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2회 – 2

작성자釋대원성|작성시간24.06.10|조회수104 목록 댓글 23

 

 

             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2회 탄허스님의 기본사상 – 2

 

 

  우리가 中庸(중용)이라고 하는 것은 결정적으로 정해져

있지는 않은 겁니다.

항상 그때ㆍ그때 시간과 상황에 맞추어서 가장 적합한 순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용의 妙거든요.

 

여러분, 빵이 다섯 개가 있으면 무조건 가운데라 해서,

세 개만 먹는 것이 중용입니까?

배고플 땐 다섯 개 다 먹을 수 있고, 배부를 땐 하나도 안 먹을 수

있습니다. 때에 따라서 그 中에 처하는 겁니다. 이것이 중도입니다.

過不及이 없는 겁니다.

 

  그 다음에 어디 한 곳에다 치우치지도 않고, 의존하지도 않는

겁니다. 그래서 중용이라고 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저울대를

가지고 얘기합니다. 저울대를요.

 

저의 속가 성이 안동 權(권)가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權道(권도)”라고 표현합니다.

權道라고 하는 것을 “권세 권” ←이렇게 얘기하지만,

이것이 “권세”라는 뜻이 아닙니다.

 

權 ←여기에 나무 木(목)이 있지 않습니까?

權 ←이것을 “저울대 권” 이렇게 얘기합니다.

옛날에는 무게를 잴 때 저울을 사용합니다.

 

저울에는 가운데 추가 있고요. 밑 부분에 뭘 담는 조그만 접시 같은

그릇이 있습니다. 그 그릇에 뭘 담아 놓고 저울대의 가운데 자리에

추를 갖다 왔다 옮깁니다. 옮기면서 균형을 잡아서 물건의 무게를 달던

그런 저울이 있었습니다.

 

    저울대를 “權”이라고 그럽니다.

그럼 저울대는 항상 옮겨 다닐 수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것을 불교에서 “開權顯實(개권현실)이다.”이런 표현을 합니다.
開權 : 권을 열고, 顯 : 드러날 현자입니다.

開權顯實이라는 표현을 쓸 때 實은 진리ㆍ진여라는 뜻이고, 변하지 않는

진리입니다.
權이라고 하는 것은 방편을 말하는 겁니다. 방편입니다.

 

이것은 좀 옮겨 다닐 수 있는 겁니다.

진리를 드러내기 위해서 방편을 좀 쓸 수 있는 것이지요.

그것을 천태학에서는 “開權顯實”이라고,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이것이 “權道”입니다. 그런데 저울대의 무게의 그 중심을 옮겨 다닐 수

있게 되면, 그것이 어떻게 되냐하면 세상의 도량형이 되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 무게는 얼마를 얼마로 해서 어떻게 해서 세금을 부여하고,

여기에서 도량형은 얼마를 얼마로 결정한다.’ ←이렇게 되는 사람들이

권력을 가지게 되겠지요.

그래서 “권세 권ㆍ권력 권”이라는 말이 나오게 된겁니다.

 

權 ← 원래 뜻은 저울대입니다. 그러니까 유교에서 말하는 中이라고

하는 것은 철저하게 “隨時處中(수시처중)”입니다.

中이 딱 정해져 있지 않지요.

 

  우리 말에 “적당하게 한다. 딱 맞게 한다.”

이렇게 그때ㆍ그때 맞춰서 가장 정확하게 하라는 것이 쉽지 않습니

다. “알맞게ㆍ딱 맞게ㆍ네가 알아서 적당하게 하라.” 너무 어려운

일이지요. 그것이 바로 中이라고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것이 일반적인 유교에서 말하는 中이고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여연행 | 작성시간 24.06.11 고맙습니다 _()()()_
  • 작성자묘심행 | 작성시간 24.06.11 고맙습니다
    權의 쓰임이 재미있네요
    _()()()_
  • 작성자惺牛大華 이삼연 | 작성시간 24.06.14 文光스님 – 呑虛思想 - 韓國學을 말하다. 2廻-2.
  • 작성자妙法樹 | 작성시간 24.06.27 _()()()_
  • 작성자묘덕 | 작성시간 24.10.18 _()()()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