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華嚴經 參考 資料

李通玄장자의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 제7권 [장순용 譯]

작성자문수법공양회|작성시간24.09.17|조회수9 목록 댓글 0
신화엄경론 제7권



8. 다스리는 교화의 경계를 밝힘1)


무릇 부처님의 경계는 끝간 데가 없어서 근기에 따라 저마다 다르다. 정(情)의 넓고 좁음에 따라 지견에도 차이가 있는데, 이는 여래가 그 양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서 정이 미약하면 경계가 협소하고 양(量)이 광대하면 경계도 넓어진다. 만약 지혜가 참 근원에 계합하면 부처님의 경계가 법계에 가득 차는데, 어떤 경우는 염부제가 화신의 경계가 되는 것을 보고 어떤 경우는 사대주(四大洲)로써 중생을 제도하는 것을 보며, 어떤 경우는 형상[形]이 대천세계에 가득 차는 것을 보며, 어떤 경우는 보신(報身)의 십해(十海)를 본다.
이처럼 온갖 근기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가르침을 시설하는 것도 천차만별의 차이가 있으니, 처음 배우는 자는 무엇을 의지해야 하느가?
대략 다섯 가지 문을 보여서 방편과 실제를 알게 하겠다. 이는 자기즐 버리고 뿌리를 따르게 하고, 지말(枝末)을 돌이켜 근원에 돌아가게 함으로써 조속히 보리를 증득하여 장애가 없게 하려는 것이다.
첫째는 인간이 부처님의 경계를 보는 것이요, 둘째는 모든 천(天)이 부처님의 경계를 보는 것이며, 셋째는 2승 중의 나한(羅漢)이 부처님의 다스리는 경계를 보는 것이며, 넷째는 권교(權敎)의 보살이 부처님의 경계를 보는 것이며, 다섯째는 實敎(실교)의 보살이 부처님의 경계를 보는 것이다.
첫째, 인간이 부처님의 경계를 본다는 것은 단지 하나의 염부제 중생만 교화하는 것을 보는 것이다.
둘째, 온갖 천(天)이 부처님의 경계를 본다는 것은 단지 자기가 보는 경계에 응해서 부처님을 보는 것이니, 자기 견해의 젋고 좁음에 따르기 때문이다. 가령 제석천과 범왕(梵王)과 온갖 천왕(天王)은 바로 보살의 지위이니, 보살의 지위에 의거해서 부처님이 다스리는 경계의 넓고 좁음을 보는 것을 배분해야지 온갖 범부나 천인에 의거해서는 안 된다.
예컨대 제석천은 2지(地) 보살의 지위이며, 나아가 점점 올라가서 범천왕은 10지 보살의 지위이다. 그리하여 어떤 때는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중생을 성취시켜 인천(人天) 중의 범부나 2승 및 작은 보살[小菩薩]들이 모두 부처님의 보토(報土) 경계를 보게 한다. 예를 들면, 『유마경』의 “부처님께서 대지를 누르면서 나타낸 정토”가 그것이다.
또 어떤 때는 부처님의 신력(神力)으로 인천들이 모두 서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대집경(大集經)』 속에서 “보방(寶坊:도량)이 욕계 위와 색계 아래에 거처한. 크게 모인 인천의 대중 모두가 그 속에 있다”고 설한 것이니, 경전에 설한 대로이다.
셋째, 2승 중의 나한이 부처님께서 다스리는 경계를 본다는 것은 다음과 같다. 큰 나한(羅漢)은 천안(天眼)의 능력으로 부처님께서 삼천대천세계를 다스리는 경계를 볼 수 있다. 예컨대 아나율(阿那律)2)이 “내가 천안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국토인 삼천대천세계를 마치 손바닥 안의 암마륵과(菴摩勒果)를 보듯이 한다”고 설한 것 등이다. 그러나 작은 나한은 일정하지가 않아서, 어떤 경우는 부처님께서 한 염부제만을 다스리는 것을 본다. 이것은 오랫동안 복인(伏忍)3)의 힘으로 능히 결사(結使)를 끊긴 하지만, 선정의 힘이 있지 않아서 결사를 끊는다[斷結]고 이름붙인 것이니 신력(神力)의 신통변화 등의 일이 없다. 또 이 같은 나한은 어떤 경우엔 부처님께서 사대주와 그 이상의 삼계를 다스리는 경계를 보는데, 자세한 설명은 소승의 여러 경전에서 설하고 있다.
넷째, 권교의 보살이 부처님께서 다스리는 경계를 본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초지(初地)는 백 분의 부처요, 2지(地)는 천 분의 부처요, 3지(地)는 만 분의 부처님 경계를 본다. 이처럼 점점 증가하는데, 3승 대승의 교설에서 설하고 있다.
다섯째, 실교의 보살이 부처님께서 다스리는 경계를 본다는 것은 다음과 같다. 초지(初地)의 보살이 수백 분의 부처님을 본다는 것은 바로 다함이 없는 백(百)이지 일백의 백이 아니며, 2지(地) 보살이 수천 분의 부처님을 본다는 것은 바로 다함이 없는 천(千)이며, 3지(地)의 보살은 수천만을 말하고 있다. 좀더 논하자면, 각 지(地)의 보살이 다 동등하게 보는 것이 마치 제석천의 그물과 같으며, 3현 보살도 마찬가지다. 비단 십불찰미진수의 연화장이 그 과보의 경계가 될 뿐만 아니라 법계의 허공이 다 평등하니, 10주의 초심에서 처음 도(道)를 볼 때 이미 대승이니 소승이니 하는 견해가 없다. 그러므로 총체적으로 부처님의 조화 경계[化境]가 다 법계와 같아서 대승과 소승을 나누지 않는다고 보지만, 행포(行布)하는 중에는 지위에 의탁해서 단계를 취한다. 즉 이 같은 경전에서 초지에 수백 분의 부처님 경계를 본다는 것은 바로 원만의 뜻을 밝힌 것이기 때문에 3승의 일백(一百)이라고 한 백(百)과는 다른 것이니, 여기서 수백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다함이 없는 수효와 똑같은 것이다.
삼승교의 화신불은 하나의 사천하(四天下)를 다스리고, 보신불은 “천백억 사천하를 다스리는 것으로 한 분 석가의 과보의 경계를 삼는다”고 말하니, 『범망경』에 설해져 있다.
『화엄경』에서 설하는 비로자나부처님께서 다스리는 경계는 대략 하나의 커다란 연화장세계의 바다[一大蓮華藏世界海]로서 광대하고 끝간 데가 없어서 법계의 허공과 같은 것으로 수립하였다. 다만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간략히 형상(形狀)을 진술하여 중생의 마음을 광대하게 함으로써 좁고 열등한 마음을 개발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대연화(大蓮華) 속엔 모두 십불가설불찰미진수(不可說佛刹微塵數)의 세계 종자[世界種]가 있지만, 교문(敎文)이 한정이 있기 때문에 단지 121개의 세계 종자를 세운 것이다.
