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형명리德刑命理, 삼덕三德과 삼형三刑의 신론新論-2
1. 서문
2. 한비자韓非子의 형덕刑德
3. 동중서董仲舒의 덕형德刑
4. 소길蕭吉 오행대의의 덕형
5. 양유덕楊維德 경우육임신정경景祐六壬神定經의 형
6. 삼형의 원의와 기존 삼형의 오류
7. 덕형명리德刑命理, 삼덕三德과 삼형三刑
8. 결어
6. 삼형의 원의와 기존 삼형의 오류
형은 덕과 함께 쓰면 정치용어가 되고, 홀로 쓰면 명리용어가 될 수 있다. 간지와 함께 쓰는 형은 그 시원이 서한西漢 효원황제孝元皇帝 원제시대元帝時代(기원전75~33)의 유학자 익봉翼奉의 익봉주사翼奉奏事가 아닐까 한다. 특히 삼형의 이론 근거는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가며,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돌아간다.(木落歸本 水流向末 金剛火強 各還其鄉)라는 사구四句를 연원한다. 수류향말水流向末은 수류귀말水流歸末 또는 수류추말水流趨末이라 쓰이기도 한다. 이 사구를 소길蕭吉이 오행대의의 지지상형支支相刑에서 인용하고 있다. 이는 삼형의 원형이다. 함께 인용한 옥소보감은 삼형의 변형이며, 그 변형의 원조元祖이다. 옥소보감의 저자는 미상이다.
1) 소길蕭吉 오행대의와 옥소보감玉霄寶鑒의 지지상형支支相刑
본문: “지지 자체의 상형相刑은 무엇인가? 자형子刑은 묘卯에 있고, 묘형卯刑은 자子에 있으며, 축형은 술에 있고, 술형은 미에 있으며, 미형은 축에 있고, 인형은 사에 있으며, 사형은 신에 있고, 신형은 인에 있으며, 진토와 오화 유금 해수는 각기 자형自刑한다.”(支自相刑者 子刑在卯 卯刑在子 丑刑在戌 戌刑在未 未刑在丑 寅刑在巳 巳刑在申 申刑在寅 辰午酉亥各自刑)
나의 견해: “자형子刑은 묘卯에 있다.”(子刑在卯) 자형재묘子刑在卯는 문장의 구조가 어렵지 않다. 자子의 형刑은 묘에 있다. 이를 다시 해석한다. “자子는 묘卯에서 형한다.” 전자는 자형을 주어로 삼고, 후자는 자수子水를 주어로 삼는다. 그러나 그 대의는 다르지 않다. 모두 묘목이 자수를 형한다. 자형재묘子刑在卯를 자형묘子刑卯로 환치하고, “자수는 묘목을 형한다.”라고 해석할 수 있을까? 당송 이후 전래한 기존 명서는 모두 이를 취한다. 그 대표주자가 송대에 간행된 오행정기 중에 옥소보감이다. 익봉주사의 원형인 오행대의의 자형재묘子刑在卯를 취할 것인가? 아니면 변형인 옥소보감의 자형묘子刑卯를 취할 것인가? 신형재인申刑在寅도 또한 그러하다. 자형子刑부터 해형亥刑까지 전체 12개 지지의 형이 모두 그러하다. 이는 중차대한 과제이다.
본문: “한서漢書 익봉주사翼奉奏事에 이르기를,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이 때문에 해묘미亥卯未 목의 방위는 형이 북방에 있으니, 해는 자형이고, 묘형은 자에 있으며, 미형은 축에 있다.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가고, 이 때문에 신자진申子辰 수의 방위는 형이 동방에 있으니, 신형은 인에 있고, 자형은 묘에 있으며, 진은 자형이다.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돌아가며, 이 때문에 사유축巳酉丑 금의 방위는 형이 서방에 있으니, 사형은 신에 있고, 유는 자형이며, 축형은 술에 있다. 인오술寅午戌 화의 방위는 형이 남방에 있으니, 인형은 사에 있고, 오는 자형이며, 술형은 미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漢書翼奉奏事云 木落歸本 故亥卯未木之位 刑在北方 亥自刑 卯刑在子 未刑在丑 水流向末 故申子辰水之位 刑在東方 申刑在寅 子刑在卯 辰自刑 金剛火強 各還其鄉 故巳酉丑金之位 刑在西方 巳刑在申 酉自刑 丑刑在戌 寅午戌火之位 刑在南方 寅刑在巳 午自刑 戌刑在未)
나의 견해: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간다.”(木落歸本) 이는 자연 법칙이고, 오행 목의 성정이다. “이 때문에 해묘미亥卯未 목의 방위는 형이 북방에 있다.”(故亥卯未木之位 刑在北方) 두 문장을 연결하면 어떠한가? 해묘미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는데, 그 곳이 바로 해자축 북방이고, 해묘미의 형은 해자축 북방에 있다. 이 삼합과 삼회를 상호 배대하면 어떠한가? “해는 자형이고, 묘형은 자에 있으며, 미형은 축에 있다.” 특히 해자축 북방은 월지로 한정하는 것이 옳다. 12지지의 모든 형은 작형作刑하는 그 주체가 삼합이 아니고, 삼회 중에 월지이다.
형은 주빈主賓이 있고, 능소能所가 있다. 이를 주형主刑과 빈형賓刑 또는 능형能刑과 소형所刑으로 양분兩分하여 말할 수 있다. 지지상형支支相刑 중에 “인형寅刑은 사巳에 있다.”(寅刑在巳) 이는 삼형의 원형이다. 이 인형재사寅刑在巳의 원형을 변형하여 인형사寅刑巳라 약칭하고, “인목은 사화를 가형加刑한다.” 또는 “인목의 어떤 장간은 사화의 어떤 장간을 가형한다.”라고 해석한다. 당송 연간에 오행대의가 중국에서 실전된 이후의 양상이 그러하다. “신형은 인에 있다.”(申刑在寅)라는 구절도 또한 동일하다. 이를 신형인申刑寅이라 약칭하고, “신금 중에 어떤 장간이 인목 중에 어떤 장간을 가형한다.”라고 해석한다. 오행대의를 제외한 기존의 모든 명리서가 이를 취하고 있다.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
“해는 자형이다.” 또는 “해는 자형한다.” “해수는 해수에서 자형한다.” 자형하는 해수는 바로 해자축월의 해수이다. “묘형은 자에 있으며, 미형은 축에 있다.”(卯刑在子 未刑在丑) “묘목은 자수에서 가형하고, 미토는 축토에서 가형한다.” 묘형과 미형 또는 묘목과 미토는 주어로 소형이 되고, 자수와 축토는 능형이 된다. 해묘미 목국 중에 묘목은 자월의 자수에서 가형한다. 해묘미 목국의 미토는 해자축 축월의 축토에서 가형한다. 미토에는 장간에 정을기丁乙己가 있고, 축토는 계신기癸辛己가 있다. 미토의 정화가 축토의 신금을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축토의 계수가 미토의 정화를 가형하고, 또한 축토의 신금이 미토의 을목을 가형하는 것이다. 문법에 맞게 해석하면 이러하다. 그런데 당송 이후의 명리서는 어째서 이와 상반되게 해석했는가? 그 시원은 어디인가?
송대에 간행된 오행정기 중에 옥소보감玉霄寶鑒이 그 시원이다. 이에 인용한다. “해묘미 목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북방에 있으며,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간다.’라고 말한 것은 근원에 돌아가는 방위이기 때문이다. 해방亥方은 목의 근원이며, 이 때문에 해수는 해수를 자형하고, 묘목은 자수를 형벌하며, 미토는 축토를 형벌하니, 모두 북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亥卯未木之位 其刑皆在北方 言木落歸本者 歸根之位也 亥者木之根 故亥自刑亥 卯刑子 未刑丑 皆北方之位故也)
옥소보감에 의거하여 오행대의의 묘형재자卯刑在子와 미형재축未刑在丑을 다시 해석한다. 일단 두 가지로 해석한다. “묘형은 자에 있고, 미형은 축에 있다.”(卯刑在子 未刑在丑) 또는 “묘목은 자수에서 가형하고, 미토는 축토에서 가형한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중에 어떤 해석을 간택해야 옳을까? “해묘미 목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북방에 있다.” 해묘미 중에 하나를 취한다. 해형은 북방에 있다. 이 논법을 의거하면 전자나 후자 모두 허물이 없다.
다시 부연한다. “해묘미 목위는 그 형이 모두 북방에 있다.”(亥卯未木之位 其刑皆在北方) “해묘미의 형은 해자축 북방에 있다.” “해수의 형은 해방에 있고, 묘목의 형은 자방에 있으며, 미토의 형은 축방에 있다.” 일단이나 이단의 논리 전개에 전혀 하자가 없다. 이는 오행대의와 동일하다. 무엇이 다른가? “해수는 해수를 자형하고, 묘목은 자수를 형벌하며, 미토는 축토를 형벌한다.” 묘형재자卯刑在子가 묘형자卯刑子로 바뀌고, 미형재축未刑在丑이 미형축未刑丑으로 바뀌었다.
옥소보감은 “묘목은 자수를 형벌하며, 미토는 축토를 형벌한다.”(卯刑子 未刑丑)라고 하고, 오행대의는 “묘목은 자수에서 가형하고, 미토는 축토에서 가형한다.”(卯刑在子 未刑在丑)라고 한다. 오행대의가 당송 연간에 실전된 이후 12개 지지의 형이 모두 재在자가 없는 옥소보감을 준거하여 유통되고 있다. 오행대의는 인묘진 삼회가 해묘미 삼합을 가형하는데, 옥소보감은 해묘미 삼합이 인묘진 삼회를 가형한다. 이 때문에 주객이나 능소가 뒤바뀌고 말았다. 능형과 소형이 전도되었다. 전도된 견해를 취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형刑자를 형벌한다고 해석했고, 지금은 가형한다고 해석한다. 전혀 다르지 않다.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가고, 이 때문에 신자진申子辰 수의 방위는 형이 동방에 있으니, 신형은 인에 있고, 자형은 묘에 있으며, 진은 자형이다.”
목과 수는 수생목水生木하기 때문에 그 관계를 본말로 본다. 곧 수는 목의 근원이고, 목은 수의 지말이다. 이에 해자축의 해수가 곧 해묘미 목의 근원이 되고, 인묘진의 진토가 바로 신자진 수의 지말 또는 종말이 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신자진 수국은 진토 종말을 취하고, 해묘미 목국은 해수 근원을 취한다.
