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NHK日本のうた.1

[스크랩] 韓譯演歌 -( いろはにほへど )- / 唄 : 小沢亜貴子

작성자열쇠|작성시간15.09.15|조회수339 목록 댓글 1

 

 

 

  

                       いろはにほへど

                    作詞:田久保真見    作曲:大谷明裕

                       한글토,韓訳 : 이강산 (chkms)  

                                     デビュー20周年記念 小沢亜貴子ベスト・セレクション 

                                    唄 - 小沢亜貴子

                                  

                                                                                                                                                     

                      마타      콩야모    키리가    후루

                  また    今夜も    霧が   降る

                      또다시  오늘밤도   안개가   내리네

 

                      모오    고코로와    즈부     누레요

                  もう     心は    ズブ    濡れよ

                      벌써     마음은      흠뻑     젖었어요

 

                      사요나라모      이와나이데

                  さよならも  言わないで 

                      안 녕 이 란      말 도 없 이

 

                      아노히토와         잇 챳 타

                  あのひとは  行っちゃった

                      그 사람은          떠나버렸다

 

            --------------------------------------------------

 

                     오토코 난테     네나시구사

                  男 なんて    根無し草

                     사내들 이란       부 평 초

 

                     온나 난테     나미다 바나

                  女なんて      涙花

                     여자들은       눈물의 꽃

 

                     스테    네코오     히로우요니

                  捨て   猫を   ひろうよに

                     버린   고양이를    주워오듯

 

                     카나시이  코이    히로우 쿠세

                  哀しい   恋    ひろう 癖

                     애처로운  사랑     줍는 버릇

 

                    *이로와   니호에도      이로와 니호에도

                 *いろはにほへど  いろはにほへど

                    *아름답게   빛나도      아름답게 빛나도

 

                    *치리 유루     와가  미요

                 *散りゆる  我が 身よ

                    *사라져 갈    이내 몸이여

 

      * いろはにほへど 散りゆる = 옛날부터 일본에 누가 지었는지 모를 (一說에는

         어느 高僧이란 말도 있으나 不確実 하다함) 作者 未詳의 有名한  詩가 한편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이 詩는 일본글자 47字(현재 사용되는 글자중字는 빼고, 지금은 사용

         하지않는ゐ, 두글자를 합한 47字)를 글자 하나도 중복사용 하지않고

         모든 글자가 한번씩만 들어 가도록 지은 詩로 有名하며, 

 

         그 詩의 첫번째 句節을 인용한 것으로, 意味는 諸行無常 <온세상 만물은

        모두 다 변한다>, <꽃이 제아무리 아름답게 빛난다 해도 결국은 시들어

        사라진다>는 自然의 理致가 不可抗力임을 說破하는 詩句節 임.

 

         또 이 句節 처음 세글자 <いろは>는 일본글자를 총칭할때 (즉 우리나라 한글을

         총칭할 때 가,나,다...로, 또 영어의 Alphabet 을 총칭할때 A,B,C...라고 하듯)인용

         되기도하며, 初步者를 일컫는 뜻으로 인용되기도 함.

 

         * 이 詩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 노래의 맨 아래에 상세히 설명 해 붙여 

          놓았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오모이데와    쿠모노 이토

                  想い出は   くもの 糸

                     지난추억은      거 미 줄

 

                     모가쿠 호도      카라미 쓰쿠

                  もがくほど  からみつく

                     발버둥칠수록    휘감겨 붙네

 

                     고코로 나도      이라나이와

                  心    など    いらないわ

                     마음 따위는      필요 없어요  

 

                     아노      히토가        호시이 다케

                  あの   ひとが     欲しい だけ

                      그        사람이     필요할 뿐이에요

 

            ---------------------------------------------------

 

                     이키루 난테        쓰나와타리

                  生きるなんて    綱渡り

                     살아 간다는건        줄타기

 

                     아시타 난테       싱기로오

                  明日なんて    蜃気楼 

                     내일 이란          신 기 루

 

                     나키  와라이데    케쇼오시테

                  泣き 笑いで   化粧 して

                     울고  웃으면서    화장을하고

 

                     스키나    후쿠데     요이도레테

                  好きな   服で   酔いどれて

                     좋아하는  옷입고    주정부리며

 

                     이로와   니호에도      이로와 니호에도

                  いろはにほへど  いろはにほへど

                     아름답게   빛나도      아름답게 빛나도

 

                     치리 유루     와가  미요

                  散りゆる  我が 身よ

                     사라져 갈    이내 몸이여

 

            --------------------------------------------------

 

                     오토코 난테     네나시구사

                  男なんて     根無し草

                     사내들 이란       부 평 초

 

                     온나 난테     나미다 바나

                  女なんて      涙花

                     여자들은       눈물의 꽃

 

                     스테    네코오     히로우요니

                  捨て   猫を    ひろうよに

                     버린   고양이를     주워오듯

 

                     카나시이  코이    히로우 쿠세

                  哀しい   恋    ひろう 癖

                     애처로운  사랑     줍는 버릇

 

                     이로와   니호에도      이로와 니호에도

                  いろはにほへど  いろはにほへど

                     아름답게   빛나도      아름답게 빛나도

 

                     치리 유루     와가  미요

                  散りゆる  我が 身よ

                     사라져 갈    이내 몸이여

 

  1.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いろは>歌(詩)는 아래와 같음.