그 중심에 있는 열한 개의 세계 종자는 상하로 각각 20중(重)의 연화장세계를 갖추고 있는데, 최하중(最下重) 속에는 일불세계미준수(一佛世界微塵數)의 광대한 세계가 둘러싸고 있으며, 그 위의 제2중에는 이불세계미진수이며, 그 위 제3중에는 삼불세계미진수이다. 열한 개의 세계 종자가 다 이런 식으로 아래로부터 위로 가면서 두 뱄기 증가하니, 최상중(最上重) 속에는 이십불세계미진수의 광대한 찰토(刹土)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그 하나하나의 찰토에는 제각기 십불찰미진수의 온갖 작은 찰토[小刹]가 둘러싸고 있으며, 열한 개의 20중(重) 세계 밖에는 백 개의 1중 세계 종자가 스물한 개의 20중 세계를 둘러싸고 있고, 이 백 개의 세계 종자 밖에는 금강산(金剛山) 근처에 다시 열 개의 4중 세계 종자가 있다. 이 속에 있는 국토의 허다한 내용은 앞에서 설한 대로이다. 금강산 안에서 이상과 같은 온갖 세계 종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 마치 제석천의 그물처럼 분포해 있고, 여래의 교화가 그 사이에 있는 청정과 오염, 순수와 혼잡의 온갖 세계해(世界海)에 두루하고 이다.
3승에서 설한 세계 종자라는 것은, 삼천대천의 찰토를 세어서 1항하사(恒河沙)에 이르면 일(一) 세계의 성품[世界性]이 되며, 이 성품의 세계를 세어서 항하사에 이르면 일 세계의 바다[世界海]가 되며, 이 바다의 세계를 세어서 항하사에 이르면 일 세계의 종자[世界種]가 된다. 이러한 경전의 세계는 1불찰미진과 2불찰미진과 3불찰미진을 세면서 이런 식으로 계속 두 배씩 증가하여 최상중(最上重)에 이르면 20불찰미진수의 세계이다. 이처럼 위아래를 통틀어 세면서 합계 210 불찰미진수의 광대한 찰토가 되었을 때 비로소 일 세계의 종자를 이루는 것이지, 항하사로써 그 수를 한정한 것은 아니다.
3승에서는 대부분 항하사의 수를 취해서 수량을 삼았지만, 이 경전에서 늘 1불찰진(佛刹塵)과 10불찰진을 취하고 있다. 이는 다함 없음[無盡]으로 수를 삼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 같은 증광(增廣)은 협소하고 열등한 중생으로 하여금 부처님께서 다스리는 경계를 알아서 보리심을 발가헤 한 것이다. 그 부처님께서 다스리는 경계는 하나하나의 티끌 속 경계가 법계와 허공계와 같기 때문에 단지 삼천대천세계의 교화만을 말하지는 않았다. 이 가운데 법을 나타낸 것은 나중에 「화장세계품」을 해석할 때 자세히 밝히겠다.

9.인과의 늦고 빠름을 밝힘

무릇 법계는 뚜렷이 공적해서[圓寂] 비로함도 없고 끝마침도 없으며, 이지(理智)는 텅 빈 허공이라서 인(因)도 아니고 과(果)도 아니다. 다만 정(情)을 두고 양(量)이 있기 때문에 거짓으로 그 명자[名]를 의탁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이 없어지고 양이 끊어진다면 무슨 이름을 세울 수 있겠는가? 명자(名字)는 스스로 시설하지 못하고 본래 양(量)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것이니, 양이 없어지고 정이 다하면 명자(名字) 역시 저절로 참[眞]이다. 이제 명자 없는 참 명자(眞名)로써 과[果] 없는 참된 과[眞果]를 얘기하고, 말 없는[無說] 참된 말[眞說]로써 인 없는 참된 인[眞因]을 말하리니, 처음 깨우치는 사문은 그 명자에 걸리지 말고, 처음 배우는 무리들은 그 말을 폐기하지 말라. 명자에 걸리면 명자가 고, 말[說]을 폐기하면 말[言]이 생긴다. 반드시 성품에 맡겨 연(緣)을 따르면 생기(生起)도 법의 생기함이요, 만약 연(緣)이 없는 자라면 멸해도 오직 법의 멸진이니, 이러한 법이 있는 자는 성품이 서로 알지 못한다.
이제 인과의 늦고 빠름을 얘기하는 것은 마치 공중을 나는 새의 자취 같으며, 마치 석녀(石女)의 아들 같은 것이다. 다만 중생의 정(情)에는 어리석음과 지혜가 있어서 수심(隨心)4)과 조혹(照惑)5)의 늦고 빠름이 같지 않으며, 벽죽(劈竹)6)과 등제(登梯)7)가 근기에 따라 제각기 다르다. 바로 이런 유형(類型) 때문에 늦고 빠름이 같지 않은 것이지, 시간에 따른 때[時]를 구분했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가르침은 스스로 시설하는 것이 아니라 근기로 인해 생기는 것이며, 가르침이 근기를 따라 응하니 근기가 있으면 가르침이 생기는 것이다. 이제 근기에 의거해 대략 열 가지 문(門)으로 인과의 늦고 빠름을 세우리니, 이는 나중에 배우는 초심자들의 의심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첫째, 소승 중에서 “잘 왔구나” 하면서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는 자8)이다. 둘째, 소승 중에서 1생(生)에 아라한과를 얻는 자이다. 셋째, 소승 중에서 3생(生)에 아라한과를 얻는 자이다. 넷째, 소승 중에서 60겁 만에 아라한과를 얻는 자이다. 다섯째, 연각 중 4생(生) 만에 연각과(緣覺果)를 얻는 자이다. 여섯째, 연각 중 백 겁의 느린 세월을 거치고 나서야 연각과를 얻는 자이다. 일곱째, 권교 보살의 성불에 의거해서 결정코 3승기겁을 거친 뒤에 불과(佛果)를 성취하는 자이다. 여덟째, 『법화경』의 실교에 의거해서 3승을 회통해 하나로 돌아가는 자, 즉 용녀를 1찰나에 성불하게 함으로써 많은 겁을 거쳐야 비로소 성불하는 3승을 타파한 것이다. 아홉째, 『화엄경』에서 도솔천자가 3생 만에 10지의 과(果)를 얻었음을 설한 것이다. 열째, 선재동자가 1생에 성불한 것이다.
이상의 교설은 모두 3승과 1승의 거룩한 가르침으로서 근기에 따라 제각각 설한 것이니, 저마다 그 거룩한 가르침에 의거해서 스스로 융화하고 회통하는 것이 있다. 이제 그 모든 뜻을 자세히 인용하고 싶지만, 문구(文句)가 워낙 복잡하고 근기 또한 천차만별이라서 그 근기에 따라 가르침이 다르다. 이제 과(果)의 늦고 빠름의 차이를 열 가지 대의(大意)로 나누어 방편을 알아 실제에 들게 함으로써 헛된 승(乘)에 걸리지 않고 진실한 문에 들어 조속히 불도를 성취하게 하겠다.
가령 용녀가 3승의 정해진 겁을 타파하고 찰나의 실문(實門)을 성취했으며, 『열반경』에서 도아광액(屠兒廣額)에게 현겁(賢劫) 중에 성불한다는 수기(授記)를 준 것은, 천제(闡提)에게는 불성이 없다는 설을 타파해서 3승기의 공덕을 초월한 것이다. 또 도솔천자는 “일승교(一乘敎)의 뛰어난 능력을 듣고서 믿음만 일으키고 닦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믿음 때문에 설사 지옥 속으로 들어가도 능히 종자를 이룰 수 있어서 광명이 몸에 닿자 도솔천에 태어나 10지위(地位)에 올랐다”고 밝히고 있으니, 한결같이 「수호광명공덕품(隨好光明功德品」에 설한 대로이다.