다시 옥소보감을 인용한다. “신자진 수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동방에 있으며, ‘수는 흘러가서 종말로 달아난다.’라고 말한 것은 반드시 동방으로 떠돌아 흘러가고, 한번 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신금은 인목을 형벌하고, 자수는 묘목을 형벌하며, 진토는 진토를 자형하니, 모두 동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申子辰水之位 其刑皆在東方 言水流趨末者 必東流遊逝而不返 故申刑寅 子刑卯 辰自刑辰 皆東方之位故也)
누가 누구를 가형하거나, 또는 형벌할 수 있는가? 강력한 자가 허약한 이를 가형하거나 형벌할 수 있다. 옥소보감은 신자진 수국이 인묘진 동방의 삼회를 형벌한다고 주장한다. 수국의 신금은 인월의 인목을 형벌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또 수국 자수는 묘월의 묘목을 형벌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신금은 인월에 절지이고, 자수는 묘월에 생지이기는 하다. 절지는 논외로 치고, 자수는 인묘월이 왕상휴수사로 보면 설기하는 휴지이기도 하다. 형벌할만한 역량이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인월의 인목은 관왕지라 절지의 신금을 형벌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 이에 “신금은 인목을 형벌한다.”라는 옥소보감의 논리는 옳지 않고, “신형은 인에 있다.”라는 오행대의의 논리가 오히려 옳다. 인목이 신금을 가형하거나, 또는 형벌한다.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돌아가며, 이 때문에 사유축巳酉丑 금의 방위는 형이 서방에 있으니, 사형은 신에 있고, 유는 자형이며, 축형은 술에 있다. 인오술寅午戌 화의 방위는 형이 남방에 있으니, 인형은 사에 있고, 오는 자형이며, 술형은 미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金剛火強 各還其鄉 故巳酉丑金之位 刑在西方 巳刑在申 酉自刑 丑刑在戌 寅午戌火之位 刑在南方 寅刑在巳 午自刑 戌刑在未)
이에 대하여 옥소보감은 어떠한가? 오행대의는 목과 수를 먼저 언급하고 금과 화를 연이었는데, 옥소보감은 금화의 차서가 앞선다. “경에 이르기를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방위에 돌아가며,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간다.’라고 한다. 이 때문에 사유축 금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서방에 있다. 대체로 사화가 신금을 형벌하고, 유금은 유금을 자형하며, 축토는 술토를 형벌한다. 신유술은 모두 서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 인오술 화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남방에 있다. 대개 인목은 사화를 형벌하고, 오화는 오화를 자형하며, 술토는 미토를 자형한다. 사오미는 모두 남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經云 金鋼火強 各歸其方 木落歸本 水流趨末 故巳酉丑金之位 其刑皆在西方 蓋巳刑申 酉自刑酉 丑刑戌 申酉戌皆西方之位故也 寅午戌火之位 其刑皆在南方 蓋寅刑巳 午自刑午 戌刑未 巳午未皆南方之位故也)
이를 아래에서 다시 부연하겠다.
2) 익봉전翼奉傳의 사구四句에 대한 양유덕楊維德의 해석
송대 양유덕은 그의 경우육임신정경景祐六壬神定經에서 금강화강金剛火強 등 사구를 해석하고 있다. 아래와 같다.
본문: “익봉전翼奉傳에 이르기를,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방위에 있으며,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달아난다.’라고 한다.”(翼奉傳曰 金剛火強 各在其方 木落歸本 水流趨末)
“사유축 금의 방위는 서방에 있다. 금은 그 강건剛健을 믿음에 어떤 물체도 그와 상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양기는 8월 유방酉方을 좇아서 들어가고,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금형金刑은 서방에 있다.”(巳酉丑金之位在西方 言金恃其剛 物莫與對 陽氣八月從酉而入 因而挫之 故金刑在西方)
나의 견해: 원문의 사쇠衰謝를 쇠락이라 해석했다. 사쇠는 꽃이나 잎이 시들어 떨어지는 것이고, 쇠락도 또한 그러하다. 마치 병정화는 사월 사화에서 화기가 절정에 이르고, 오월 오화에 이르러 그 기세가 꺾이어지는 것과 같고, 또한 경신금이 신월 신금에서 금기가 절정이 이르고, 유월 유금에 이르러 그 기세가 꺾이어지는 것과 같다.
적천수에 이르기를, “경금은 대살帶煞하여 최고로 강건하다.”(庚金帶煞 剛健爲最)라고 한다. 익봉전의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방위에 있다.”(金剛火強 各在其方)라는 구절 중에 금의 강건에 대한 양유덕의 해석은 어떠한가?
“사유축 금의 방위는 서방에 있다.”(巳酉丑金之位在西方) 무엇이 서방에 있는가? 사유축 금의 형은 신유술 서방에 있다. 어째서 그러한가? “금은 그 강건剛健을 믿음에 어떤 물체도 그와 상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강건한 주체는 사유축 금이다. 비유하면 이 금은 귀금속의 금이 아니고, 모든 쇠붙이를 일컫는다. 이 금의 강건한 양기는 언제 최고에 이르는가? 신월이다. 이에 “양기는 8월 유방酉方을 좇아서 들어가고,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 유방은 경금의 양인이다. “이 때문에 금형金刑은 서방에 있다.”(故金刑在西方)
다시 확인한다. 사유축 금의 형은 신유술 서방에 있다. 사화가 신금을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신월의 신금이 사화를 가형하며, 사유축의 유금이 유월의 유금을 자형하는 것이 아니고 유월의 유금이 사유축의 유금을 자형하며, 축토가 술월의 술토를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술토가 축토를 가형하는 것이다.
본문: “인오술 화의 방위는 남방에 있다. 염화炎火는 그 강포强暴를 믿음에 어떤 물체도 그와 상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양기는 5월 오방에서 생기고,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화형火刑은 남방에 있다.”(寅午戌火之位在南方 言炎恃其強 物莫與對 陽氣五月生於午 因而挫之 故火刑在於南方)
나의 견해: 적천수에 이르기를, “오양이 모두 양기이지만 병화가 최고이다.”(五陽皆陽丙爲最)라고 한다. 금을 논할 때는 경금이 최고로 강건하다고 말하고, 화를 논할 때는 다시 병화를 양기 중에 으뜸이라 말한다.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방위에 있다.”(金剛火強 各在其方)라는 구절 중에 화의 강포에 대한 양유덕의 해석이다.
“인오술 화의 방위는 남방에 있다.” 화의 형이 남방에 있다. 어째서 그러한가? “염화炎火는 그 강포强暴를 믿음에 어떤 물체도 그와 상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사유축 금은 그 강건에 긍지를 갖고, 인오술 화는 그 강포에 긍지를 갖는다. 깡패 등 폭력배들은 자신의 강인한 힘에 자긍심을 갖는다. 자기 힘을 믿고 긍지를 갖는다. 화기의 절정은 사화이다. 오화에 이르면 어떠한가? “양기는 5월 오방에서 생기고,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
“양기는 5월 오방에서 생긴다.”(陽氣五月生於午) 화의 양기는 5월 오방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고, 병화가 인월에 장생하기 때문에 1월 인방에서 생긴다고 말하는 것이 옳다. 그렇다면 5월 오방에서 생기는 것은 무엇인가? 음기이다. 사월에 치성한 화의 양기는 오월에 음기가 생기고 보면 어떠할까? 내리막길에 접어든다. 양기는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라고 한다. “이 때문에 화형火刑은 남방에 있다.”
다시 반복한다. 인오술 화의 형은 사오미 남방에 있다. 인목이 사화를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사화가 인목을 가형하며, 인오술의 오화가 오월의 오화를 자형하는 것이 아니고 오월의 오화가 인오술의 오화를 자형하며, 술토가 미월의 미토를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미토가 술토를 가형하는 것이다.
본문: “해묘미 목의 방위는 어떠한가?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간다고 하니, 잎이 떨어지면 뿌리로 돌아감을 의미하고, 해묘미 목의 근원이라 형은 북방에 있다. 목은 그 영관榮觀을 믿음을 의미하며, 이 때문에 해자축 음기는 이를 형벌하여 조락凋落하게 한다.”(亥卯未木之位 木落歸本 言葉落復根 亥卯未木之根 刑在北方 言木恃其榮觀 故陰氣刑之 使凋傷也)
나의 견해: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간다.”(木落歸本)라는 익봉전의 제3구에 대한 양유덕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해묘미 목의 방위를 제시하고, 연이어 제3구 명제를 드러낸다.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간다.”라고 하니, 그 뜻은 무엇이냐? “잎이 떨어지면 뿌리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목락귀본木落歸本을 엽락복근葉落復根으로 해석했다. 이는 엽락귀근葉落歸根과 같다. 엽락귀근葉落歸根이여, 래시무구來時無口로다.
“해묘미 목의 근원이라 형은 북방에 있다.” 무엇이 해묘미 목의 근원인가? 해자축 북방수국 중에 첫째 해수가 근원이고, 또 그 형은 북방에 있는 해자축이다. “목은 그 영관榮觀을 믿음을 의미하며, 이 때문에 해자축 음기는 이를 형벌하여 조락凋落하게 한다.” 사유축 금국과 인오술 화국 그리고 해묘미 목국과 신자진 수국은 각기 하나씩 믿는 구석이 있다. 해묘미 목은 그 영관을 믿고 으스댄다. “이화도화李花桃花 만발滿發하여 만화방창萬花方暢 아닐런가.” 해자축 음기는 해묘미 목의 기고만장氣高萬丈을 형벌하여 모두 떨어지게 한다.
다시 반복하여 확인한다. 해묘미 목의 형은 해자축 북방에 있다. 해묘미의 해수가 해월의 해수를 자형하는 것이 아니고 해월의 해수가 해묘미의 해수를 자형하며, 묘목이 자월의 자수를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자월의 자수가 묘목을 가형하며, 미토가 축월의 축토를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축토가 미토를 가형하는 것이다.
본문: “신자진 수의 방위는 어떠한가?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달아난다.’라고 하니, 수의 성향은 동방으로 흘러가고, 한번 가면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니, 바로 이를 종말이라 일컫는다. 이 때문에 수형水刑은 동방에 있고, 수는 음덕陰德을 믿음을 의미하며, 이 때문에 인묘진 춘양春陽이 형벌하여 이들로 하여금 돌아오지 못하게 한다.”(申子辰水之位 水流趨末 水性東流 逝而不返 其謂之末也 故水刑在東方 言水恃陰德 故陽刑使之不歸也)
나의 견해: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달아난다.”(水流趨末)라는 익봉전의 제4구에 대한 양유덕의 해석은 이러하다.
“신자진 수의 방위는 어떠한가?” 신자진 수국의 성정은 어떠한가? 익봉전에 가라사대,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달아난다.”라고 한다. “수의 성향은 동방으로 흘러간다.” 원래 물이 흘러가는 방향은 일정하지 않다. 만일 서출동류수西出東流水가 있다면, 또한 동출서류수東出西流水도 있을 것이다. 세계의 강이 천차만별이다. 어찌 동방으로 한정하여 흘러간다고 단정하랴. “수의 성향은 동방으로 흘러간다.” 이는 수원이 곤륜산이고, 흐르고 흘러서 황하나 장강이 되어 황해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지역의 방위로 보는 것은 옳지 않고, 사시의 방위로 보는 것이 또한 옳다.
“한번 가면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니, 바로 이를 종말이라 일컫는다.” 해묘미 목국은 해자축 북방으로 역행하고, 신자진 수국은 인묘진 동방으로 순행한다. 이에 종말은 진월에 상당한다. “이 때문에 수형水刑은 동방에 있다.” 신자진 수국의 형은 동방 인묘진 각월에 있다. “수는 음덕陰德을 믿음을 의미한다.” 목은 그 영관榮觀을 믿는 것처럼, 수도 또한 그 음덕을 믿는다. 어째서 음덕이라 일컫는가? 적천수 임주에 이르기를, “병화는 바로 순양의 화인지라 만물이 이를 말미암아 발현하지 않음이 없고, 계수는 곧 순음의 수인지라 만물이 이로 인하여 생장하지 않음이 없다.”(丙乃純陽之火 萬物莫不由此而發 癸乃純陰之水 萬物莫不由此而生)라고 하니, 신자진의 그 임계수에 어찌 음덕이 없으랴. “수는 음덕陰德을 믿음을 의미한다.” 음덕은 수의 성향을 말하고, 동방으로 흘러가서 인묘진 목으로 하여금 만화방창하게 한다. “적선지가積善之家는 필유여경必有餘慶이요, 적악지가積惡之家는 필유여앙必有餘殃이라.”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이 때문에 인묘진 춘양春陽이 형벌하여 이들로 하여금 돌아오지 못하게 한다.” 이 세간은 군자는 적고 소인이 득세하고 보면, 그 음덕이 앙화로 돌아오기도 한다. 인묘진 춘양春陽이 그러하다.