 

      いろはにほへと ちりぬろを-> 色はにほへど 散りぬろを-> 諸行無常 

      わかよたれそ    つねならむ-> 我が世たれぞ  常ならむ -> 是正滅法

      のおくやま けふこえて-> 有爲の奧山  今日越えて  -> 生滅滅己

      あさきゆめみし ゑひもせす-> 浅き夢見じ   酔ひもせず -> 寂滅爲樂

 

  * 참고 : 옛날에는 濁音 을 쓰지 않아 왼쪽의 첫구절 <~~ほへ>로 쓴것은

            지금은 <~~ほへ>, <>가 되고, 둘째구절 <~~たれ>

             가 되고, 넷째구절의 <~~ゆめみ도 じ, ~~ >가 된

            것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 <いろは>歌(詩)의 내용 풀이:  A=直訳,  B=意訳

 

        (1) いろはにほへど ちりぬろを (色は匂へど 散りぬるを)

        (A) 色 (物質的現象) 의 꽃은 향기롭지만 떨어져 지고 마는것을...

        (B) 이 세상에, 즐거운 일 슬픈 일, 억울한일 허무한일, 행복한 사람도

        불행한 사람도, 부자도 가난한 사람도, 좋은 생각을 가진 사람도 불우한 사람도,

        득보는 놈도 손해보는 놈도, 아름다운것 추한것 等 여러가지 現象이 일어나지만

        이러한 눈에보이는 현상은 모두가 꿈속의 꿈, 결국은 변화하여 사라져 없어질

        허무한것들인것을...

 

       (2) わがよたれぞ つねならむ  (我が世誰ぞ 常ならむ)

       (A) 나의 人生도 누구도 永遠할수가 있을까...

 

       (B) 나 自身도 이 세상의 너도 나도, 아무리 화려한 인생이라도,  언젠가는 그

        모습이 바뀌어 소멸하고만다. 모두가 원래부터 이세상에 존재하지않는 한순간의

         幻想이기 때문에...

 

       (3) うゐのおくやま けふこえて (有爲の奧山 今日越えて)

       (A) 有爲(人間의 所行)의 깊은 산을 오늘 넘어서...

       (B) 분노나 질투, 사랑도 미움도, 소망도 욕망도 희망도, 행복도 불행도 이런것

         들은 모두가 実体가 없는 幻想에 불과하다. 마음속 깊은 곳에 존재하는 実体가

         없는것에 빼앗긴 번뇌(煩悩)를 지금 극복, 무의미한 것을 깨달아...

 

       (4) あさきゆめみじ ゑひもせず (浅き夢見じ 酔ひもせず)

       (A) 어리석은 꿈따위 꾸지 않으리, 취하지도 않으리라.

       (B) 이 人生도, 이 세상도, 모두가 実体가 없는것. 그런것에 꿈을 품는 것은

         어리석은 번뇌(悩)다. 그런 꿈 따위 꾸지 않으리라.

         幸福이나 希望에 취하지도 않으리라.

 

      大乘仏敎에서는, 꿈이나 사랑은 좋지않은것으로 칩니다.

      그것은 絶望과 憎惡 처럼 悩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모든 現象()은 実体가

   없는 幻想()인 것이다.

      즉, 色卽是空. 모든것은, 자신도 세상도, 존재하지 않으며. 存在하고 있는것 처럼

   보이는것은, 縁起(現象과 現象의 関係로부터 생기는 差異)가 만들어 내는 錯覚이다.

      사랑과 憎惡, 幸福과 不幸, 그런 対立같은 것은 처음부터 実体가 없는것을 깨달아,

   対立을 超越할 때, 사람은 菩薩이되고 仏陀가되어, 자신의 주변이 慈悲로 채워져서,

   마음도 세상도 極楽이 된다.

      이런 大乘仏敎의 깨달음을 나타낸 詩가 <いろは> 詩 입니다.

      즉, 盛者必衰, 寂滅為楽. 涅槃教뿐만 아니고, 大乗仏教의 初期 모습으로, 般若経의

   基本思想 입니다.

 

  3. <いろは>歌(詩)의 暗号説

 

     <いろは>詩를 7字씩 끊은것을 한 句節씩으로 적어 놓으면 아래와 같이됨.

           いろはにほへと      いろはにへと

           ちりぬるをわか      ちりぬるわか

           よたれそつねな      よたれそねな

           らむうゐのおく      らむうゐおく

           やまけふこえて      やまけふ

           あさきゆめみ      あさきゆみし

           ゑひもせす           ゑひもせす

                     (1)                     (2)

     위의 7字씩 끊어서 정리된 詩에서 (1)의 각 句節 끝글자와  (2)의 각 句節 끝에서

     세번째 赤色 글자를 한줄로 정리 해 놓으면 아래와 같은 한句節의 文章이 구성됨.

    とかなくてしす(咎無くて死す)  ほをつのこめ(本を津の小女)를 現代文으로

    풀어서 적어보면 私は 無実の罪で 殺される。この本を 津の妻へ 届けてくれ

    (나는 억울한죄로 처형된다. 이사실을 津의 妻에게 전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억울한 遺恨의 글이 되는데, 巷間에서는 <いろは>作者가 折句(和歌나 俳句 作詩

     方法中 한가지)로, 作者의 遺恨을 暗号로 심어놓았다는 俗說이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한 것은 아니고 우연의 일치라는 說이 유력하다함.

    - 註: 이강산 (chkms) -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엔카 컴나라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雨田 | 작성시간 15.09.18 한편의 시를 옮겨 놓은듯 멋지네요
    좋은곡 고맙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