이러한 일례(一例)를 든 것은 모든 부처님께서 승(乘)한 이 화엄을 믿게 하기 위해서다. 이 화엄은 믿기가 어려우나 일단 믿기만 하면 반드시 종자를 성취하고, 그 믿음과 이해를 통해 내적 훈습(熏習)을 함으로써 필경 성불하게 된다. 설사 잠시 쾌락에 빠지더라도 고(苦)를 만나면 다시 수행으로 다스린다. 그리하여 만약 10주의 초심에 이르면, 그 지위가 10지와 같아져서 다시는 물러서지를 않는 것이다. 또 선재 동자가 1세에 성불했다는 것은 10주 초심에서 한 찰나에 정이 없어지고 상념이 다하여 삼세가 일념이라 다시 나는 바가 없는 것을 1생이라고 이름 붙임으로써 정을 간직하고 겁을 세우는 시간[時分]의 생을 취하지 않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처럼 무생(無生)으로 문득 불과(佛果)를 성취하는 것은 본생(本生)과 같기 때문에 1생이라고 이름붙이는 것이니, 이는 용녀가 1찰나에 정이 다하고 때[時]가 없어지는 것을 부처라고 이름붙이는 것과 같다.

10.가르침을 회통해서 처음과 끝을 밝힘9)①

지혜의 태양[慧日]이신 세존께서 법계에 부합해 전체를 비추고 그 지혜가 만유(萬有)를 두루하니, 범속함이든 성스러움이든 다 같이 참이라서 이(理)와 사(事)가 서로 융합하고 체(體)와 용(用)이 서로 즉(卽)한다. 그리하여 40품의 뛰어난 경전의 처음과 끝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백만 개나 되는 게송의 오묘한 말이 앞과 뒤가 사무쳐 비추고 있으니, 10처(處)와 10회(會)는 겹겹이 겹쳐서 다함이 없는 제석천의 그물과 같고, 10찰(刹)과 10신(身)은 거울과 대상이 서로 이입하는 것과 같다.
하나의 문(門)을 드니 온갖 문이 다 발(發)하고, 하나의 품(品)을 얘기하니 모든 품이 다 드러나며, 보리수에서 처음 성도하니 9천(天)이 다 같이 이르고, 보광(寶光:보광명전)에 한 번 모이니 다 10처에 오른다. 옛과 지금이 차별이 없고, 오래됨과 새로움이 일념이라서 1위(位)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문득 5위(位)의 문을 나누며, 일행(一行) 속에서도 바로 티끌 같고 모래알 같은 해의 바다[行海]의 성품의 동등함으로 중생을 인도하는 가르침을 시설하니, 문수로써 법체(法體)를 찬탄해 밝히고, 보현으로 행(行)의 닦음을 완비한다. 그리하여 두분의 자비와 지혜가 서로 사무쳐 빛남으로써 법운(法雲)으로 보배로운 은택을 내린다.
또 「법계품」에서는 다시 선재동자로 하여금 거듭 닦게 함으로써 이 일부(一部) 경전 하나하나의 행상(行相)을 행하게 하니, 보살이 중생을 제접하는 궤칙이 저마다 단계가 분명하다. 그리하여 발심해서 찾아 나가는데, 스승과 제자의 차별로서 법칙을 진술하는 것은 몽매한 자로 하여금 알기 쉽게 하고, 배우는 자로 하여금 공(功)의 과정을 그르치지 않게 함으로써 일념과 도(道)가 상응하여 문득 영겁을 초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제 열 가지 법으로 나누어 기강(紀綱)을 요약함으로써 가르침의 차이를 대략이나마 알게 하겠다.
첫째는 비로자나부처님께서 처음으로 정각을 성취함을 밝히는 것이며, 둘째는 과(果)를 제시해 수행을 권함을 밝히는 것이며, 셋째는 믿는 마음이 완전히 갖춰졌음을 밝히는 것이며, 넷째는 진실한 증득에 드는 것을 밝히는 것이며, 다섯째는 행(行)을 일으켜서 수행하는 것을 밝히는 것이며, 여섯째는 이(理)와 사(事)가 서로 이입하는 것을 밝히는 것이며, 일곱째는 수행을 쌓아 덕을 성취하는 것을 밝히는 것이며, 여덟째는 연(緣)에 따라 장애가 없음을 밝히는 것이며, 아홉째는 인과의 지위가 끝나는 것을 밝히는 것이며, 열째는 범부가 실답게 증득하도록 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첫째, 비로자나부처님께서 처음으로 정각을 성취함을 밝힌다는 것은 「세주묘엄품(世住妙嚴品)」이 이에 해당된다. 처음으로 정각을 성취한다고 말한 것은 삼세 고금(三世古今) 등의 법이 일념 속에 있어서 시간의 길고 짧음이 없지만, 그 일념 속에서 중생의 삼세의 길고 짧은 겁의 지혜와 갖가지 중생의 차별지견의 지혜[差別知見智]를 무너뜨리지 않는다는 것을 스스로의 몸과 마음으로 다 증명하는 것이다. 경전에서 “지혜가 삼세에 들어가니 가고 옴이 없다”고 한 것이 이에 해당된다.
이처럼 열 가지 지혜를 경전에서는 설하고 있다. 상ㆍ하ㆍ전ㆍ후의 40품 경전 모두는 처음 정각을 이룰 때 1찰나에 법계해지인삼매문(法界海智印三昧門)으로 일시에 단박 인(印)을 친 것이라서 몸[身]ㆍ빛깔[色]ㆍ말[言]ㆍ소리[音]로 모든 불법(佛法)을 설하는 것과 일체의 티끌 속에 있는 모든 국토의 찰해(刹海)에다 선언하여 유포하는 것과 열반에 드는 것이 일시(一時)ㆍ일제(一際)ㆍ일성(一性)을 옮기지 않으니, 이는 법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옛날[古]이든 지금[今]이든, 과거의 부처님이든 미래의 부처님이든 다 이처럼 일시(一時)에 있지만, 모든 중생을 따라서 차별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옛과 지금이 서로 사무치는 것을 비록함[始]이라고 이름붙이며, 법이 그러함에 계합하는 것을 성취[成]라고 이름붙이며, 버의 그러함에 의거할 뿐 마음으로 조작하지 않는 것을 올바름[正]이라고 이름붙이며, 지혜가 이러한 이치를 요달하는 것을 깨달음[覺]이라고 이름붙이는 것이다.