다시 반복하여 확인 사살한다. 신자진 수의 형은 인묘진 동방에 있다. 신금이 인목을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인월의 인목이 신금을 가형하며, 신자진의 자수가 묘월의 묘목을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묘월의 묘목이 신자진의 자수를 가형하며, 신자진의 진토가 진월의 진토를 자형하는 것이 아니고 진월의 진토가 신자진의 진토를 자형하는 것이다. 주객과 능소를 명백히 간택하야 한다.
3) 기존 삼형의 오류에 대한 나의 비판
이 글의 제명이 ‘삼형의 원의와 기존 삼형의 오류’이다. 소길蕭吉 오행대의의 삼형으로 원형을 삼고, 옥소보감의 삼형으로 기존 변형을 제시했다. 다음 익봉전의 사구四句에 대한 양유덕楊維德의 해석을 제시하고, 삼형의 주객 또는 능소를 명백히 간택했다. 거듭 기존 삼형의 오류에 대한 나의 비판을 제시하고자 한다.
삼형의 원형은 한서의 익봉주사이고, 이 원형을 오행대의가 전승했으며, 옥소보감은 이를 변형했다. 그렇지만 양자는 모두 지지의 장간을 취하여 삼형을 논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송대 이후의 모든 명리서는 지지의 장간만을 취하여 삼형을 논란한다. 현대 명리학자가 봉승하는 삼형은 익봉주사의 원형을 조금도 찾아볼 수 없다. 그 차서를 다시 나열하여 정리한다. 송대 간행된 오행정기에는 많은 고서가 인용되었다. 그 중에는 아마도 수당 연간에 간행된 명리서도 있을 것이다. 나는 서지학자가 아닌지라 그 연대를 확인할 길이 없다. 일단 장간을 취한 삼형은 오행정기를 의거하여 송대 이후라 가정한다.
가) 익봉주사의 원형 오행대의의 삼형
본문: “지지 자체의 상형相刑은 무엇인가? 자형子刑은 묘卯에 있고, 묘형卯刑은 자子에 있으며, 축형은 술에 있고, 술형은 미에 있으며, 미형은 축에 있고, 인형은 사에 있으며, 사형은 신에 있고, 신형은 인에 있으며, 진토와 오화 유금 해수는 각기 자형自刑한다.”(支自相刑者 子刑在卯 卯刑在子 丑刑在戌 戌刑在未 未刑在丑 寅刑在巳 巳刑在申 申刑在寅 辰午酉亥各自刑)
“한서漢書 익봉주사翼奉奏事에 이르기를,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이 때문에 해묘미亥卯未 목의 방위는 형이 북방에 있으니, 해는 자형이고, 묘형은 자에 있으며, 미형은 축에 있다.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가고, 이 때문에 신자진申子辰 수의 방위는 형이 동방에 있으니, 신형은 인에 있고, 자형은 묘에 있으며, 진은 자형이다.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돌아가며, 이 때문에 사유축巳酉丑 금의 방위는 형이 서방에 있으니, 사형은 신에 있고, 유는 자형이며, 축형은 술에 있다. 인오술寅午戌 화의 방위는 형이 남방에 있으니, 인형은 사에 있고, 오는 자형이며, 술형은 미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漢書翼奉奏事云 木落歸本 故亥卯未木之位 刑在北方 亥自刑 卯刑在子 未刑在丑 水流向末 故申子辰水之位 刑在東方 申刑在寅 子刑在卯 辰自刑 金剛火強 各還其鄉 故巳酉丑金之位 刑在西方 巳刑在申 酉自刑 丑刑在戌 寅午戌火之位 刑在南方 寅刑在巳 午自刑 戌刑在未)
나) 익봉주사의 변형 옥소보감의 삼형
익봉주사의 변형은 송대에 간행된 오행정기 중에 옥소보감玉霄寶鑒이 그 시원이 아닌가 한다. 이에 인용한다. “경에 이르기를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방위에 돌아가며,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간다.’라고 한다. 이 때문에 사유축 금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서방에 있다. 대체로 사화가 신금을 형벌하고, 유금은 유금을 자형하며, 축토는 술토를 형벌한다. 신유술은 모두 서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 인오술 화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남방에 있다. 대개 인목은 사화를 형벌하고, 오화는 오화를 자형하며, 술토는 미토를 자형한다. 사오미는 모두 남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經云 金鋼火強 各歸其方 木落歸本 水流趨末 故巳酉丑金之位 其刑皆在西方 蓋巳刑申 酉自刑酉 丑刑戌 申酉戌皆西方之位故也 寅午戌火之位 其刑皆在南方 蓋寅刑巳 午自刑午 戌刑未 巳午未皆南方之位故也)
“해묘미 목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북방에 있으며,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간다.’라고 말한 것은 근원에 돌아가는 방위이기 때문이다. 해방亥方은 목의 근원이며, 이 때문에 해수는 해수를 자형하고, 묘목은 자수를 형벌하며, 미토는 축토를 형벌하니, 모두 북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亥卯未木之位 其刑皆在北方 言木落歸本者 歸根之位也 亥者木之根 故亥自刑亥 卯刑子 未刑丑 皆北方之位故也)
“신자진 수의 방위는 그 형이 모두 동방에 있으며, ‘수는 흘러가서 종말로 달아난다.’라고 말한 것은 반드시 동방으로 떠돌아 흘러가고, 한번 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신금은 인목을 형벌하고, 자수는 묘목을 형벌하며, 진토는 진토를 자형하니, 모두 동방의 방위이기 때문이다.”(申子辰水之位 其刑皆在東方 言水流趨末者 必東流遊逝而不返 故申刑寅 子刑卯 辰自刑辰 皆東方之位故也)
익봉주사의 원형 오행대의의 삼형이나 변형 옥소보감의 삼형은 해설을 생략한다. 12지지의 형 중에 하나만 인용하여 그 차별상을 확인한다. “신형은 인에 있다.”(申刑在寅) 또는 “신금은 인목에서 가형한다.” 이는 오행대의의 원형이다. “신금은 인목을 가형한다.”(申刑寅) 이는 옥소보감의 변형이다. 양자 모두 지지의 장간을 삼형에 차용하지 않는다. 후대 명리서는 모두 옥소보감의 변형을 취한다. 이는 초변初變이다. 그리고 후대에 이르러 지지의 장간만을 취하여 삼형을 논란한다. 이는 재변再變이다.
다) 송대 이후 장간을 취한 삼형
송대에 간행된 요중廖中(1435-1505)의 오행정기五行精紀는 당송 연간의 모든 명리서를 집대성했다. 오행정기 제25권 중에 논삼형論三刑을 인용한다.
본문: “형은 네 종류가 있다. 첫째는 무례형無禮刑이라 말한다. 자수는 묘목을 형벌하고, 묘목은 다시 자수를 형벌한다. 대개 자방은 양정陽晶을 시생始生하고, 묘방은 일문日門이다. 양이란 군왕이고, 지아비이다. 세력이 양립兩立하지 못한다. 또 자는 수水이고, 묘는 목木이다. 자모子母의 도리가 있으련만, 두 양陽이 경쟁함으로 인하여 돌보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상생相生이 서로 번갈아가며 형해刑害한다. 이 때문에 무례형이라 말한다.”(刑有四種 一曰無禮刑 子刑卯 卯復刑子 蓋子爲生陽晶 卯爲日門 陽者 君也 夫也 勢不兩立 又子者 水也 卯者 木也 有子母之道 因兩陽之競不恤 所以相生遞相刑害 故曰 無禮刑)
나의 견해: 기문의 천을귀인은 주야晝夜의 용법이 동일하지 않다. 명리는 이를 차용하지만, 주야를 가리지 않고 겸용한다. 곧 변형을 쓴다. 오행대의의 자형재묘子刑在卯와 묘형재자卯刑在子는 그 양상이 동일하지 않다. 그 출처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 양상이 동일하지 않다. 오행대의의 자형재묘子刑在卯를 옥소보감은 자형묘子刑卯라 일컫고, 또 묘형재자卯刑在子를 묘형자卯刑子라 일컫는다. 자형재묘와 묘형자의 그 뜻이 동일하다면, 자형재묘와 자형묘는 그 뜻이 상반된다. 이에 옥소보감은 자형묘로 묘형자를 삼고, 묘형자로 자형묘를 삼는 꼴이 되고 말았다. 원각경을 인용한다.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도적을 자식으로 삼는 것과 같으니, 그 집안의 재보를 결국 호지護持하지는 못할 것이다.”(譬如有人 以賊爲子 其家財寶 終不成就) 전도되었다. 호리유차毫釐有差이면 천지현격天地懸隔이다. 음수사원飮水思源이란 경구가 있다. 근원으로 돌아가라.
본문: “둘째는 무은형無恩刑이라 말한다. 인목은 사화를 형벌하고, 사화는 신금을 형벌하며, 신금은 인목을 형벌하는 것이 이것이다. 대개 인목 중에 있는 갑목은 사화 중의 무토를 형벌한다. 무토는 적취積聚한 토로 계수와 상합相合하여 지어미를 삼는다. 그러나 계수로 말하면 갑목의 모친이고, 무토도 이미 계수의 지아비가 되면, 바로 갑목의 부친이다. 그 부친을 내가 형벌한다면, 은혜를 곧 잊어버린 것이니, 이 때문에 무은형이라 말한다. 사화 중에 병화는 신금 중에 경금을 형벌하고, 신금 중에 경금은 인목 중에 갑목을 형벌한다. 이를 의거하라. 뜻은 동일하다.”(二曰無恩刑 寅刑巳 巳刑申 申刑寅 是也 蓋寅中有甲木 刑巳中之戊土 戊土土聚 以癸水相合爲妻 則癸水者 甲木之母也 戊土既爲癸水之夫 乃甲之父也 彼父而我刑之 恩斯忘矣 故曰 無恩刑 巳中之丙 刑申中之庚 申中之庚 刑寅中之甲 准此同義)
나의 견해: “인목은 사화를 형벌하고, 사화는 신금을 형벌하며, 신금은 인목을 형벌한다.”(寅刑巳 巳刑申 申刑寅) 이 삼형의 원형과 비교한다. “인형은 사화에 있고, 사형은 신금에 있으며, 신형은 인목에 있다.”(寅刑在巳 巳刑在申 申刑在寅) 인형사寅刑巳와 인형재사寅刑在巳는 그 뜻이 정반대이다.
“대개 인목 중에 있는 갑목은 사화 중의 무토를 형벌한다.”(蓋寅中有甲木 刑巳中之戊土) 이는 인형재사寅刑在巳의 원형을 인형사寅刑巳로 변형하고, 다시 장간을 위주하여 삼형의 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익봉주사의 원문을 인용한다. “인오술寅午戌 화의 방위는 형이 남방에 있으니, 인형은 사에 있고, 오는 자형이며, 술형은 미에 있다.”(寅午戌火之位 刑在南方 寅刑在巳 午自刑 戌刑在未) 인오술 화국은 그 형이 남방 사오미 삼회에 있다. 이 원형을 뒤바꾼다. 인오술 화국은 남방 사오미를 가형한다. 곧 인목은 사화를 가형한다. 일단 전되된 견해를 취하여 원자재原資材로 삼는다.
인목과 사화를 비교한다. 인목의 장간은 무병갑戊丙甲 곧 무토와 병화 갑목이 있고, 사화의 장간은 무경병戊庚丙 바로 무토와 경금 병화가 있다. 인형사寅刑巳를 준거하면, “인목 중에 있는 갑목은 사화 중의 무토를 형벌한다.” 그리고 인중병화는 사중경금을 가형할 수 있다. 만일 인형재사寅刑在巳를 준거하면, 사중경금이 인중갑목을 가형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도 그러할 수 있을까? 갑목이 사화 중의 무토를 형벌하면 사중병화는 그저 가만히 보고만 있을까? 인중병화가 사중경금을 가형할 때 사중무토는 경금을 호위할 수 있다. 또한 사중경금이 인중갑목을 가형한다면 인중병화가 갑목을 호위할 것이다.
