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9회 - 12

작성자釋대원성|작성시간24.09.03|조회수70 목록 댓글 14

 

 

               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9회 金剛經의 핵심, 空 - 12

 

 

 

 

  “相”이라고 하는 것은 일방적으로 보고 있으면,

불교에서 말하는 目→ 能(능) = 주관이 되고요.

木→ 所(소) = 객관이 되지 않습니까?

 

目이 보고 있으면 둘 사이에서 이뤄지는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目과 木은 상호 관계를 이룰 수밖에 없습니다.

目과 木이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하는 관계가 형성됩니다.

그래서 주거니 받거니 하는 관계가 “互相間(호상간)에” 라고 하는

형태가 됩니다.

 

중국이나 북한은 “互相間에” 그러고, 우리는 “相互間에” 그러지요.

한쪽이 한쪽을 일방적으로 보고 있는데,

木은 일방적으로 대상이 되어주고 있다는 것이 되니까,

여기에서 부터 “서로 相”이라는 뜻이 나중에 나온 것이지요.

나중에 나온 겁니다.

 

그런데 相의 뜻을 “생각 想(상)”도 쓰기 시작한 겁니다.

한쪽이 한쪽을 일방적으로 보고 있는데, 서로 대상이 된다는 것에

“생각”이라는 뜻도 쓰기 시작했습니다.

나중에 마음 心자를 붙여서 생각 想자를 만들어낸 겁니다.

처음에 相으로 “생각”이라는 뜻도 썼겠지요.

 

  我相을 “나라고 하는 생각” 이라고 했는데요.

구역의 구마라집은 마음 心자 없는 相을 “생각”으로 썼고,

신역에서의 현장스님은 마음 心자 있는 것[想]으로 썼습니다.

구차국의 구마라집이라는 분이 어떻게 相 ←이런 단어를 썼는지 저는

굉장히 감탄했습니다.

 

“나 라는 생각”이라는 말 속에는 어떤 뉘앙스가 있느냐?

일방적인 나의 생각이지요. 일방적으로 ‘나혼자 만의 일방적인 생각’

이라고 하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잖아요.

눈이 한쪽을 일방적으로 보고 있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그냥 단순하게 “생각”이라고 하지 않고, 相이라고 쓴 것은

굉장히 탁월한 번역이라고 보여집니다.

 

  說文解字에 보면,

      “想자는 冀思也(기사야) = 간절히 바라는 생각이다.

       從心 相聲(종심상성)이다.”
'뜻은 마음 心자의 뜻을 가지고 있고, 서로 相이라는 것은 그냥 소리만

가져왔다.' 相聲은 형성자라는 말이지요.

그러니까 결국은 想은 뜻은 마음 心이라고 뜻만 가지고 있을 뿐이고,

발음만 상을 가지고 왔다는 겁니다.

 

  원래 마음 心자가 없는 相도 “생각”이라는 뜻으로 쓰고 있었던 것이

지요. 그래서

‘마음 心자가 있는 것으로 쓸 것이냐 없는 것으로 쓸 것이냐?’에서,

마음 心 없는 것으로 구마라집이 선택을 했는데요.

여기에서 뉘앙스적으로 “나”라고 하는, 나만의 일방적인 생각이라고

하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어서,

‘구마라집 번역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우리가 지금 금강경의 四相이라고 하는 것을 봤는데요.

범어를 통해서 ‘본래의 뜻이 무엇이었나?’ 하는 것도 찾아서 좀 봐야

되고요. 또 이것이 格義佛敎(격의불교)가 되면서 한자로 번역되는 그런

과정이 있었던 그런 부분을 봐서 어떤 뉘앙스까지 찾아내서 공부하는

부분들이 경전 공부하는데 굉장히 필요하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오늘 시간은 금강경의 我相ㆍ人相ㆍ衆生相ㆍ壽者相이라고 하는

四相을 통해서, 無我라고 하는 사상ㆍ空이라고 하는 사상의 기본적인

핵심을 좀 이해를 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것에 이어서 다음 시간에는 반야심경의 핵심에 대해서 우리가 좀 공부

를 하고, 중도에까지 공부를 하고 나면 화엄의 핵심사상으로 들어갈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오늘 시간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청산(靑山) | 작성시간 24.09.03 _()()()_
  • 작성자대등행 | 작성시간 24.09.04 고맙습니다 _()()()_
  • 작성자묘심행 | 작성시간 24.09.07 相; 일방적으로 생각함
    想; 간절히 바라는 신념
    한자 뜻의 미묘한 차이!
    _()()()-고맙습니다
  • 작성자惺牛大華 이삼연 | 작성시간 24.09.10 文光스님 - 韓國學(呑虛思想) - 9-12. 金剛經의 核心, 空 - 12.
  • 작성자一眞華 | 작성시간 24.10.20 想----冀思也(從心, 相聲)
    고맙습니다 _()()()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