이 경전의 진(晋)나라 번역은 44품이 있고, 당나라에서 다시 번역한 것은 49품이 있다. 또다시 검토해 보건대, 『보살영락본업경』에서는 “불자(佛子)야, 내가 먼저 제6천에서 10지(地)의 도를 말해서 천인(天人)을 교화했다. 다라서 지금은 간략하게 중생의 심지(心地)를 열어 보이겠으니, 너희들은 받아서 행하라”고 했으며, 그 아래 문장에서는 “불자야, 네 번째 11지(地)의 마음이란 입법계(入法界)의마음을 말하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또 그 아래 문장에서는 “불자야, 내가 먼저 제3선에서 8선(禪)의 대중을 모아 놓고 일생보처(一生補處) 보살이 불화삼매정(佛華三昧定)에 드는 것을 설할 때는 백만억 개의 게송을 설했지만, 지금은 간략히 한 게송의 뜻만 설해서 중생의 마음을 열어 보이겠으니 너희들은 받아 지녀라”라고 하였다.
이 품(品)은 바로 「십지품」 뒤에 있는 것으로 11지(地) 등각(等覺)의 지위이다. 이 품의 이름을 헤아려 보건대, 그 이름이 「불화품(佛華品)」이니, 법에 의거해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다. 또 그 아래 문장에서 “불자야, 내가 먼저 이 나무 밑에 있으면서 법계해(法界海)를 설했을 때는 8만의 무구(無垢)보살이 몸을 나타내서 부처님께서 되었다. 그러므로 지금은 이 대중을 위해 간략히 부처님의 과행처(果行處)를 열어 보이겠으니, 너희는 반드시 공경을 다하여 받아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 『영락본업경』은 바로 『화엄경』을 설하고 나서 모든 3승의 중생을 교화하려고 보리수 밑에 가서 거듭 처음 정각을 이뤘을 때 설한 화엄의 오위법문(五位法門)을 펼친 것이니, 경전에 자세히 설해져 있다.
『화엄경』에 11지(地) 1품의 경전이 부족한 것은 이제 이 경전으로 대조해 보면 비로소 그 단계를 알 것이니, 나중에 배우는 자는 쓸데없이 의심을 내지 말고 단지 이 경전으로 대전하면 그 희고 검은 것을 알 것이다.
지금까지는 제3선(禪) 중 11지 「불화품(佛華品)」을 설했다. 모두 10처ㆍ10회의 40품이 있는데, 모두 처음 정각을 성취할 때 1찰나의 해인법문(海印法門)으로써 일시에 단박 설했다. 그 이유는 근본법에 의거해 먼저와 나중이 없기 때문이며, 법이 본래 그렇기 때문이며, 근본신과 근본지로 근본법을 보였기 때문이며, 보광명전(普光明殿)에 두 번이나 세 번씩 모인 일 등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 거듭거듭 거듭거듭하는[重重重重] 끝이 없는 거듭[重]이라면 세 번씩 모이는 것을 논하지 않을 것이니, 그 법계해(法界海)의 문으로 삼세와 일념을 모두 거두어서 먼저와 나중이 일시(一時)이며, 아울러 저곳으로 갔다가 다시 이곳으로 들어오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여래가 단지 근본지로 색신(色身)을 대현(對現)하는 해인문(海印門)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시에 널리 나타내 보인 것이며, 이제 보광명전에서 거듭거듭 세 번 모였다고 말하는 것은 이런 것이 아니라 다 일시에 단박 인(印)을 치는 법이다.
경전에서는 “여래는 한마디 언설(言說) 속에서 가이없는 계경해(契經)의 넓은 이치를 연설한다”고 설했으니, 다만 법문의 품류를 따라 법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살의 명칭이 다른 것이며, 먼저 오고 나중에 오는 대중이 아니다. 따라서 법계의 바다 안에서 정(情)으로 먼저와 나중이라는 상념을 짓지 말아야 하니, 이는 근본법을 어기기 때문이다. 또 일념 안에서 삼세의 일을 나타낸 것은 중생을 위하기 때문이며, 근본법에 삼세가 있지 않은 것은 바로 근본법을 밝히게 되는 것이니, 지발(枝末)을 쫓아선 안 된다. 앞사람이 이미 수레를 엎었으니 뒤에 오는 사람이 반드시 수레 자국을 고쳐야 한다. 다만 선덕(先德)을 추대함으로써 귀감을 삼아서는 안 되느니라.
경전의 뜻을 검토해보니 전혀 거듭 모인다는 말이 없다. 문자로 법문(法門)을 서술했기 때문에 거듭한다는 뜻이 있는 것 같지만, 이는 품(品) 속의 경문의 뜻이 총체적으로 전후를 통괄한 일시(一時)ㆍ일제(一際)ㆍ일법계(一法界)의 지혜 작용의 법문을 서술한 것임을 관찰하지 못한 탓이다. 예컨대 「십정품(十定品)」과 「이세간품(離世間品)」에서 다 같이 “이때 세존께서 마갈제국 보리도량 안에 계시면서 처음으로 정각을 이루어 보광명전에서 찰나삼매(刹那際三昧)에 들었다”고 설한 것은 단지 법의 지위에 따라 보살의 명칭이 다른 것이지 여래가 갔다가 다시 오는 것은 아니다.
그리하여 보광명전이 법계의 과(果)와 지혜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일시에 이(理)와 사(事)를 회통해서 작위 없는 정문(定門)을 여의지 않는 것이니, 「십정문」은 법계의 체(體)요, 보현의 행(行)은 법계의 용(用)으로서 「이세간품」이 해당된다.
이 두 품을 회통해 보건대, 보광명전 과덕대택지(果德大宅智)10)의 본령을 떠나지 않았으니, 이같은 세 번의 교설은 모두 일처(一處)ㆍ일시(一時)ㆍ일법계(一法界)ㆍ일회(一會)의교설이지 정(情)으로 보는 것처럼 전후로 오고 가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나머지 9회(會) 전체도 모두 일회ㆍ일시ㆍ일법계ㆍ일지해(一智海)에 있으면서 겹겹이 겹치면서 다함이 없는 법문이 일시에 숨었다 나타났다 하면서 아무런 장애가 없다.
이제 하나의 법계(法界) 안에서 그 닦아 나가는 방편의 행상문(行相門) 가운데 처소에 의탁해 법을 나타내는 것을 따름으로써 10처와 10회를 구분하겠다. 첫째는 보리도량[菩提場] 회상이다. 둘째는 보광명전(寶光明殿) 회상이다. 셋째는 승수미산정(昇須彌山頂) 회상이다. 넷째는 승야마천(僧夜天) 회상이다. 다섯째는 승도솔천(昇兜天) 회상이다. 여섯째는 승타화자재천(昇他化自在天) 회상이다. 일곱째는 승삼선천(昇三禪天) 회상이다. 여덟째는 급고독원(給孤獨園) 회상이다. 아홉째는 각성동대탑묘처(覺城東大塔廟處) 회상이다. 열째는 일체의 찰토와 티끌 속과 일체 허공과 법계의 회상이다.
이상을 십처십회(十處十會)11)라고 이름붙인다. 보광명전 속의 회상은 이 경전의 5위와 6위 법문과 10정(定)의 묘리(妙理)와 보현의 만행과 시종(始終)의 체용과 십처십회가 모두 보광명전이란 하나의 참왼 법계의 인과가 원만한 보거(報居)의 집에 내포된 것이다. 시방 세계가 모두 일법(一法)ㆍ일처(一處)ㆍ일시(一時)ㆍ일체용(一體用)이 되어서 지말을 거두고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니, 따로따로 구분해서 전후로 가고 오는 3회(會)의 교설을 짓지 말 것이며, 또 자기의 정견으로 참다운 가르침을 가로막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 경전 속의 모든 법은 다 10을 완전한 수[圓數]로 삼고 있으니, 칠처구회(七處九會)의 교설이라고 말해선 안 된다.