“무토는 적취積聚한 토로 계수와 상합相合하여 지어미를 삼는다. 그러나 계수로 말하면 갑목의 모친이고, 무토도 이미 계수의 지아비가 되면, 바로 갑목의 부친이다. 그 부친을 내가 형벌한다면, 은혜를 곧 잊어버린 것이니, 이 때문에 무은형이라 말한다.” 인중갑목은 사중무토가 편재이고 부친이다. 갑목이 편재 무토 곧 부친을 형벌한다. 부친의 은혜를 저버리기 때문에 무은형無恩刑 곧 은정恩情이 없는 형이라 일컫는다. 무은無恩은 명리용어이다. 은혜가 없는 형이라 해석하면 좀 이상하고, 은혜를 모르는 형이라 해석하면 대의를 취하기는 한다. 그러나 의역에 상당한다. 이에 은정 온정 등의 뜻을 취하여 해석했다. “사화 중에 병화는 신금 중에 경금을 형벌하고, 신금 중에 경금은 인목 중에 갑목을 형벌한다.” 상호 관계가 편재이면 모두 무은형에 상당할 수 있다. 뜻만 취한다면, 무은형은 배은망덕背恩忘德한 형이라 말할 수 있다.
다시 옥소보감을 인용한다.“인목은 장생長生 병화가 있는데 사화 중에 장생 경금을 형벌하고, 사화 중에 기생寄生하는 무토가 있는데 신금 중에 임수를 형벌하며, 신금 중에 장생 임수는 인목 중에 장생 병화를 형벌한다. 장생 처소를 돌보지 않고 서로 번갈아가며 극제하며, 이 때문에 무은형이라 말한다.” 이는 모두 상호 관계가 편재에 상당한다.
본문: “셋째는 시세형恃勢刑이라 말한다. 축토는 술토를 형벌하고, 술토는 미토를 형벌하며, 미토는 축토를 형벌한다.” 이를 부연하면 다음과 같다. 사유축 금국의 축토는 신유술 금방金方의 술토를 형벌하고, 인오술 화국의 술토는 사오미 화방火方의 미토를 형벌하며, 해묘미 목국의 미토는 해자축 수방水方의 축토를 형벌한다. 이는 모두 전도된 견해이다. 사유축 금국의 형은 신유술 서방에 있다. 금방金方이 곧 서방西方이다. 묘고 축토와 술토만 가지고 형을 논하면, “축형은 술토에 있다.”(丑刑在戌)라고 할 수 있다. 신유술 삼개월 중에 술월의 술토이다. 이를 “축토는 술토를 형벌한다.”(丑刑戌)라고 변형하고 논리를 전개한 것이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술형은 미토에 있다.”(戌刑在未) 또는 “미형은 축토에 있다.”(未刑在丑) 등의 원형도 술형미戌刑未 미형축未刑丑으로 변형하고 논리를 전개한 것이다.
“대개 축토 중에 왕수旺水가 있으니, 축토는 바로 수중지토水中之土이기 때문이다. 술토는 묘화墓火가 있다. 축토는 왕수를 믿고 술토 중에 묘화를 형벌한다.” 이는 “축토는 술토를 형벌한다.”(丑刑戌)라는 명제에 충실한 논리 전개이다. 사유축의 축토는 월지가 아니고, 신유술의 술토는 월지이다. 축토는 장간에 계신기癸辛己가 있고 술토는 신정무辛丁戊가 있다. 둘을 조합하면 토금이 강왕하다. 원형을 의거하여 해석하면, 사유축의 축토 신금은 술월에 왕지를 얻으며, 그 강건剛健이 바로 자신을 가형하는 것이다.
“술토는 육갑六甲의 지존이고, 미토는 육계六癸의 비천자卑賤者이다. 술토는 육갑의 지존을 믿고 미토 육계의 비천卑賤을 형벌한다.” 이는 “술형은 미토에 있다.”(戌刑在未)라는 원형을 “술토는 미토를 형벌한다.”(戌刑未)라고 변형하고 논리를 전개한 것이다. 인오술의 술토는 사오미의 미토를 형벌한다. 술토는 장간에 신정무辛丁戊가 있고 미토는 정을기丁乙己가 있다. 술토의 신금은 정화에 손상되었는데, 다시 미월의 정화가 호위하는 을목을 형벌할 수 있을까? 이도 또한 원형을 의거하여 해석하면, 인오술의 술토 중에 정화는 미월의 강왕한 정화를 얻으며, 그 강포强暴가 바로 자신을 가형하는 것이다.
“미토는 왕토旺土가 있다. 다시 왕토의 기세를 믿고 축토 중에 수를 형벌한다.” 이는 “미형은 축토에 있다.”(未刑在丑)라는 원형을 “미토는 축토를 형벌한다.”(未刑丑)라고 변형하고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해묘미 목국의 미토는 해자축의 수방 축토를 형벌한다. 해묘미는 목국이라 목극토하며, 이로 인하여 그 미토는 왕토가 될 수 없다. 미월의 미토와 해묘미 목국의 미토를 동일시할 수는 없다. 미토는 장간에 정을기丁乙己가 있고 축토는 계신기癸辛己가 있다. 이도 원형을 의거하여 해석하면, 미토 을목의 그 영관榮觀이 축토의 신금에 조락凋落한다고 볼 수 있고, 또 미토의 정화는 축월의 계수에 그 광영光榮이 소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제각기 믿는 곳이 있어서 서로 형벌하며, 이 때문에 시세형이라 한다.” 그 제각기 믿는 곳을 옳다고 인정하기 어렵다. 논리의 전개가 정연하지 못하고, 견강부회牽强附會한 일면이 없지 않다.
본문: “넷째는 자형自刑이라 말한다. 진토와 오화 유금 해수가 그러하다. 진토는 수의 묘고墓庫라 넘칠 정도로 가득차고, 오화는 화의 왕지旺地라 극성한 채 소멸하며, 유금은 금의 왕지라 강강剛强하여 이지러지고, 해수는 목의 장생지長生地라 너무 많아서 뿌리가 썩는다. 각각의 곳집이 이미 태과太過한 기氣가 극심하여 스스로 앙화를 초치招致하며, 이 때문에 자형이라 말한다.”(四曰自刑 辰午酉亥 是也 辰者 水之墓也 滔則盈 午者 火之旺也 盛則滅 酉者 金之旺也 剛則闕 亥者 木之生也 旺則朽 各稟已甚太過之氣 而自致禍也 故曰自刑)
나의 견해: “넷째는 자형自刑이라 말한다. 진토와 오화 유금 해수가 그러하다.” 연월일시 각 지지의 진토와 진토가 무조건 자형하는 것은 아니다. 자형의 기본법칙은 다음과 같다. 신자진 수국의 진토는 그 형이 인묘진 진월의 진토에 있다. 수국의 진토가 진월의 진토를 가형하는 것이 아니고, 진월의 진토가 수국의 진토를 가형한다. 이 세간의 기본법칙은 약육강식이다. 강자가 악자를 형벌한다. 지지는 동일해도 천간이 동일하지 않다면, 그 지지는 반드시 동일한 지지라고 단정하여 말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하지만 이 세간의 기본법칙은 약육강식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오술의 오화를 사오미의 오월 오화가 가형하고, 사유축의 유금을 신유술의 유월 유금이 가형하며, 해묘미의 해수를 해자축의 해월 해수가 가형한다.
“진토는 수의 묘고墓庫라 넘칠 정도로 가득 찬다.”(辰者 水之墓也 滔則盈) 가득 차면 좋은 경계이지만 넘치면 허물이 된다. 만일 도즉영滔則盈을 영즉도盈則滔로 도치시키면 어떠한가? “진토는 수의 묘고墓庫라 가득 차서 바로 넘치게 된다.”(辰者 水之墓也 盈則滔) 일단 후자의 뜻을 취한다.
묘고墓庫는 묘와 고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오행대의는 묘墓와 같은 개념으로 고庫는 쓰이지 않는다. 그러나 오행정기는 논고묘論庫墓라는 장이 있고, 삼명통회도 논잡기論雜氣의 장을 마련하여 묘고를 함께 쓰고 있다.
오행대의의 묘는 분묘墳墓의 개념뿐이다. 이 분묘의 진진 자형에서는 “진토는 수의 묘고墓庫라 넘칠 정도로 가득 찬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 확장된 고장庫藏의 개념이 필요하다. 아마도 수당송隨唐宋 삼대 왕조를 거치는 사이에 묘墓가 고庫로 확장되지 않았을까 추론한다.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간다.”(木落歸本 水流歸末)라고 하니, 이는 무슨 뜻인가? 해묘미 수국의 목은 그 근원이 해자축 3개월 중에 해월이다. 바로 돌아가는 곳이 해월이다. 신자진 수국의 수는 그 종말이 인묘진 3개월 중에 진월이다. 곧 나아기는 곳이 진월이다. 오행대의 제18편 논정성論情性에서 이르기를, “진월은 수의 궁진처窮盡處가 되니,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로 나아간다. 이 때문에 목형은 미월에 있고, 수형은 진월에 있다.”(辰爲水窮也 木落歸本 水流歸末 故木刑在未 水刑在辰)라고 한다. 임계수는 진월이 고장지庫藏地가 아닌 묘장지墓葬地가 되고, 이를 수궁水窮이라 일컫는다. 산진수궁山盡水窮의 수궁이다. 신자진 수국의 진토가 수의 묘장지墓葬地 진월을 만나면 어떻겠는가? 전혀 힘을 쓸 수 없다. 이에 진월의 진토는 수국의 진토를 가형하는 것이다. 이는 “진토는 수의 묘고墓庫라 넘칠 정도로 가득 찬다.”(辰者 水之墓也 滔則盈)라는 옥소보감의 주장과는 천지현격이다.
“오화는 화의 왕지旺地라 극성한 채 소멸하며, 유금은 금의 왕지라 강강剛强하여 이지러진다.” 오행대의 제18편 논정성 편을 다시 인용한다. “술토는 궁화窮火이고, 축토는 금궁金窮이 된다.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돌아간다. 이 때문에 화형火刑은 오화에 있고, 금형金刑은 유금에 있다. 금과 화가 극성하여 스스로 형별을 받으며, 궁진처에 이르면 돌아갈 곳이 없다.”(戌窮火也 丑爲金窮也 金剛火強 各歸其鄉 故火刑在午 金刑在酉 金火之盛 而被自刑 至窮無所歸) 궁화窮火는 화궁火窮과 같다. 화의 묘장지인 술월의 술토는 화의 궁진처이고, 금의 묘장지인 축월의 축토는 금의 궁진처이다. 인오술 화국의 화형火刑은 오화에 있고, 사유축 금국의 금형金刑은 유금에 있다. 특히 삼합 중에 오화는 오월의 오화에 극심하게 형벌을 당하고, 유금도 유월의 유금에 혹독하게 형벌을 당하는 것이다. “궁진처에 이르면 돌아갈 곳이 없다.” 화의 궁진처는 오월의 오화이고, 금의 궁진처는 유월의 유금이다. 이는 수와 목의 궁진처와는 그 성향이 다르다. 하나는 묘장지이고, 또 하나는 극왕지이다. 돌아갈 곳이 없으면 그 결과는 어떠한가? 자폭한다.
“해수는 목의 장생지長生地라 너무 많아서 뿌리가 썩는다.” 해묘미 수국의 해수는 그 형이 해자축 수방의 해월이다. 또 해수에 해월은 관왕지이다. 태과한 기氣가 극심하다고 말할 수 있다.
