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20회 1 – 9

작성자釋대원성|작성시간24.12.13|조회수60 목록 댓글 12

 

 

             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20회 노자와 불교의 회통 1 – 9

 

 

 

       [此兩者는 同出而異名(차양자동출이이명)이라.]

有와 無라고 하는 것. ←이 두 가지는 같이 나왔으되 名이 異한지라.”

 

같이 나온겁니다.

무가 있고난 다음에 유가 있는것이 아니고,

無와 有라고 하는 것은 같이 나왔답니다. 그런데 이름이 달라진겁니다.

보세요. “無” ←이러면 無라고 할 때 이미 有를 대상으로 한 無고요.

언어가 있고 사유가 이미 있잖아요.

 

그러니까 “無ㆍ有” 해도 ←이 무는 이미 아무리 無를 귀하게 여겨봐야

이것도 생각 일어난 세계에 갇히게 돼있지요.

그런데 나왔을 때는 有無는 같이 나왔다는겁니다. 有無가 끊어진 세계는

따로 있고요. 이렇게 탄허스님이 해석하신 겁니다.

노자 1장(20회-1-8)처럼 현토를 잘랐기 때문에 이렇게 해석이 되는 건데

요. 다르게 해석되는 다른 학자들의 견해가 있을 수 있겠지요.

 

       [同謂之玄(동위지현)이라. 이것을 함께 玄이라고 한다.]

유의 세계ㆍ무의 세계. ←이것이 함께 玄입니다.

玄을 검을 현이라고 하지만, 검다는 뜻이 아닙니다.

‘색깔이 끊어진 세계ㆍ형태가 끊어진 세계ㆍ모양이 끊어진 세계ㆍ말로

수 없는 세계’

 

우리가 “하늘 천ㆍ따지ㆍ검을현ㆍ누르황” 했을 때,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 라고 하는 것이,

“하늘이 파란데요. 왜 검습니까?” 했을 때, 빛이라고 하는 프리즘이

가했을 때는 파랗게 보이지만, 빛이 없는 세상에서는 하늘이라고 하는

것은 다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뭡니까? 색깔 이전의 소식입니다.

그래서 “玄”이라고 그럽니다.

 

옛날에 제사 지낼 때, 술이 없으면 그냥 생수를 떠 놓고,

“玄酒(현주)”라고 그랬습니다. 그것은 검을 현자가 아니잖아요?

하늘 색깔이라는 겁니다. 색깔이 끊어진 세계라는 겁니다.

 

그래서
       [玄之又玄(현지우현)이라.]

현하고 현하다. 현묘하고 다시 현묘한지라.

이것을

       [衆妙之門(중묘지문)이라고 한다.]

衆妙, 모든 오묘함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것입니다.

 

   又玄같은 것이 우리 불교미술의 아주 대가이신 고유섭선생의 호가

又玄이잖아요. 이런 데서 다 따오는 것이지요.

그리고 3국지에 유비 현덕. 현덕이라는 단어가 노자 도덕경에 나오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노자라고 하는 내용은 굉장히 뜻이 깊습니다.

 

   저도 유교경전만 보다가 스무살 때 처음 노자를 보고,

깜짝 놀라고 너무 좋아서 하루에 81장을 다 봤던 기억이 납니다.

여러분도 ‘노자의 세계에 빠지셔서, 열심히 잘 보셨으면 좋겠다.’ 하는

그런 생각을 가지게 됩니다.

 

다음 시간에 이어서 노자의 1장에 대한 자세한 사상들!

그 다음에 불교와 회통을 어떻게 같이 하셨는지, 이런 것들을 더 깊이
살펴보도록 하고요.

오늘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일심행 | 작성시간 24.12.14 _()()()_
  • 작성자마니주 | 작성시간 24.12.14 有와 無 : 같이 나왔으나, 이름은 다르다. 함께 玄이라 한다.
    고맙습니다.
    _()()()_
  • 작성자惺牛大華 이삼연 | 작성시간 24.12.14 文光스님 - 韓國學(呑虛思想) - 20-1-9. 老子와 佛敎의 會通.
  • 작성자여연행 | 작성시간 24.12.15 有와 無라고 하는 것 同出而異名이라.... 同謂之玄 고맙습니다 _()()()_
  • 작성자묘심행 | 작성시간 24.12.21 고맙습니다_()()()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