무슨 이유로 제7 회상에서는 단지 3선(禪)에만 이르러서 8천(天)의 대중을 모아 11지의 법문을 설했으며, 무슨 이유로 4선천(禪天)에는 이르지 못했는가?


4선천은 그 단계에 따르면 불과(佛果)의 처소이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 보리도량 속에서 바르게 불과를 증득하고 4선(禪)과 시방 세계를 통틀어 거둠으로써 모두가 한 보광명전 법계의 집인 보거(報居)의 수도(首都)로 삼고 있다. 그리하여 위와 아래를 오가면서 닦아 나아가는 가득(加得)의 상(相)이 없는 것으로서 부처님의 4선(禪)의 심상(心想)이 의지할 데가 없고 닦아 나아갈 곳이 없기 때문에 가고 옴이 없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니, 정이 끊어지고 참에 응해서 법계와 동등한 것이다. 따라서 부처님의 제4선(禪)은 보리수 밑으로써 아란야(阿蘭若)의 처소와 같다는 것을 의탁하고 있으며, 보광명전이바로 본래 거처하는 보택(報宅)인 것이다. 이렇게 시종(始終)의 인과를 세 번 설하면서 거듭 처음 성불한 때를 서술하고 있는데, 이는 먼저[前]든 나중[後]이든 보리체(菩提體)와 근본지의 바다[本智海]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이처럼 원융한 시종(始終)의 인과가 일제(一際)의 법문을 이루는데, 이 경전 속에서는 전후의 여섯 곳에서 융화ㆍ회통하고 있다. 즉 과(果)를 제시하여 수행을 권하는 문 속에 두 곳이 있고, 믿음으로 수행하는 문 속에 네 곳이 있다.
첫째, 최초의 회상에서 보현보살이 여래장신삼매(如來藏身三昧)에 들어가 세계해선법문(世界海旋法門)으로 부처님의 본원(本源) 법계인 십연화장세계해(十蓮華藏世界海)의 인과시종보득(因果始終報得)12)하는 문을 보이니, 이는 보현보살이 바로 그 행(行)이요, 여래장신(如來藏身)이 바로 그 체(體)라서 용(用)으로 체에 들어가 이(理)와 사(事)가 사무치는 것을 밝힌 것이다.
둘째, 비로자나부처님께서 앉아 계신 자리의 온갖 장엄도 인과의 시종(始終)과 체용(體用)이 서로 사무치는 것을 밝힌 것이다. 즉 자나불(遮那佛)로써 보과(報果)를 삼고, 일체법이 공(空)한 근본지로써 법좌의 체[座體]를 삼고, 보현의 만행으로 용(用)의 장엄을 삼는 것이니, 이로써 일체의 장엄구(莊嚴具)와 윤대호패(輪臺戶牌)의 모든 장엄구 속에서 온갖 보살이 십불세계미진수만큼 출현해 보배를 비내리듯 부처님께 공양한다. 이것은 바로 여래의 과덕(果德)이 항상 일체법의 공(空)한 자리에 거처하고, 보현의 온갖 행(行)의 묘용(妙用)이 항상 의보(依報)의 장엄에 감응해서 이사(理事)와 인과(因果)와 체용(體用)이 늘 서로 이익이 됨을 밝힌 것이다. 또 믿음으로 수행하는 문에는 네 번에 걸쳐 인(因)과 과(果)가 둘이 아님을 회통한 문이 이다. 즉 보광명전에서 세 번에 걸쳐 처음으로 정각을 성취한 것을 설함으로써 지말(枝末)을 거두어 근본으로 돌아가게 한 일제법계(一際法界)가 첫 번째 회통이다.
두 번째는 37품의 명칭인 「여래출현품」에 있다. 즉 여래께서 미간에서 광명을 놓아 문수의 정수리에 붓고, 입 소에서 광명을 놓아 보현의 입에 부어서 이들로 하여금 함께 서로 문답하게 하여 부처님께서 출현한 과덕(果德)의 문을 설하게 하니, 문수는 근본지의 법체(法體)가 되고 보현은 행(行)이 됨으로써 체(體)와 용(用)이 사무쳐 회통하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리하여 이 사무친 곳을 바로 부처라고 이름붙이니, 첫 회상의 부처님은 바로 부처님 스스로 성불한 것을 밝히고 있으며, 37품의 부처님은 바로 보살이스스로의 힘으로 이르른 것을 밝히고 있다. 최초의 부처님을 말미암기 때문에 믿음으로 나아가는 수행을 일으키는 것이며, 믿음으로 나아가는 수행이기 때문에 스스로의 힘으로 이르른 자기 불과[自佛果]라서 자기 불과와 이전의 믿음이서로 차이가 없는 것이다.
셋째, 기수급고독원에서 여래가 사자빈신삼매문(師子頻伸三昧門)으로 5위(位)의 인과를 들어올려 인천(人天)을 인도해서 이롭게 하는 것이다.
넷째, 선재동자가 미륵의 누강에서 문수ㆍ보현의 시종(始終)의 인과와미륵보살의 시종의 인과가 모두 일제(一際)가 됨으로써 체(體)와 용(用)이 사무치는 것을 회통한 것이다.
이처럼 과(果)를 제시해 수행을 권하는 문에 나온 보현보살과 비로자나의 두 곳에서의 회통과 보광명전과 「여래출현품」과 급고독원과 미륵의 누각 네 곳을 통틀어 여섯 곳이 되는데, 이는 체용과 인과가 둘이 아님을 회통한 일제법문(一際法門l다. 이 때문에 미륵의 누각을 비로자나장엄장(毘盧遮那莊嚴藏l라 이름붙이고, 최초의 회상에서 보현보살이들어간 삼매를 여래장신(如來藏身)이라 이름붙여서 전후의 명자(名字)가 한결같이 비슷한 것이니, 경문의 품류(品類)에서 의미의 정황을 찾아 탐구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여래의 회통은 모두 일시(一時)이고 일제(一際)라서 찰나의 근본지택(根本智宅)의 문으로 출생하고 열반에 들고 세간에 상주하면서 올바른 법륜을 굴리는 것이 모두 일념으로 정각을 성취한 때를 훼손시키지 않는다. 그래서 경전에서는 “지혜가 삼세에 들어가도 가고 옴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이 경전은 모두 십처십회의 10품 경전이다. 9회(會)에서는 운집한 대중이 모두 442 종류의 대중이 있으며, 아울러 제3선(禪)에서 한 번 모인 여덟 종류의 대중도 역시 그 숫자에 들어가는데, 이같은 대중이 저마다 “불세계미진수가 있다”고 말하기도 하고, “십불세계미진수”라고도 말한다. 이같은 대중의 집회가 일시에 다 모여 처음으로 정각을 성취한 1찰나에 있는 것은 마치 대해(大海)가 시방에 변재해 서로 사무치고 비추면서도 장애가 없는 것과 같다.