“각각의 곳집이 이미 태과太過한 기氣가 극심하여 스스로 앙화를 초치招致하며, 이 때문에 자형이라 말한다.” 진오유해 자형 중에 오유해 삼형은 이에 상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진진의 자형은 이와 상반된다.
7. 덕형명리德刑命理, 삼덕三德과 삼형三刑
이 글의 제명이 ‘삼덕三德과 삼형三刑의 신론新論’이고, 또한 이 단락의 소제명이 ‘덕형명리德刑命理, 삼덕三德과 삼형三刑’이다. 더구나 삼형이라는 용어는 있지만, 삼덕三德이라는 용어는 금시초견今時初見하고 또 금시초문今時初聞할 것이다. 내가 창안하고 작명했기 때문이다. 나의 삼형도 기존 삼형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나의 삼덕과 삼형 양기兩氣의 그 실체는 무엇인가? 동중서董仲舒의 덕형을 천도天道 음양의 발현으로 보고, 삼덕과 삼형의 양법兩法을 음양론으로 확정한다. 명리미언의 승기를 위주한 상수일법上數一法이 태극법이라면, 나의 삼덕과 삼형의 양법兩法 곧 덕형명리의 양법은 음양법에 상당한다. 바로 삼형은 음형陰刑이고 삼덕은 양덕陽德이다. 간지가 상생하여 양덕으로 포상하고, 상극하여 음형으로 형벌한다. 상벌이 명백하다.
기존 삼형론은 서한西漢의 유학자 익봉翼奉의 한서漢書 익봉주사翼奉奏事 중에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가며,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돌아간다.”(木落歸本 水流向末 金剛火強 各還其鄉)라는 사구四句를 연원한다.
나의 삼형론은 어떠한가? 익봉주사의 사구를 원형만 취하고, 그 변형은 취하지 않는다. “형이란 형륙刑戮을 말하는 것이다.”(刑者 刑戮之謂也) “무릇 형刑이란 형살刑殺 형벌刑罰을 말한다.”(夫刑者 殺罰爲名) 덕의 특장은 바로 호생互生이고, 형은 또한 충극沖剋이다. 다시 비유하면 삼덕은 방부자幇扶者로 부모형제와 같고, 삼형은 극설자剋泄者로 군사君師와 같다.
오행은 상호간에 상생하고 상극한다. 상생과 상극은 그 과정이고, 덕과 형은 그 과정일 수도 있고 또 결과일 수도 있다. 형륙이나 살벌殺罰은 상극이나 상충의 극대치極大値에 상당한다. 이에 기존 명리의 상극이나 상충 상형은 모두 나의 삼형의 범주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삼덕이나 삼형 중에 삼은 그 뜻이 무엇인가? 첫째 2개 천간이나 지지 또는 2개 간지의 용사用事이다. 둘째 3개 지지의 용사이다. 셋째 4개 지지 또는 4개 이상 간지의 용사이다.
오행정기 중에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요법要法’(五行相生相克要法)이란 글이 있다. “오행의 상극은 가장 좋지 않다. 예를 들면 이 복취福聚의 간지가 타처他處를 상극하면 바로 좋다고 추단하는 것과 같고, 예컨대 그 타처가 복취의 간지를 상극하려고 오면 곧 매우 좋지 않는 것과 같다. 오행의 상생은 가장 아름답다. 그러나 화취禍聚가 상생하면 바로 흉하며, 복취가 상생하면 곧 길하다. 무릇 상생이나 상극은 오행이 서로 번갈아가며 만나는 것이니, 비로소 그 길흉을 추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육합이나 삼합 형해 충파의 부류는 모두 오행이 서로 번갈아가며 만나는 것과 같다.”(임개오령林開五命)(五行相克最爲不好 如是福聚之地克他處 却從好斷之 如其他來克福聚之地 即大不好 五行相生最爲佳 然以禍相生則爲凶 以福相生則爲吉 凡相生相克 遇五行交錯 方可論之 如六合三合刑害沖破之類 皆爲五行之交錯也)(林開五命)
복취福聚는 복덩이라 번역할 수 있고, 용신이나 희신 또는 길신을 말한다. 타처他處는 흉신으로 볼 수 있다. 화취禍聚는 복취와 상응하게 해석했다.
나는 상극을 상형으로 보고, 상생을 상덕으로 본다. 형덕명리의 삼덕이나 삼형은 천간이나 지지 또는 지지가 2개 또는 3개 이상이 상호 용사한다. 삼덕은 상생의 형태를 취하고, 삼형은 상극의 양상을 취한다. 다만 길신이 흉신을 상생하면 좋지 않고, 흉신이 길신을 상생하면 또한 좋다. 상극도 또한 그러하다. 흉신이 길신을 상극하면 좋지 않고, 길신이 흉신을 상극하면 또한 좋다. 그렇지만 일단 삼덕은 길한 작용으로 보고, 삼형은 흉한 작용으로 본다.
1) 2개 천간 지지나 2개 간지의 형덕
오행대의의 논형論刑에 지지상형支支相刑이 있고, 지형천간支刑天干과 천간형지天干刑支도 있다. 이는 모두 2개 지지나 또는 2개 천간과 지지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의 상형 중에 양형兩刑은 2개 지지가 서로 가형하는 것은 아니다. 오행의 상생과 동일한 개념이다. 목생화나 화생토를 오행이 상생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목과 화가 상호 상생하는 것이 아니고, 목이 화를 일방적으로 생조한다. 지지의 상형도 또한 그러하다. 자묘子卯와 묘자卯子의 상형은 상호 가형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그 양상이 동일하지는 않다.
지지상형支支相刑의 본문: “지지 자체의 상형相刑은 무엇인가? 자형子刑은 묘卯에 있고, 묘형卯刑은 자子에 있으며, 축형은 술에 있고, 술형은 미에 있으며, 미형은 축에 있고, 인형은 사에 있으며, 사형은 신에 있고, 신형은 인에 있으며, 진토와 오화 유금 해수는 각기 자형自刑한다.”
나의 견해: 이는 익봉주사의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종말終末로 나아가며,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돌아간다.”(木落歸本 水流向末 金剛火強 各還其鄉)라는 사구게를 연원한다.
삼합의 형은 방국에 있다. 방국은 월지에 상당한다. 수국을 사례로 든다. 신자진 수국 신금의 형은 인월의 인목에 있다. 신금은 인월이 절지이다. 전혀 힘을 쓸 수 없다. 신자진 수국 자수의 형은 묘월의 묘목에 있다. 자형재묘子刑在卯에 상당한다. 기고만장氣高萬丈하던 자수의 기개가 묘월에 이르러 함몰한다. 해묘미 목국 묘목의 형은 자월의 자수에 있다. 이는 묘형재자卯刑在子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자묘와 묘자의 상형은 동일하지 않다. 신자진 수국 진토의 자형은 진월의 진토에 있다. 신자진 수국의 진토가 수의 묘장지墓葬地 진월을 만나면 어떻겠는가? 전혀 힘을 쓸 수 없다.
나는 오행대의의 지지상형支支相刑만 취하고,옥소보감을 근거하여 파생한 삼형을 취하지 않는다. 아래 천간형지天干刑支와 지형천간支刑天干을 또한 취한다. 인신과 사해 그리고 자오와 묘유 진술과 축미의 상호 관계 곧 상충을 상형으로 본다. 지지의 상극도 또한 상형으로 본다. 신금이 인목을 가형하고, 해수가 사화를 가형한다. 지지의 상생은 상덕相德으로 본다. 상극이나 상충은 상형으로 통합하고, 상생이나 상합 등은 상덕으로 회합한다.
천간형지天干刑支의 본문: “천간이 지지를 가형한다는 것은 무엇인가?(干刑支者) 인형寅刑은 경庚에 있고,(寅刑在庚) 묘형卯刑은 신辛에 있으며, 진형은 갑에 있고, 사형은 계에 있으며, 오형은 임에 있고, 미형은 을에 있으며, 신형申刑은 병에 있고, 유형은 정에 있으며, 술형은 갑에 있고, 해형은 기에 있으며, 자형은 무에 있고, 축형은 을에 있다.”
천간이 지지를 가형한다는 천간형지天干刑支의 유형은 60갑자 중에 경인형庚寅刑 신묘형辛卯刑을 비롯하여 갑진 계사 임오 을미 병신 정유 갑술 기해 무자 을축형 등 12종이 있다. “사형은 계에 있으며, 오형은 임에 있다.” 또 “해형은 기에 있고, 자형은 무에 있다.” 사화와 해수는 음지로 보고, 오화와 자수는 양지로 본다. 오행대의의 견해가 그러하다. 또한 천간과 지지가 떨어져 있지 않는다. 계사 임오 기해 무자처럼 육십갑자 중에 하나로 존재하며 삼형으로 용사한다. 경인형 중에 경금을 지지 신금申金으로 대체하면 신인형申寅刑이 된다. 곧 상형은 상충을 겸한다. “인충寅沖은 경庚에 있다.”(寅沖在庚)라고 하지 않고, 어째서 “인형寅刑은 경庚에 있다.”(寅刑在庚)라고 했을까? 오행대의는 충沖을 충파沖破라 한다. 상형은 상충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천간이 지지를 상생하면 이는 상덕이 된다. 곧 천간덕지天干德支이다. 바로 임인덕壬寅德이고, 계묘덕癸卯德이며, 병진 을사 갑오 정미 무신 기유 병술 신해 경자 등이다.
“인형寅刑은 경庚에 있다.”(寅刑在庚) “인형은 사에 있고, 사형은 신에 있으며, 신형은 인에 있다.”(寅刑在巳 巳刑在申 申刑在寅) 이는 오행대의의 원형이다. 여기서 재在자의 용법을 다시 확인해야 한다. “인목은 사화를 가형하고, 사화는 신금을 가형하며, 신금은 인목을 가형한다.”(寅刑巳 巳刑申 申刑寅) 이는 옥소보감의 변형이다. 재在자의 유무에 따라 능형과 소형이 뒤바뀌고 말았다. 전도된 변형을 취하지 말고, 원형을 취하라. 지말을 버리고 근원으로 돌아가라.
영가대사의 증도가를 인용한다. “곧바로 근원을 절단함에 제불諸佛이 인가하신 곳이고, 잎을 따고 가지를 찾는 일을 내가 할 리가 없다.”(直截根源佛所印 摘葉尋枝我不能) 적엽심지를 도치시켰다. 평문으로 환치하면 “내가 잎을 따고 가지를 찾을 리가 없다.”(我不能摘葉尋枝)이다. 상구와 하구가 모두 도치문이다. 제불이 곧바로 근원을 절단함에 인가하신 바이니, 나도 또한 직절근원에 뜻이 있을 뿐이다. 어찌 내가 잎을 따고 가지를 찾을 리가 있으랴. 전불前佛이 후불後佛에 인가하신 곳이 바로 직절근원이다. 근원根源은 근본무명根本無明이다. 직절근원은 일체제불一切諸佛의 출신처出身處이다. 적엽심지에는 조금도 뜻이 없다.
지형천간支刑天干의 본문: “지지가 천간을 가형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갑형甲刑은 신申에 있고, 을형乙刑은 유酉에 있으며, 병형은 자에 있고, 정형은 해에 있으며, 무형은 인에 있고, 기형은 묘에 있으며, 경형은 오에 있고, 신형은 사에 있으며, 임형壬刑은 진술辰戌에 있고, 계형癸刑은 축미丑未에 있다. 이는 모두 이기는 쪽을 형으로 삼기 때문이다.”
