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이 죽어 염라대왕에게 끌려 왔다.
염라대왕이 “너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았기에 지옥에 왔느냐”고 묻자 그는
“나를 바르게 가르쳐 주는 선지식도 없었고 좋은 지도자도 만나지 못해 제대로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염라대왕은 “살아있을 동안 건강하던 사람이 병들어 고생하는 것을 보았느냐”고 했다.
이에 그는 “그런 사람은 수없이 보았으며 나도 그런 경험을 했다”고 말했다.
이에 염라대왕은 “세상에 그것보다 더 훌륭한 선지식이 어디 있느냐”며 꾸짖었다.
이어 뒤이은 질문에서 “주위에서 이 세상을 하직하는 사람들을 보았느냐”고 물었다.
물론 여러번 보았다고 대답했다 “ 이 세상에서 죽음처럼 훌륭한 스승을 보고도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단 말인가”하며 크게 나무랐다.
세상에서 늙고, 병들고, 죽는 이치는 그대로 훌륭한 선지식이며 살아 있는 선지식을 단면적으로 일러주는 우화이다.
어떤 스님이 시자(侍者) 한명을 거느리고 산중 암자에 살고 있었다. 스님이 건강이 좋지 않아 시자를 시켜 뜸을 뜨고 있었는데,
아랫마을에 사는 한 사람이 올라와 “스님 뭘 하고 계십니까?”라고 물었다. “뜸뜨고 있네.” 그러자 마을사람은 손가락을 짚으면서
“갑자을축...” 하더니만 “스님, 오늘은 뜸뜨기엔 안 좋은 날입니다”라고 했다. 즉시 스님은 “얘, 시자야. 오늘 안 좋단다.
그만 하자”며 뜸뜨기를 중지 했다. 스님과 손님은 차를 마시면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손님이 내려갔다.
그러자 스님이 시자에게 “시자야. 하던 것 계속하자”라고 말했다. 놀란 시자가 “오늘은 안 좋다면서요.”라고 하자,
스님은 “안 좋은 거 다 내려가 버렸다!”라고 했다.
불가에서 이야기되는 선문답 가운데 가장 알려진 선문답이다.
불교 수행법 중에 ‘방하착(放下着)’이라는 말이 있다. ‘자기를 놓아 버려라’는 뜻이다. 모든 번뇌는 자기 마음으로 인해 생기는 것.
사회를 탓하고, 부모를 탓하고, 가난을 탓하고, 나쁜 머리를 탓하고, 남들을 탓하는 이런 마음들을 모두 버리면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고요히 눈을 감고 깊이 생각하다 보면 이 세상 모든 것은 다 나 자신의 생각으로부터 발생한 문제라는 사실이다.
모든 것이 내 안의 문제다. 바꾸어 말하면 세상의 그 어떤 일도 내가 내 삶을 창조해 내는 조물주이며,
나의 신(神)이 라는 뜻이다.
내 안의 문제이기에 안이 바뀌면 밖도 바뀌게 마련이다. 이 얼마나 명료한 정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