만약 제10회의 모든 찰토와 티끌 속과허공법계의 일체 회상으로써 한다면, 바로 시방세계의 허공법계와 티끌 속과 일체 중생의 신체의 티끌과 털구멍의 해회(海會)가 바다처럼 시방에 간격이 없어서 거듭거듭 거듭거듭하고 다함이 없고 다함이 없으니,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의 바다가 항상 그러하다. 또 삼세가 일념이라 옛과 지금이 다 현재에 즉(卽)하고 있어서 과거와 미래의 다함 없는 겁이 때[時]를 같이하면서도 일념으로 정각을 이룬 때를 훼손시키지 않는다. 이 같은 시간의 바탕[時體]이 성불하고 성불하지 못한, 그리고 깨닫지 못한 때이니, 이는 법이 그렇기 때문이다.
둘째,13)과(果)를 제시하여 수행을 권함을 밝힌다는 것은 「여래출현품」과 「보현삼매품」과 「세계성취품」과 「화장세계품」과 「비로자나품」 등 다섯 품(品)의 경전이 이에 해당된다. 「현상품(現相品)」에서는 여래의 입 안 이빨 사이로 광명을 놓아 그 광명 속의 음성으로 시방의 대중에게 고하여서 모두 모이게 한다. 그리하여 보현보살이 부처님의 장자(長子)가 되어서 부처님의 가법(家法)을 다스리는데, 불삼매(佛三昧)에 들어 부처님의 과덕(果德)을 칭찬하여 높임으로써 대중의 공경심과 믿음을 일으켜 즐거이 수행하게한다.여래께서는 자기 자신과 법좌(法座)에서 체용인과(體用因果ml 문을 칭찬하여 높임으로써 대중들이 다 알게 함으로써 부처님 자신으로써 법계의 대지혜의 몸[法界大智身]을 삼고, 모든 장엄구(莊嚴具)로써 보현의 행과 작용의 과보를 삼고, 모든 법이 공(空)한 것으로 법좌의 몸을 삼으니, 이 세 가지 법의 한결같은 평등함으로 자비와 지혜의 문을 불러 일으켜서 시작도 끝도 없이 중생에게 깨우쳐 보이는 것을 부처라고 이름붙인다.
여래가 또 미간의 호상(豪相)에서 광명을 놓으니 그 이름을 일체 보살의 지혜 광명이라고 하는데, 시방세계를 두루 비추는 장(藏)이다. 그 형상이 마치 보색등운(寶色燈雲)과 같은데, 시방세계를 다 비추고 나서는 부처님을 오른쪽으로 돌면서 발 밑으로 들어간다. 아울러 미간의 호상 안에서는 십불세계미진수의 보살 대중이출현하여 다 같이 부처님 앞에서 하나의 연꽃 법좌에 앉아서 다시 부처님 경계의 깊고 깊음을 찬탄하고 있으니, 이는 인(因)과 과(果)가 둘이 아님을 밝힌 것이다. 광명이 발 밑으로 들어간 것은 과로써 인을 이룬 것을 밝힌 것이며, 미간의 광명이란 10지 지과(智果)의 광명으로서 이제 부처님의 발 밑에 들어가 과(果)로써 인(因)을 성취한 것이다.
즉 10신(信)의 지위에서는 발 밑의 족륜으로부터 이 광명을 내고, 10주(住)의 지위에 이르러서는 차례로 발가락 끝에서 내고, 10행(行) 안에서는 발등 위에서 내고, 10회향(廻向) 안에서는 무릎 위에서 내고, 10지(地) 안에서는 미간에서 내고, 이를 마친 뒤에는 다시 시작한다. 이처럼 호상(毫相)의 광명은 10지의 과(果)의 광명이며, 그 속에서 출현한 보살은 인(因)의 행(行)이니, 인이 과로부터 나왔음을 밝힌 것이다. 이상 다섯 품의 경전은 부처님의 과덕(果德)을 보임으로써 대중들로 하여금 믿고 즐기게 한 것이다.
셋째,14)믿는 마음이 완전히 갖춰졌음을 밝힌다는 것은 제2회(會) 중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과 「정행품(淨行品)」과 「광명각품(光明覺品)」과 「보살문명품(菩薩問明品)」과 「정행품(淨行品)」과 「현수품(賢首品)」 등의 여섯 품 경전이 이에 해당된다. 이 여섯 품 경전은 다같이 10신의 한 지위[一位]를 이루고 있다. 첫째, 「여래명호품」은 부처님의 명호가 시방세계의 중생을 따라 같지 않다는 것을 믿는 것이다. 둘째, 「사성제품」은 시방세계의 법문이 명자(名字)가 제각기 다르지만 모두 4성제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믿어 아는 것이다. 셋째, 「광명각품」은 광명이 본래는 과(果)로부터 와서 부처님의 발 밑으로 들어가지만, 지금은 발 밑으로부터 저 과9果)의 광명을 놓아서 신위(信位)를 이룬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넷째, 「보살문명품」은 보살이 질문한 법문을 믿는 것이다. 다섯째, 「정행품」은 보살의 청정한 행(行)이 대원력(大願力)으로부터 생겼다고 믿는 것을 밝히고 있다. 여섯째, 「현수품」은 성불이 믿음을 첫머리로 삼고 있다는 것을 믿어 아는 것이다. 이같은 여섯 품의 법문을 믿어서 다 같이 신위(信位)를 성취하는 것이다.
이 여섯 품의 경전을 보광명전에서 설함으로써 보광명전은 부처님의 지혜 작용의 과보가 원만한 거처의 본택(本宅)이 되는 것이며, 또한 그 속에서 신위(信位)의 법문을 설함으로써 과(果)를 설해 믿음을 성취한다는 것을 밝히게 된다. 이미 과덕을 믿으니, 그 다음 10지와 11지 「불화품(佛華品)」 이후에 이르기까지는 도(道)에 들어가 닦아 나아가면서 5위(位)가 원만한 계급의 같고 다름(同別)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하나가 통하면 일체가 통하는 것이라서 인(因)으로부터 과(果)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간격이 없기 때문에 모두가 근본부동지(根本不動智) 등의 열 분의 부처님을 믿음의 문으로 삼고, 자기 마음의 근본부동지불을 체용을 회통하는 것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넷째,15)진실한 증득에 들어감을 밝힌다는 것은 제3회(會)부터 수미산 정상에 올라가 여래의 두 발가락 끝으로 광명을 놓으면서 그 속에서 여섯 품의 경전을 설한 것이 이에 해당된다. 첫째는 「승수미산정품」이며, 둘째는 「수미산정게찬품」이며, 셋째는 「십주품」이며, 넷째는 「범행품」이며, 다섯째는, 「초발심공덕품」이며, 여섯째는 「명법품」이다. 이 여섯 품의 경전 중에서 「수미산정품」과 「게찬품」 두 품은 제석천의 온갖 천(天)이 여래를 찬미하고 부처님의 공덕과 처소의 뛰어남을 찬탄한 것이며, 「십주품」과 「범행품」과 「초발심공덕품」과 「명법품」의 네 품은 처음 법문을 증득함으로써 부처님이 머무는 곳에 머물러 불가(佛家)에 살면서 부처님의 지성(智性)과 같아지니, 그 공덕과 해행(解行)과 이지(理智)가 부처님과 같아서 촬심할 때 문득 정각을 이룬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 회상에서 두 발가락 끝으로 광명을 놓은 것은 처음으로 법문을 증득한 것이 발족(發足)의 시작임을 밝히는 것이며, 수미산 정상에 오른 것은 이전의 믿는 마음으로부터 지금은 10주의 법왕산(法王山) 정상에 오른 것을 밝힌 것이다. 법의 궁극에 이르니 지혜의 비춤이 장애가 없는 것이 마치 높은 산에 오를 때 상(相)이 다한 곳에 이른 것과 같기 때문이다. 또 산(山)이란 것은 선정이 능히 지혜를 발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뒤부터는 법에 맡겨서 공(功)이 없기 때문에 처음과 끝이 다 부처이지, 8지(地)에서부터 공(功) 없음을 갖추는 것이 아니다.