지지가 천간을 가형한다는 지형천간支刑天干의 유형은 갑신형甲申刑을 위시하여 을유 병자 정해 무인 기묘 경오 신사 임진 임술 계축 계미형 등 12종이 있다. 지지가 천간을 상생하면 이를 상덕이라 한다. 지덕천간支德天干의 유형도 또한 12종이 있다. 갑자덕甲子德을 위시하여 을해 병인 정묘 무오 기사 경진 경술 신축 신미 임신 계유 등이다.
이상에서 2개 천간 지지나 2개 간지의 형으로 지지상형과 천간형지 그리고 지형천간의 3개 조합을 사례로 제시했다. 이와 상응하여 지지상덕과 천간덕지 지덕천간의 3개 조합을 제시했다. 만일 2개 천간이 상형한다면 천간상형이라 말할 수 있고, 상생한다면 천간상덕이라 말할 수도 있다.
2) 3개 지지의 삼형과 삼덕
삼형 중에 인사신寅巳申과 축술미丑戌未는 윤회輪廻하며 형살한다고 말한다. 곧 인→사→신→인의 차례로 형살하고, 축→술→미→축도 또한 그러하다고 한다. 이는 “인형은 사에 있고, 사형은 신에 있으며, 신형은 인에 있다.”(寅刑在巳 巳刑在申 申刑在寅)라는 오행대의의 원형을 “인목은 사화를 가형하고, 사화는 신금을 가형하며, 신금은 인목을 가형한다.”(寅刑巳 巳刑申 申刑寅)라고 변형한 옥소보감을 그 근거로 삼는다. 이에 인사신과 축술미의 삼형을 인정하지 않고, 또한 그 윤회설輪廻說을 수용하지 않는다.
지지는 양종의 동질성同質性이 있다. 하나는 인묘진의 갑을목 사오미의 병정화 신유술의 경신금 해자축의 임계수 등 4개 계월을 대표하는 목화금수이고, 또 하나는 인신사해 자오묘유 진술축미의 3개 조합이다. 인묘진은 갑을목이 주재하고, 사오미는 병정화가 주재하며, 신유술은 경신금이 주재하고, 해자축은 임계수가 주재한다. 그렇다면 인신사해는 어떠한가? 오행은 다르지만 각 오행의 생지로서 동질성이 있다. 자오묘유는 각 오행의 왕지로서 동질성이 있고, 진술축미는 각 오행의 사지死地 또는 묘장지로서 동질성이 있다. 양종의 동질성은 각자 하나의 집단으로 규합하는 동인動因이 될 수 있다. 나는 인신사해 등 후자의 동질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인신사해와 자오묘유 진술축미는 각기 특징이 있다. 자오묘유 왕지旺地를 태극점에 놓고 보면, 인신사해는 생지生地가 되고, 이에 따라 인중병화나 신중임수 사중경금 해중갑목을 우선하여 적용하며, 진술축미도 묘지墓地가 되고, 진중계수나 술중정화 축중신금 미중을목을 우선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삼합을 무시하고 인신사해가 독립하여 용사한다면, 그 차서는 생기生氣보다 본기本氣를 우선해야 옳고, 진술축미도 또한 묘기墓氣보다 여기餘氣를 중시해야 옳을 것이다. 서있는 위치에 따라 우선순위가 달라진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 오행대의를 제외한 기존 명리서는 진술축미를 묘장지로 보지 않고 고장지로 본다. 어째서 이를 유별나게 강조하여 언급하는가? 고장지로 보면 삼합이 유력하지만, 묘장지로 보면 삼합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합력合力을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오행정기에서 삼합의 연원을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삼합은 인오술 화이고, 시유축 금이며, 신자진 수이고, 해묘미 목이다.”(三合 寅午戌火 巳酉丑金 申子辰水 亥卯未木)(三命纂局)라는 삼명찬국三命纂局을 그 시원으로 삼고자 할 따름이다. 이 삼합을 삼명통회 중에 논지원삼합論支元三合과 오행대의 중에 논방위잡論方位雜과 논충파論沖破를 인용하여 해설하고자 한다.
삼명통회 중에 논지원삼합論支元三合을 인용한다. “또 삼합이란 것은 마치 개개인 일신의 운용運用과 같다. 정精은 바로 기氣의 근원이고, 기는 곧 신神의 근본이다. 이 때문에 정은 기의 모친이 되고, 신은 기의 자식이 되며, 자식과 모친이 서로 상생한다. 정기신精氣神이 전일全一하고 흩어지지 않으면 삼합이 된다. 대체로 지지는 인원에 속한다고 말하고, 이 때문에 이 인원에서 상론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신자진申子辰과 같다. 신금은 바로 자수의 모친이고, 진토는 자수의 자식이다. 신금은 곧 수의 장생지이고, 자수는 바로 수의 왕지이며, 진토는 수의 고장지庫藏地이다.”(或以三合者 如人一身之運用也 精乃氣之元 氣乃神之本 是以精爲氣之母 神爲氣之子 子母互相生 精氣神全而不散之爲合 蓋謂支屬人元 故以此論之 如申子辰 申乃子之母 辰乃子之子 申乃水生 子乃水旺 辰乃水庫)
오행대의는 진술축미 사묘고를 묘장지墓葬地 또는 사지死地로 본다. 오행대의와 삼명통회를 비교한다. 삼명통회는 “신금은 바로 자수의 모친이고, 진토는 자수의 자식이다.”라고 말한다. 신금은 정精이 되고, 자수는 기氣가 되며, 진토는 신神이 된다. 이를 의거하면, 진토 고신庫神은 사기死氣가 없고, 생기生氣만 있다. 오행대의는 “신자진은 수의 방위이다. 신금 중에 생수生水가 있고, 자수 중에 왕수王水가 있으며, 진토 중에 사수死水가 있다.”라고 한다. 신금 중에 생수는 자수의 모친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진토 중에 사수를 자수의 자식이 된다고 볼 수 있을까? 없다. 생기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오행대의의 묘지 개념으로 진술축미는 삼합의 한 인자가 될 수 없다.
오행대의 중에 ‘방위의 잡행雜行을 논함’(論方位雜) 편이다. “인오술은 화의 방위이다. 인목 중에 생화生火가 있고 동방에 있으며, 오화 중에 왕화王火가 있고 남방에 있으며, 술토 중에 사화死火가 있고 서방에 있다. 해묘미는 목의 방위이다. 해수 중에 생목生木이 있고 북방에 있으며, 묘목 중에 왕목王木이 있고 동방에 있으며, 미토 중에 사목死木이 있고 남방에 있다. 신자진은 수의 방위이다. 신금 중에 생수生水가 있고 서방에 있으며, 자수 중에 왕수王水가 있고 북방에 있으며, 진토 중에 사수死水가 있고 동방에 있다. 사유축은 금의 방위이다. 사화 중에 생금生金이 있고 남방에 있으며, 유금 중에 왕금王金이 있고 서방에 있으며, 축토 중에 사금死金이 있고 북방에 있다. 이는 일행一行의 주체가 삼방三方에 섞여있는 것이다. 미진축술未辰丑戌은 토의 방위이다. 미토 중에 왕토王土가 있고, 진토 중에 사토死土가 있으며, 축토 중에 쇠토衰土가 있고, 술토 중에 장토壯土가 있다. 이는 토체土體가 사방에 섞여있는 것이다. 조이趙怡가 이르기를, ‘오행이 서로 섞여있는 것이 마치 금기錦綺와 같다.’라고 하니, 이 말씀은 지당하다.”(寅午戌 火之位也 寅中有生火 在東方 午中有王火 在南方 戌中有死火 在西方 亥卯未 木之位也 亥中有生木 在北方 卯中有王木 在東方 未中有死木 在南方 申子辰 水之位也 申中有生水 在西方 子中有王水 在北方 辰中有死水 在東方 巳酉丑 金之位也 巳中有生金 在南方 酉中有王金 在西方 丑中有死金 在北方 此一行之體 雜在三方也 未辰丑戌 土之位也 未中有王土 辰中有死土 丑中有衰土 戌中有壯土 此土體雜在四方也 趙怡言 五行相雜 如錦綺焉 斯言當矣)
금기錦綺는 그 원의가 비단이다. 그러나 나금기羅錦綺의 약어이기도 하다. 수좌 스님들이 입는 누더기를 나금기라 한다. 오행대의는 인오술이나 해묘미란 용어를 쓰기는 하지만, 삼합三合이란 용어가 없고, 또한 인오술 등에 삼합이란 개념이 없다. 오행대의는 진술축미를 묘장지墓葬地로 보고 고장지庫藏地로 보지는 않는다. 묘지墓地는 사기死氣만 있고, 고지庫地는 생기生氣가 있을 수 있다. 묘장지로서는 삼합의 유인誘因이 없고, 고장지라야 삼합의 인자因子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토 중에 사수死水가 있고, 술토 중에 사화死火가 있으며, 미토 중에 사목死木이 있고, 축토 중에 사금死金이 있다고 한 것이다.
오행대의 중에 논충파論沖破를 인용한다. “충파沖破란 그 기氣가 서로 격대格對하는 것이다. 충기沖氣는 경미하고 파기破氣는 막중한데, 지지와 천간이 각자 상대하며, 이 때문에 각자 충파가 있다. 천간의 충파란 것은 갑목甲木과 경금庚金이 충파하고, 을신乙辛이 충파하며, 병임丙壬이 충파하고, 정계丁癸가 충파하며, 무임戊壬과 갑무甲戊 을기乙己도 또한 충파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격대하여 충파하며, 또한 본체本體가 상극하니, 더욱 중차대하다. 지지의 충파란 것은 자수子水와 오화午火가 충파하고, 축미丑未가 충파하며, 인신寅申이 충파하고, 묘유卯酉가 충파하며, 진술辰戌이 충파하고, 사해巳亥가 충파하는 것이니, 이는 또한 상대를 취한다. 그 경중은 모두 사死와 생生을 써서 말하는 것이다. 사맹四孟은 생기生氣만 있고 사기死氣는 없으므로 바로 상충해도 파손하지는 않으며, 사계四季는 사기만 있고 생기는 없으므로 바로 상파하지만 상충은 없으며, 사중四仲은 사기와 생기를 모두 흥기興起하니, 이 때문에 모두 상충과 상파가 있는 것이다. 사맹은 생기만 있고 사기는 없으므로 바로 상충은 있지만 상파가 없다는 것은 인목 중에 생화生火가 있고, 사화 중에 생금生金이 있으며, 신금 중에 생수生水가 있고, 해수 중에 생목生木이 있는 것이다. 사중은 사기와 생기가 모두 있다는 것은 묘목은 왕목王木과 사수死水가 있고, 오화는 왕화王火와 사목死木이 있으며, 유금은 왕금王金과 사화死火가 있고, 자수는 왕수王水와 사금死金이 있는 것이다. 사계는 사기만 있고 생기는 없다는 것은 진토는 사수가 있고, 미토는 사목이 있으며, 술토는 사화가 있고, 축토는 사금이 있는 것이다. 사기死氣는 바로 무겁기 때문에 상파할 수 있고, 생기生氣는 곧 가볍기 때문에 상충할 수 있다. 또 다시 갑목이 경금을 향하여 나아가면 상충이 되고, 경금이 갑목을 향하여 나아가면 상파가 되니, 강자가 약자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그 충파는 모두 대위對位로 항충抗沖함이 가장 좋지 못하다. 또 서로 대충하는 곳으로 향하는데, 내가 응당 경금에 있으면 상대로 하여금 갑목에 있게 해야 하니, 강자가 약자를 제어하기 때문이다.”(沖破者 以其氣相格對也 沖氣爲輕 破氣爲重 支干各自相對 故各有沖破也 干沖破者 甲庚沖破 乙辛沖破 丙壬沖破 丁癸沖破 戊壬 甲戊 乙己 亦沖破 此皆對沖破 亦本體相剋 彌爲重也 支沖破者 子午沖破 丑未沖破 寅申沖破 卯酉沖破 辰戌沖破 巳亥沖破 此亦取相對 其輕重皆以死生言之 四孟有生而無死 直沖而不破 四季有死而無生 直破而無沖 四仲死生俱興 故並有沖破 四孟有生無死 直有沖無破者 寅有生火 巳有生金 申有生水 亥有生木也 四仲死生俱有者 卯有王木死水 午有王火死木 酉有王金死火 子有王水死金 四季有死而無生者 辰有死水 未有死木 戌有死火 丑有死金 死氣則重 故能破 生氣則輕 故相沖 又復甲往向庚爲沖 庚往向甲爲破 以強者制弱也 其沖破 皆以對位抗沖最爲不善 又 互向對沖之地 我當在庚 令敵居甲 以強制弱故也)
격格에는 겨루다 대적하다는 뜻이 있다. 격대格對는 상대방과 대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충沖은 충돌하다 부딪치다 등의 뜻이 있다. 충파는 상충을 양면으로 나누어 본다. 충기沖氣는 경미하고 파기破氣는 막중하다. 갑목과 경금의 상충을 사례로 든다. 갑목이 경금을 상충하면 충기라 일컫고, 경금이 갑목을 상충하면 파기라 일컫는다.
