萬言疏 上命書一通朝夕觀省其爲諫長一日命進黃蠟五百斤公廷爭之强 上責問誰受公言道路喧言將造佛像 殿下但當內省有則改之何至峻拒 上曰敢諱言根非無隱之道至欲治以造言之律公曰臺諫有聞卽諫是謂無隱今欲以重律加諸諫官不幾於一言喪邦乎時天怒益震同列縮頸而公對益切不小挫 上亦悔之命還其蠟 旣而病免歸就拜黃海道觀察使明年辭還拜副提學 上於經筵謂公曰四書小註錯亂須經冊定今以委爾時朝臣前後輩多以形迹相標榜至有東西黨朝端始騷公預憂不靖言於盧相守愼請兩出沈義謙金孝元外郡以鎭之於是義謙得開城孝元得富寧公曰北塞非儒臣所處孝元病弱懼不生還乃言於上 上反以公黨孝元不從後公又力言不巳孝元遂改三陟或曰天下無兩是公於此務欲兩全何耶曰二人致朝廷不和則兩非也然俱爲士類必欲是此而非彼其勢無時可息唯當和解消融朝議不以爲然乃決歸旣退而承旨諫長東西亞銓全羅方伯等官皆?來而適去者也其居海州累徵不起日敎授學者遠近?集庚辰擢長御史俄遷諫長時戶部缺尙書大臣薦授之幷提文衡節財勤民去其所惡下天上施壬午移判吏曹擧不失選俄陞崇政爲右贊成冬王黃兩詔使來命?于境及饗牢修爵公自縣間登成拜黃問是何有山野氣得無爲皇華起耕釣耶譯人曰壯元三場盛之玉堂久矣中歲雖退處鄕?入贊黃扉亦有年矣兩使起敬至稱先生而不名事竣移判中兵時北虜冠亂戎務塡委公手判口決目覽心計不相參涉渙若不思 上多公之爲專屬任公北關事事積而不鬱幷行而不謬人人竊言曰不有我公其能國乎公嘗建議欲養兵十萬以備緩急柳西厓成龍以爲不可公退朝謂之曰國勢不振久矣俗儒不達時宜公亦有是言耶壬辰之亂西厓嘗語朝堂曰當時無事吾亦以爲擾民今而思之李文成眞聖人也公平生以一朋黨改貢案約定祀禮以?民力爲先 上初甚護落歷試旣久則信之益篤方倚以爲政公亦聳善仰惡直行不顧反有不悅者陽浮慕之而陰置畦畛?言放紛謀撓上眷?其所爲而??之日甚至乃奮其朋勢傳致微文而顯劾之公引咎乞退 上曰卿識敏才高忠誠體國今疆域多事方藉卿撫定其勿疑沮公亦上章不巳 上曰寥寥千載君臣相過得做功業者絶無而僅有之卿不聞向者之敎乎丁寧一言鬼神亦知公愍然詣闕自陳時大司諫宋應漑獻納柳永慶執義洪汝淳典翰許?等曾爲公所斥挾前憾論之益甚一日上敎大臣曰李珥嘗裁抑新進惡其趨時黨附屢爲陳論見?時論久矣乘時??必欲劾去而後己納馬免防先生後啓特因多事來遑耳是豈擅權凡公鄕之承召不來者多未聞論以慢上是何臺評獨能直裁於珥乎夫擅權慢上人臣極罪面乃請罷職有如乙巳姦臣目之以叛逆而罪之以罷者之爲耶成牛溪渾被徵至京疏陳其狀領議政朴恩菴淳請對力爲救公兩司復再論淳渾而太學生四百餘人守闕伸辨都承旨朴謹元等以爲偏黨悖亂 上曰爾等杜塞人言掩蔽聰明將欲何爲今人心不服義士奮袂爾等雖欲彌?不可得矣兩司因伸救政院 上曰太學公論所在朝廷是非可亂於一時而太學公論焉得以廢也彼玄?數臣?伏近密恣爲朋比眞小人而無忌憚者也予不擧流放之典使??之類騁鶩於昏夜己爲失刑兩司反欲伸救耶命竄朴謹元宋應漑許?公去國未幾以判敦寧府事召辭不就 上曰噫天未欲平治我邦家耶其冬特除吏判下諭切峻公不得己入謝 上卽引見公引咎陳謝請還三竄仍乞致仕後六十日病不起時年四十九公字叔獻學者尊之爲栗谷先生所著有擊蒙要訣聖學輯要小學集註及文集十餘卷行于世墓在坡州紫雲山下夫人盧氏?焉卽宗簿正慶麟之女無子側室子曰景臨景鼎盧夫人遇壬辰亂奉主歸山足罵賊遇害事聞表其閭公嘗以諫長至京余以弱冠拜公于邸舍則諄諄爲學之要曰余己有歸志子若有意可訪我於石潭自是公不得歸余亦乾沒於世自畵於門牆不得窺其涯?今當大事腐毫不能爲言獨其徒能審視而謹書者逞而在吾友金沙溪長生不改師法能持其說?公世系言行及歷官始終請銘以詔後噫公規模之宏遠議論之正平開物成務之才窮天貫古之識致君澤民之大志進退出處之大節赫赫在人耳目烏待余言敖其學以收以養性爲本而至於天人性命之微修己治人之道眞知實見精詣力踐紛華之中自持愈嚴屋漏之隱謹獨無愧敎學者必以入志爲先循循有序開導以誠和氣?然表裏洞澈與人講學所見恒出入意表立言著說橫?無不當理與成牛溪爲道義交嘗見胡雲峯以情意之發分屬性心退溪又有理氣互發之說牛溪尊信退溪常主其說公以爲發之者其所以發者理無先後無離合不可岐分辨析往復累數十書間有發前賢所未發處不泥前書自契經旨後栗谷千載必有神指妙按方尋眞脈不然認?爲?子衆矣盖公入處正而覺處透故說時裕而做時敏又其進學之序若禹之鑿龍門也先從肯?處透汝漢濟?沛然順勢故世之見者疑若上達而後下學然安有倒用工夫者嘗聞經曰淸明在躬志氣如神傳曰自誠明解之者曰天開日明自然無蔽閒有英爽過人則能超形氣之私脫去室暗之臼其立也猶蜃閣之浮于海無斤斧繩削之痕以不可窮其間架昔程子謂邵堯夫空中樓閣朱子謂張敬夫不歷階級而得之抑謂是者非耶不由知索暗合道妙開闕啓?洞視本體中持活敬故無??之虞精義制事故有適用之利遂曲舞交氷解的破後世皆可稱述焉嗟乎拔車山淵竟入丘墟出險無牽?軸俱折惜也恨今世舞傑巨人可以持衡輕重者獨以??余一人之見定千載不可考之論徒强顔耳又不知後世幾百年幸而有所不知何人如今李恒福者一人出而同其說則幾矣姑少俟之
 銘曰
 道出於天 而寓於人 人存道亨 人去道 自吾道東 顯晦無時 公惟厚棟 任重不疑 惟古典訓 義奧旨微 公徐指示 如旅斯歸 凡號儒者 或善說事 至於至用戒于差異 ?公有言 行必隨之 大名之下 古難善持 屈而益明 射夫折矢 孰爲後焉 允矣多士 紫雲之側 維水?? 銘于牲繫 爲示無止
 推忠奮義平難忠勤貞亮竭誠效節協策扈聖功大匡輔國崇祿大夫領中樞府事鰲城府院君李恒福撰
 輔國崇祿大夫行判敦寧府事兼判義禁府事金尙容篆
 崇德大夫東陽尉申翊聖書
             崇禎四年四月 日立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한국유사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