『영락경』에서는 “3현 보살이 법의 흐르는 물[法流水] 속에서 그 흐름[運]에 맡겨 부처에 도달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처음의 물과 나중의 물이 하나의 성품인 것은 인(因)으로서의 부처와 과(果)로서의 부처님께서 하나의 성품으로서의 부처인 것이며, 따라서 그 중간에서도 처음과 중간과 나중이 없어서 일념(一念)이 격리되지 않으며, 근본법을 의거하기 때문에 염(念)을 격리할 수도 없어 인과(因果)가 문득 종결된다. 그리하여 일념이 상응하면 일념의 부처이기 때문에 상호(相好)와신통을 논하지 않는 것이다. 상호와 신통은 이같은 정각 속에서 터득하는 것이니, 만약 정각을 증득하면 곧바로 온갖 상(相)에 집착하지 않는다. 다만 깨달음의 길로써 항상 상응하기 때문에 신통변화와 상호를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이르며, 설사 나중에 복과 지혜가 종결될 때가 되더라도 삼세가 일시(一時)라서 일념도 격리돼 있지 않는 것이다.
다섯째,16)행(行)을 발해서 수행함을 밝힌다는 것은 다음과 같다. 제4회(會)에서는 야마천궁에 올라 여래의 두 발등 위에서 광명을 놓아 네 품의 경전을 설하는데, 첫째는 「승야마천궁품」이며, 둘째는 「야마천궁게찬품」이며, 셋째는 「십행품」이며, 넷째는 「십무진장품」이다.
이 회상의 「승야마천궁품」과 「야마천궁게찬품」 두 품에서는 모든 천(天)이 부처님을 영접하면서 부처님의 공덕을 탄탄하고 처소의 뛰어남을 찬미했으며, 「십행품」과 「십무진장품」 두 품은 지혜의 몸이 보현의 행(行)을 갖춰 자비와 지혜가 충분함으로써 이지(理智)의 행문(行門)이 성취한 의보(依報)와 정보(情報)에 복과 지혜가 다함이 없음을 밝히고 있다.
이 지위에서는 여래의 두 발 위에서 광명을 놓고 있으며, 아울러 야마천 위에 올라서 설한 것은 수미산 정상의 상(相)이 다한 곳에 이르러서는 부처님의 지혜 몸[智身]을 증득하고, 야마천 위에 이르러서는 법이 공(空)한 근본지혜에 의거해 보현의 만행문(萬行門)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힌 것이니, 처소로써 법을 표하여 알기 쉽게 하였기 때문이다. 마치 제천이 땅의 끝을 여의었기 때문에 이 천(天)이 공(空)을 의지해 머무르는 것과 같이 10행(行)이 본지법공(本智法空)을 의지해 행함을 밝힌 것이다.
여섯째,17)이(理)와 사(事)가 서로 이입(移入)함을 밝힌다는 것은 다음과 같다. 제5회(會)에서는 도속천궁에 올라 여래의 무릎 위에서 광명을 놓으면서 10회향을 설하는데, 세 품의 경전이 있다. 첫째는 「승도솔천궁품」이며, 둘째는 「도솔천궁게찬품」이며, 셋째는 「십회향품」이다. 앞의 두 품은 모든 천(天)이 여래를 영접하면서 찬탄하고 부처님의 공덕을 공경하고, 처소의 뛰어남을 찬탄한 것이며, 나중의 한 품은 바로 10회향의 법문을 설한 것이다.
회향이란 것은 모든 사법(事法)을 다 이(理)에 들어가게 한 것이니, 10행의 사법으로 이전의 10주 속에 들어가 이(理)와 사(事)가 장애가 없기 때문에 회향이라고 이름붙인 것이다. 이전의 10주는 바로 문수의 법신근본지이며, 나중의 10행은 바로 보현의 만행이니, 이 두 분의 체(體)와 용(用)이 서로 사무치는 것을 회향이라고 이름붙였음을 밝힌 것이다.
무릎 위에서 광명을 놓은 것은 이(理)와 사(事)를 자유롭게 펼치고 거두어 들이는 것이 마치 무릎으로 인해 무릎을 굽혔다 폈다 돌렸다 하는 것과 같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무슨 이유로 도솔천에서 이 지위를 설했는가? 이는 도솔천이 욕계 중 중간에 처해 있음을 밝힌 것이며, 또 천상의 5위와 5처와 5회의 중간이기 때문이다. 즉 아래쪽으로는 제석천의 궁전과 야마천궁 두 회상이 있고, 위쪽으로는 타화자재천과 3선(禪)의 두 회상이 있으니, 5회의 중간에 처해 있기 때문이며, 욕계 가운데 이 도솔천이 중간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0회향을 설하여 이(理)와 사(事)를 회통해 장애가 없게 함으로써 근본지와 차별지로 지혜와 자비를 균등하게 융화하여 중도(中道)에 처하는 것이다. 이처럼 처소로써 법을 나타내기 때문에 반드시 이 처소에서 10회향의 문을 설하는 것이다.
일곱째,18)수행을 쌓아 덕을 성취함을 밝힌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제6회(會)의 타화자재천궁에 올라서는 여래의 미간에서 광명을 놓는데, 그 이름이 보살력염명(菩薩力焰明)이다. 이 광명과 초회(初會) 중 여래의 미간에서 놓은 광명은 종결되었다가 다시 시작해서 본처(本處)에 이른 것이니, 10지의 1폼을 설한 것이 이에 해당된다. 「승타화천궁품」과 「게참품」이 없는 것은 10지의 과(果)가 끝나 법의 본궁(本宮)에 머물면서 항상 일체에 변만하여 공(功)이 종결되고 행(行)이 지극함으로써 다시 올라가는 일이 없음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3선(禪)과 시방세계도 역시 이와 마찬가지니, 과(果)가 종결된 10지의 지혜가 원만해서 닦아 나아갈 것이 없기 때문이며, 항상 모든 부처님께서 현전(現前)함을 대하기 때문이며, 처음 오는 것이 아니라서 청송과 찬탄이 없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10지의 문은 10주와 10행과 10회향 속에서 수행을 쌓아 공(功)을 이룬 것을 순화하고 성숙시킴으로써 다시는 머무는 바가 없고 운행에 맡겨 성취함으로써 스스로 일체의 모든 법을 구족하게 한 것이다.