10개 천간은 하나의 오행으로 순환하며 상생하고 상극한다. 이에 갑무甲戊가 충파하고, 을기乙己가 충파하며, 병경 정신 무임 기계 경갑 신을 임병과 계정이 충파한다. 천간과 지지의 충파는 어렵지 않다. 이에 해설은 생략한다.
인신사해를 사맹이라 한다. “사맹四孟은 생기生氣만 있고 사기死氣는 없으므로 바로 상충해도 파손하지는 않는다.” 어째서 그러한가? 인신사해 각월은 각기 목화수금의 절지가 되고, 생지가 되며, 임관지가 되고, 병지가 된다. 이에 생기만 있고 사기는 없다고 한 것이다. 바로 인중병화 생화生火가 있고, 사중경금 생금生金이 있으며, 신중임수 생수生水가 있고, 해중갑목 생목生木이 있다. 인신사해는 상충만 하고 상파하지는 않는다. 상파의 후과가 막중하지 않고 경미하다.
자오묘유를 사중이라 한다. “사중四仲은 사기와 생기를 모두 흥기興起하니, 이 때문에 모두 상충과 상파가 있다.” 태지 욕지 왕지 사지가 있다. 사중은 사기와 생기가 모두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묘월의 묘목은 왕목王木과 사수死水가 있다는 것은 목은 묘월에 극왕하여(木王於卯) 왕목이 있고, 수는 묘월에 사멸하여(水死於卯) 사수기 있으며, 오월의 오화는 왕화王火와 사목死木이 있다는 것은 화는 오월에 극왕하여(王於午) 왕화가 있고, 목은 오월에 사멸하여(木死於午) 사목이 있으며, 유월의 유금은 왕금王金과 사화死火가 있다는 것은 금은 유월에 극왕하여(金王於酉) 왕금이 있고, 화는 유월에 사멸하여(火死於酉) 사화가 있으며, 자월의 자수는 왕수王水와 사금死金이 있다는 것은 수는 자월에 극왕하여(水王於子) 왕수가 있고, 금은 자월에 사멸하여(金死於子) 사금이 있다고 한 것이다.
진술축미를 사계라 한다. “사계四季는 사기만 있고 생기는 없으므로 바로 상파하지만 상충은 없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포태법에 의거하면, 신자진 수국의 신금은 생수가 있고, 자수는 왕수가 있다. 진토에도 사수가 있는가? 진미술축의 토는 각자 술축진미 각월이 태지가 되고, 축진미술 각월이 욕지가 되며, 진미술축 각월이 왕지가 되고, 미술축진 각월이 장지葬地가 된다. 곧 진토는 진월이 왕지王地가 되고, 미토는 미월이, 술토는 술월이, 축토는 축월이 각자 왕지가 된다. 생기는 없고, 장지로 사기를 삼는다. 이에 사기만 있고 생기는 없다고 한 것이다. “미토는 사목이 있고, 술토는 사화가 있으며, 축토는 사금이 있다.”라는 논리도 또한 동일하다.
“사기死氣는 바로 무겁기 때문에 상파할 수 있고, 생기生氣는 곧 가볍기 때문에 상충할 수 있다.” 인목과 신금, 그리고 사화와 해수의 상충은 통상 격렬하다고 본다. 그러나 인목에 병화 생기가 있고 신금에도 임수 생기가 있으며, 생기는 가볍기 때문에 상충에 이를 뿐이고, 상파에 이르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진술이나 축미는 어떠한가? 진토에 계수 사수가 있고 술토에 정화 사화가 있으며, 사기는 무겁기 때문에 반드시 상파에 이른다. 왕지 자오묘유의 상파는 격렬하고, 묘지 진술축미의 상파는 막중하며, 생지 인신사해의 상파는 경미하다.
“또 다시 갑목이 경금을 향하여 나아가면 상충이 되고, 경금이 갑목을 향하여 나아가면 상파가 되니, 강자가 약자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이는 상파를 정하는 차서를 밝혔다. 첫째 사맹과 사중 사계 중에 사계의 진술과 축미를 상파로 본다. 둘째 사맹과 사중의 상파를 정하는 방법이다. 강자가 약자를 제어하면 상파라 일컫고, 약자가 강자를 제어하고자 하면 상충이라 일컫는다.
“그 충파는 모두 대위對位로 항충抗沖함이 가장 좋지 못하다.” 대위對位는 2개 사물이나 사람 등이 어떤 종류의 관계로 서로 대응하거나 대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으로 한정하면 어떤 지위나 직위가 대상이 된다. 이에 대위항충對位抗沖은 직위 또는 지위를 차지하려고 서로 맞서서 항거하며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
또 서로 대충對沖하는 곳으로 향하는데, 내가 응당 경금에 있으면 상대로 하여금 갑목에 있게 해야 하니, 강자가 약자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대위항충對位抗沖을 간단히 대충이라 한 것이다. 나는 용신이나 길신을 말한다. 용신은 기신을 제압해야 옳고, 기신이 용신을 제압해서는 안 된다.
3) 생지의 인신사寅申巳 사해신巳亥申의 삼형과 인신해寅申亥 사해인巳亥寅의 삼덕
사주팔자는 연월일시의 4개 천간과 4개 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사주팔자를 보는 법은 간단하다. 간지 8자의 상호 관계를 본다. 그 주종主宗은 상생 상극과 상합相合이다. 상충은 상극에 포함된다. 오로지 오행의 생극합生剋合만 가지고 격국의 명칭을 확정하고, 또 용신을 결정한다. 사주팔자의 원명을 보는 법이 이와 같이 간단하다.
십이지지를 삼합으로 분류하면 인신사해 생지와 자오묘유 왕지 그리고 진술축미 묘지로 삼분三分할 수 있다. 4개 인신사해 생지와 자오묘유 왕지 진술축미 묘지가 한 명조에 함께 있으면 사충四沖이 발생하고, 어떠한 조합을 막론하고 3개만 있으면 삼형三刑의 기본조건을 충족한다. 삼형 중에 지지 하나가 천간에 있어도 삼형이 될 수 있다. 삼덕도 또한 그 양상이 동일하다.
생지生地의 인신사해寅申巳亥는 인목과 신금이 상충하고 사화와 해수가 상충한다. 이에 양충兩沖이라 말하는 것이 옳겠지만, 사지四支가 모두 상충하기 때문에 사충四沖이라 말할 수도 있다. 사충은 양지兩支가 1대1로 상충하지만, 삼형은 1대1의 상충을 또 다른 하나가 방조하여 격화激化시키고, 삼덕은 1대1의 상충을 또 다른 하나가 화해和解하여 결속結束시킨다. 이에 삼형은 바로 사충의 변형이지만 사충보다 그 작용이 격렬할 수 있고, 삼덕은 또 하나의 신천지를 드러낸다.
인신사해의 생지에서 발생하는 삼형과 삼덕은 그 유형이 둘이다. 하나는 인신이 기본축이고 사화나 해수를 가미할 수 있으며, 또 하나는 사해를 축으로 삼고 인목이나 신금을 가미할 수 있다.
인목과 신금에 해수를 더하면(寅申亥) 신금 해수 인목으로 금생수 수생목하여(申亥寅) 상생할 수 있고, 인목과 신금에 사화를(寅申巳) 더하면 목생화 화극금하여(寅巳申) 신금을 손상할 수 있다. 이에 인신을 축으로 한 생지는 인신해寅申亥를 삼덕으로 취하고, 인신사寅申巳를 삼형으로 취한다.
만일 인신해寅申亥 삼덕 중에 지지 하나가 천간으로 올라가면 어떠한가? 해중임수亥中壬水를 취한다. 임인壬寅과 신금申金 또는 임신壬申과 인목寅木의 조합이 탄생한다. 인신해寅申亥가 신해인寅亥申으로 상생하여 삼덕이 되었는데, 지지 해수가 천간 임수로 전환하여 인신의 상충을 면할 길이 없다. 다만 임수가 인목을 호위하여 인신의 상충이 약화된다고 볼 수 있다. 만일 신중경금申中庚金을 취하여 경인庚寅과 해수亥水 또는 인중갑목寅中甲木을 취하여 갑신甲申과 해수의 조합이라면 어떠할까? 이는 변형이다. 경인이나 갑신의 간지 상극이 일부나마 완화된다. 인신사寅申巳 삼형 중에 지지 하나가 천간으로 올라가면 어떠한가? 사중병화巳中丙火를 쓰면 병인丙寅과 신금申金 또는 병신丙申과 인목寅木의 조합이 나온다. 모두 인신의 상충이 완화된다. 이 때문에 인신해寅申亥 삼덕이나 인신사寅申巳 삼형 중에 지지 하나가 천간으로 올라가는 변형의 삼형은 취하지 않는다.
다시 사해를 축으로 삼으면 어떠한가? 사화와 해수에 인목을 더하면(巳亥寅) 수생목 목생화하여(亥寅巳) 상생할 수 있고, 사화와 해수에 신금을 더하면(巳亥申) 금생수 수극화하여(申亥巳) 사화를 손상할 수 있다. 이에 사해를 축으로 한 생지는 사해인巳亥寅을 삼덕으로 취하고, 사해신巳亥申을 삼형으로 취한다.
4) 왕지의 자오유子午酉 묘유오卯酉午의 삼형과 자오묘子午卯 묘유자卯酉子의 삼덕
자오묘유子午卯酉의 왕지旺地에서 발생하는 삼형과 삼덕의 그 유형도 또한 둘이다. 하나는 자오가 기본축이고 묘목이나 유금을 가미할 수 있으며, 또 하나는 묘유를 축으로 삼고 자수나 오화를 가미할 수 있다.
자수와 오화에 묘목을 더하면(子午卯) 자수 묘목 오화로 수생목 목생화하여(子卯午) 상생할 수 있고, 자수와 오화에 유금을 더하면(子午酉) 금생수 수극화하여(酉子午) 오화를 손상할 수 있다. 이에 자오를 축으로 한 왕지는 자오묘子午卯를 삼덕으로 취하고, 자오유子午酉를 삼형으로 취한다.
또한 묘유를 축으로 삼으면 어떠한가? 묘목과 유금에 자수를 더하면(卯酉子) 금생수 수생목하여(酉子卯) 상생할 수 있고, 묘목과 유금에 오화를 더하면(卯酉午) 목생화 화극금하여(卯午酉) 유금을 손상할 수 있다. 이에 묘유를 축으로 한 왕지는 묘유자卯酉子를 삼덕으로 취하고, 묘유오卯酉午를 삼형으로 취한다.
