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웅장한 풍경과 敎訓(교훈)이 될 훌륭한 말

작성자柳 덕인|작성시간22.02.15|조회수422 목록 댓글 4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즉, 몸[體貌]·말씨[言辯]·글씨[筆跡]·판단[文理]의

네 가지를 이르는 말.

 


3. 四君子 [사군자]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는 뜻으로]

‘매화·난초·국화·대나무’의 넷을 이르는 말.

 


4. 七去之惡 [칠거지악]
(지난날, 유교적 관념에서 이르던)

아내를 버릴 수 있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 경우.


1.시부모에게 불순한 경우
2.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경우
3.음탕한 경우
4.질투하는 경우
5.나쁜 병이 있는 경우
6.말이 많은 경우
7.도둑질한 경우’를 이름.

 

 

5. 三不幸 [삼불행]
맹자가 말한 불행의 세 가지.
1. 蓄財(축재)에 전념하는 것
2. 자기 처자만 사랑하는 것
3.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三不惑 [삼불혹]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술 · 여자 · 재물

 


6. 三不孝 [삼불효]
세 가지 불효.
1.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2. 가난 속에 버려두며,
3.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7. 三不朽 [삼불후]
세가지 썩어 없어지지 않는 것.
세운 德(덕), 이룬 功(공), 敎訓(교훈)이 될 훌륭한 말.

 

 

 

8. 三從之道 [삼종지도]
세가지 따라야 할 도리
1. 옛날 여자가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2. 시집을 가면 남편을 따르며
3.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르라는 말

 


9. 五常 [오상]
사람의 다섯가지 행실.
즉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10. 五友 [오우]
다섯 종류의 절개 있는 식물. 선비가 벗삼을 만한 식물.
梅(매화)·蘭(난)·菊(국화)·竹(대나무)·蓮(연꽃).

 

 

11. 五淸 [오청]
다섯 가지의 깨끗한 사물. 선비들이 즐겨 그리는 것.
松(소나무)·竹(대나무)·梅(매화)·蘭(난)·石(돌).

 

 

 

12. 五行 [오행]
우주간에 쉬지 않고 운행하는 다섯가지 원리.
金(쇠)·木(나무)·水(물)·火(불)·土(흙). ◇

 


13. 益者三友 [익자삼우]
이로운 세가지 친구
정직한 사람, 진실한 사람, 학식이 많은 사람

 


14. 四端七情 [사단칠정]
사단은 《맹자(孟子)》의 〈공손추(公孫丑)〉
상편에 나오는 말로 불쌍히 여기는 마음 즉,

네 가지 도덕적 감정을 말한다.


惻隱之心 (측은지심)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을 이르는 말
羞惡之心 (수오지심) -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辭讓之心 (사양지심) -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
是非之心 (시비지심) - 옳음과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그리고 칠정은 《예기(禮記)》의 〈예운(禮運)〉에 나오는 말로
기쁨[喜(희)]·노여움[怒(노)]·슬픔[哀(애)]
·두려움[懼(구)]·사랑[愛(애)]·미움[惡(오)] ·욕망[欲(욕)]의 일곱 가지 인간의 자연적 감정을 가리킨다.

 


15. 四書三經 [사서삼경]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
四書(사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을 말하며,

 

三經(삼경)은《시경(詩經)》서경(書經)》주역(周易)》

이른다.

 


16. 世俗五戒 [세속오계]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圓光)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
원광이 수(隋)나라에서 구법(求法)하고 귀국한 후,
화랑 귀산(貴山)과 추항(項)이 찾아가 일생을 두고경계할 금언을 청하자,

원광이 이 오계를 주었다고 한다.

 

 

이는 뒤에 화랑도의 신조가 되어 화랑도가 크게 발전하고 삼국통일의 기초를 이룩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事君以忠 (사군이충) - 임금은 충성으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事親以孝 (사친이효) - 어버이를 효도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交友以信 (교우이신) - 벗은 믿음으로써 사귀어야 한다는 계율
臨戰無退 (임전무퇴) - 전쟁에 임하여 물러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계율
殺生有擇 (살생유택) - 함부로 살생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계율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명현 | 작성시간 22.02.23 꼭 새겨들어야 하겟읍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여호수아갈랲 | 작성시간 22.02.23 中國의 웅장한 풍경 잘 감상하고 敎訓이 될 훌륭한 말 씀 감사합니다.
  • 작성자kyduck | 작성시간 22.02.23 중국의 멋진 풍경,
    웅장한 산과 울창한 계곡의 멋진 풍경과
    우리의 삶에 교훈이 될 훌륭한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수요일" 되세요, !
  • 작성자justin | 작성시간 22.02.23 중국의 웅장하고 경이로운 풍경과 선인들의 훌륭한 말씀들~!
    감상 잘하고, 다시한번 새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