인신사해와 자오묘유의 삼형이나 삼덕은 사행四行 중에 삼행三行이 상생 상극으로 용사한다. 상생의 유형은 금수목(申亥寅 酉子卯)과 수목화(亥寅巳 子卯午)로 상생하여 삼덕이 되고, 상극의 유형은 금수화(申亥巳 酉子午)와 목화금(寅巳申 卯午酉)으로 상생하고 상극하여 삼형이 된다. 삼덕과 삼형은 각자 그 유형이 두 가지임을 알 수 있다.
5) 묘지의 축미술丑未戌 진술미辰戌未의 삼형과 축미진丑未辰 진술축辰戌丑의 삼덕
축미진술丑未辰戌의 묘지墓地에서 발생하는 삼형과 삼덕도 또한 그 유형이 둘이다. 하나는 축미가 기본축이고 진토나 술토를 가미할 수 있으며, 또 하나는 진술을 축으로 삼고 축토나 미토를 가미할 수 있다.
축토와 미토에 진토를 더하면(丑癸 未丁 辰乙) 축토의 여기 계수와 진토의 을목 그리고 미토의 정화가 수생목 목생화하여(癸乙丁) 상생할 수 있고, 축토와 미토에 술토를 더하면(丑癸 未丁 戌辛) 축중계수와 미중정화 술중신금이 금생수 수극화하여(辛癸丁) 미중정화를 손상할 수 있다. 이에 축미를 축으로 한 묘지는 축미진丑未辰을 삼덕으로 취하고, 축미술丑未戌을 삼형으로 취한다.
다시 진술을 축으로 삼으면 어떠한가? 진중을목과 술중신금에 축중계수를 더하면(辰乙 戌辛 丑癸) 금생수 수생목하여(辛癸乙) 상생하고, 진중을목과 술중신금에 미중정화를 더하면(辰乙 戌辛 未丁) 목생화 화극금하여(乙丁辛) 술중신금을 손상할 수 있다. 이에 진술을 축으로 한 묘지는 진술축辰戌丑을 삼덕으로 취하고, 진술미辰戌未를 삼형으로 취한다.
이상은 축미진술 중에 여기餘氣를 준거한 것이다. 중기仲氣를 의거하면 어떠할까? 축미진丑未辰은 축중신금 미중을목 진중계수로(丑辛 未乙 辰癸) 금생수 수생목하여(辛癸乙) 상생할 수 있고, 축미술丑未戌은 축중신금 미중을목 술중정화로(丑辛 未乙 戌丁) 목생화 화극금하여(乙丁辛) 축중신금을 손상할 수 있으며, 진술축辰戌丑은 진중계수 술중정화 축중신금으로(辰癸 戌丁 丑辛) 금생수 수극화하여(辛癸丁) 술중정화를 손상할 수 있고, 진술미辰戌未는 진중계수 술중정화 미중을목으로(辰癸 戌丁 未乙) 수생목 목생화하여(癸乙丁) 상생할 수 있다. 이를 의거하면 축미진과 진술미는 삼덕으로 취할 수 있고, 축미술과 진술축은 삼형으로 취할 수 있다.
축미를 축으로 한 삼덕은 여기나 중기 모두 축미진을 삼덕으로 삼을 수 있지만, 진술을 축으로 한 삼덕은 여기를 의거하면 진술미가 되고, 중기를 의거하면 축미진이 된다. 또한 축미를 축으로 한 삼형은 여기나 중기 모두 축미술을 삼형으로 삼을 수 있지만, 진술을 축으로 한 삼형은 여기를 의거하면 진술미가 되고, 중기를 의거하면 진술축이 된다. 삼형과 삼덕은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刑 德 刑 德 刑 德 刑 德
子午酉 子午卯 酉子午 子卯午 卯酉午 卯酉子 卯午酉 酉子卯
寅申巳 寅申亥 寅巳申 申亥寅 巳亥申 巳亥寅 申亥巳 亥寅巳
丑未戌 丑未辰 戌丑未 丑辰未 辰戌未 辰戌丑 辰未戌 戌丑辰
癸丁辛 癸丁乙 辛癸丁 癸乙丁 乙辛丁 乙辛癸 乙丁辛 辛癸乙(餘氣)
丑未戌 丑未辰 未戌丑 丑辰未 辰戌丑 辰戌未 丑辰戌 辰未戌
辛乙丁 辛乙癸 乙丁辛 辛癸乙 癸丁辛 癸丁乙 辛癸丁 癸乙丁(仲氣)
나의 삼덕三德과 삼형三刑은 생지의 인신사해와 왕지의 자오묘유 묘지의 축미진술 중에 양자의 상충을 기본축으로 삼고, 동일한 유형의 지지 2개 중에 하나를 덧붙인다. 그 하나가 상충의 절처絶處에서 봉생逢生하면 삼덕이 되고, 그 절처에서 봉사逢死하면 삼형이 된다. 삼형은 삼형살三刑煞로 볼 수 있고, 삼덕은 삼덕신三德神으로 볼 수도 있다.
나는 생지의 인신사寅申巳와 사해신巳亥申, 왕지의 자오유子午酉와 묘유오卯酉午, 그리고 묘지의 축미술丑未戌과 진술미辰戌未를 삼형이라 일컫는다. 흉신이나 기신으로 용사하면 음형陰刑이라 일컫는다. 생지의 인신해寅申亥와 사해인巳亥寅, 왕지의 자오묘子午卯와 묘유자卯酉子, 그리고 묘지의 축미진丑未辰과 진술축辰戌丑을 삼덕이라 일컫는다. 길신이나 희신으로 용사하면 양덕陽德이라 일컫는다. 삼형은 2개 지지가 상생하여 1개 지지를 상극하므로 좋지 않다고 말하고, 삼덕은 3개 지지가 순차로 상생하여 좋다고 말한다. 이는 일반론이다. 가령 생지의 삼형 인신사寅申巳가 인사신寅巳申으로 목생화 화극금하면 신금이 손상되는데, 신금이 용신이라면 그 용사가 아주 좋지 않고, 만일 신금이 기신이면 그 용사가 매우 좋다. 음형이 덕으로 작용하면 양형陽刑으로 용사한다. 또 예를 들면 생지의 인신해寅申亥가 신해인申亥寅으로 상생하여 수기가 인목에 회집하는데, 인목이 용신이면 그 용사가 아주 좋고, 만일 인목이 기신이라면 그 용사가 매우 좋지 않을 것이다. 양덕이 형으로 작용하면 음덕陰德으로 용사한다. 간지가 용사하는 조합에 따라 양덕陽德과 음형陰刑 그리고 음덕陰德 양형陽刑의 사상이 출현한다. 이를 의거하면, 삼형이나 삼덕 자체에 길흉이 명백히 결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집착하지 말고, 활간活看해야 또한 옳다.
6) 4개 지지나 4개 간지의 형덕
원국의 8자 가운데 4개 지지나 그 이상의 조합이라면 일단 부분이지만 전체를 통간通看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이에 간단히 귀결하고자 한다.
생지의 인신사해나 왕지의 자오묘유 그리고 묘지의 축미진술은 그 조합에 따라 상극하여 삼형 중에 한 유형이 될 수 있고, 상생하여 삼덕의 유형 중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지지 중에 하나나 둘을 천간으로 대체하면 그 유형은 더욱 복잡할 것이다. 이에 해설을 생략한다.
8. 결어
학문은 스승의 가르침을 따라 그 제자가 배우고 익히는 것이다. 불교라면 서가 세존을 사생자부로 삼고, 유교라면 공부자를 교조로 삼는다. 불교와 유교는 모두 교주의 생존 당대에 최고로 흥왕했다. 불교는 정법 상법 말법의 시대를 따라 내리막길을 걸었다. 그런데 명리는 딱히 전성시대라 말할만한 때가 없다. 그 최초 연원이 명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나 사서삼경과 같은 전경이 명리학계에는 없다. 이는 일류 학문으로 설 수 없는 결정적인 하자이다.
다만 명리命理의 명命은 그 근본이 불교나 유고와 모두 상통한다. 불교는 숙명통宿命通의 숙명宿命이 있고, 유교는 수천명受天命이나 지천명知天命의 천명天命이 있다. 이는 명리를 진리의 세계와 합일하게 하며, 또한 명리가 일류 학문으로 설 수 있는 결정적인 인자이기도 하다. 그 중에 일부를 소길의 오행대의가 감당할 수 있다. 나는 오행대의를 거듭 찬탄한다.
나의 덕형명리는 음양론이고, 사상 오행론이다. 오행의 간지는 상덕相德과 상형相刑으로 용사用事한다. 상생과 상합은 상덕이라 호칭하고, 상극과 상충은 상형이라 칭명한다. 삼형은 오행대의의 원형만 인용하고, 기존의 일체 삼형은 배제한다. 원형과 배치背馳되기 때문이다.
명리는 인사人事를 투영한다. 명리는 인사의 거울이다. 일체 인사 관계는 명리라는 명경明鏡에 되비친다. 명경의 투명도는 명리학인의 품계와 상응하고, 또한 당인 심성의 청정도와 합일한다. 일등인一等人 곧 일품의 신인神人은 해인海印을 수용한다. 지어지선止於至善의 경계이다.
인간의 오욕칠정은 호오好惡나 증애憎愛를 벗어나지 않는다. 애호愛好의 행위는 상덕으로 드러나고, 증오憎惡의 결과는 상형으로 나타난다. 특히 사시의 왕상휴수에 기반한 오행의 생극은 일체 간지 용사의 정수이다.
십간과 십이지지를 조합하면 60갑자가 이루어진다. 명리학인은 이 60갑자로 조합한 사주팔자를 자연의 현상 중에 하나로 본다. 19세기 이후에 출현한 청대의 기문 서적도 또한 그러하다. 그러나 정통 기문은 60갑자를 신장神將으로 본다. 이를 명리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신장의 출입에 천변만화가 출현한다. 입신入神의 경계는 이를 기반基盤한다. 이 입신은 접신接神과는 십만팔천리十萬八千里이다. 나의 심지心地는 불지佛地와 상응하여 그 경계가 무궁하다. 입신은 무궁한 심지 중에 신지神地라는 한 계단을 밟을 따름이다.
일체 학문은 입문 방법이 둘이다. 하나는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유천입심地由淺入深이 있고, 또 하나는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 나오는 유심출천由深出淺이 있다. 후자는 나의 조어이다. 일등인은 처음부터 깊은 곳에 들어간다. 어째서 얕은 곳으로 나오는가? 대비심이 있기 때문이다. 심처深處는 핵심을 말한다.
먼저 승기를 본다. 승기는 매월 매일 사령하는 신이다. 팔자 중에 가장 강력하다. 다음 승기와 용신의 조응을 본다. 용사하는 신을 용신이라 한다. 용신은 선악이나 길흉이 없다. 강력한 자가 용사하기 때문이다. 간지는 상덕과 상형으로 용사한다. 오행이 생극하면 우승열패가 드러난다. 힘이 강한 자가 왕이다. 사시의 왕상휴수는 오행의 역량을 좌우한다. 승기도 또한 그러하다. 이 간법이 바로 유심출천由深出淺의 유심惟深 법문法門이다.
슬프도다! 약육강식의 세계여! 십력十力이 있어야 크게 용사할 수 있도다! 아, 누가 지덕智德이나 비덕悲德 인덕仁德 용덕勇德의 달덕達德을 쓰고, 다시 형덕刑德의 권형權衡을 누가 쓰랴.
2024. 8. 18. 17:19, 甲辰 壬申 甲寅 壬申 우란분재일 76세 길상묘덕 정덕성 씀
2024. 8. 20. 17:12, 甲辰 壬申 丙辰 丙申 결어를 수정함 76세 길상묘덕 정덕성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