무슨 이유로 이 타화자재천의 처소에서 10지의 법문을 설했는가? 이 천(天)은 타자(他者)를 의지해 조화를 일으킴으로써 스스로의 즐거움을 성취하기 때문에 타화자재천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이처럼 이 지위의 보살은 중생을 의지하기 때문에 자비와 지혜를 행하면서 모든 행운(行雲)을 일으키고 온갖 법우(法雨)를 내리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는데, 자기 마음의 상(相)이 없이도 모든 행상(行相)을 짓는다. 이렇듯이 처소로써 법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처소에서 10지의 법문을 설하는 것이다.
현장 법사에 의하면, 이 품을 설할 때 세 번의 가지[三加]와 다섯 번의 청원[五請]이 있었다고 한다. 이는 경전의 뜻을 살펴보건대, 부처님께서 열세 가지로 금강장보살에게 가피(加被)한 것이며. 해탈월(解脫月)보살을 비롯한 모든 보살이 네 가지 청(請)이 있는 것을 말한다.
부처님께서 열세 가지로 금강장보살에게 가피를 했다는 것은, 첫째 시방의 부처님께서 열두 가지로 금강장보살에게 가피를 해서 설법하도록 한 것이며, 둘째 비로자나 여래께서 미간에서 광명을 놓아 금강장보살의 몸을 비추면서 그 광명 속에서 게송을 설하여 설법토록 한 것이다. 이 광명의 가피 때문에 모두 합쳐 열세 가지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열두 가지로 가피했다는 것은 무엇인가?
첫째는 모든 부처님께서 그 앞에 나타나 말로써 찬탄하고 위로하면서 법을 설하도록 한 것이며, 둘째는 열 가지 지혜와 스스로의 선근의 힘[自善根力]과 법여시력(法如是力)19)을 준 것이며, 셋째는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손으로 그 정수리를 어루만져서 법을 설하도록 허락한 것이다. 말로써 찬탄하고 위로한 것은 어업(語業)의 가피요, 열 가지 지혜를 준 것은 지업(智業)의 가피요, 손으로 정수리를 어루만진 것은 신업(身業)의 가피요, 비로자나께서 미간에서 광명을 비추면서 그 광명 속에서 법을 설한 것은 법력(法力)의 가피다. 이처럼 말로써 찬탄하고, 열 가지 지혜를 주고, 손으로 정수리를 어루만지고, 광명으로 비추는 것을 모두 합치면 열세 가지의 가피가 된다.
금강장보살의 네 가지 청(請)은, 첫째 해탈월보살이 대중의 의심을 들어 청하니 금강장보살이 그만두고서 설하지 않는 것이며, 둘째 해탈월보살이 거듭 청하니 금강장보살이 거듭 그만두는 것이며, 셋째는 해탈월보살이 세 번째도 청하는 것이며, 넷째는 모든 대보살이 일시에 다 같이 청하는 것이다. 모두 합해서 네 가지 청(請)이 되는데, 세 번 가피를 주고 다섯 번 청한다는 것은 어디서 유래했는지 모르겠다. 만약 신업(身業)ㆍ어업(語業)ㆍ의업(意業)만을 취해서 세 번의 가피로 삼는다면, 열 가지 지혜를 주는 것과 미간에서 광명을 놓아 금강장보살의 몸을 비추면서 그 광명에서 법을 설하는 것은 나머지 가피다. 만약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말로 찬탄해서 법을 설하게「 한 것까지 함께 취해서 다섯 번의 청(請)으로 삼는다면, 부처님의 지위는 존귀함[尊]에 거처하는 것이라서 궤칙에 맞지 않는 청이 된다. 이런 뜻이 있기 때문에 모두 합쳐 열세 가지의 가피가 있고 네 가지의 청이 있는 것이다. 열 가지 지업(智業)을 주는 것은 비록 지(智)의 체(體)가 다르지는 않지만, 법상(法相)을 미혹하지 않고 차별지를 성취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용[用] 시에는 저마다 달라서 같은 문[同門]만을 취할 수 없는 것이니, 하나의 동문 속에는 열세 가지의 가피가 저마다 다르고 네 번 거듭 청하는 것도 다 틀리는 것이다. 초승(超昇)20)의 뜻은 앞에서 이미 다 설했다.
여덟째,21)연(緣)에 따라 장애가 없다는 것은 제7회(會)의 제3선천(禪天)에서는 8선(禪)의 대중을 모아서 일생보처(一生補處) 보살이 불화삼매(佛華三昧)의 선정에 드는 것을 설하고, 11지 등각위(等覺位) 속의 보현 법문을 설한다. 즉 10지가 이미 종결되니 자신의 도(道)도 종결됨을 밝히고, 등각위 속의 보현행을 행하면서 두루 세속에 들어가 법계에 변만하지만, 그러면서도 행문(行門)이 중첩하여 널리 허공과 티끌 속에까지 미쳐 모든 국토의 찰해(刹海)가 겹겹이 겹치면서 장애가 없는 것이 마치 법계처럼 광대하고 허공처럼 궁극적인 것을 등각위 속의 보현행이라고 이름붙인다.
불화삼매에서 화(華)는 행(行)을 말하는데, 능히 관(觀)할 수 있어서 과(果)를 감득(感得)한다는 뜻이니, 이것은 바로 불행(佛行)의 법문이다. 부처란 것은 깨달음[覺]으로 10지 등각의 행(行)의 작용을 밝힌 것이니, 10지에서 성불을 마치고 나서 다음 10지의 깨달음[覺]과 행이 원만함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불화(佛華)법문이라고 이름붙인 것이다. 삼매란 법계 본체의 대적(大寂) 법문이니, 정(定:고요함)과 난(亂:시끄러움)의 정(情)이 다한 것을 본래의 고요함[本寂]이라고 이름붙인다. 이 선정[定]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현행의 법문을 행하는 것이니, 일체의 삼매에서는 이것이 바로 본체가 되기 때문이다.
이 천(天)에서는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의 8선(禪)의 대중을 위해 일생보처보살이 불화삼매의 정문(定門)에 든 것을 설한 게송이 백만억 개 있다. 그리하여 이 지위의 보살이 불화의 법문에 들어감으로써 훌륭히 세속에 들어가 널리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이 자유로움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연(緣)에 따라 장애가 없다고 이름붙인 것이다. 이 지위는 법계의 행(行)이 두루함을 밝힌 것인데, 무슨 이유로 이름붙인 것이다. 이 지위는 법계의 행(行)이 두루함을 밝힌 것인데, 무슨 이유로 이 천(天)에서 11지의 법문을 설했는가?
이 천(天)이 근심이나 고통의 정(情)은 없고 오직 삼매의 즐거움만이 있는데, 이 지위는 보살도 정(定)과 난(亂)22)의 정이 없고 오직 지혜와 지볼써 중생을 이롭게 하는 즐거움만 있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처소로써 법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처소에서 11지의 법문을 설한 것이다. 지위의 행문(行門)은 『영락경』의 교설에 자세히 나와 있으니, 『화엄경』의 부족한 문장을 채워준다.
아홉째,23)인과의 지위가 종결됨을 밝힌다는 것은 「십정품(十定品)」ㆍ「십통품(十通品)」ㆍ「십인품(十忍品)」ㆍ「아승기품(阿僧祇品)」ㆍ「수량품(壽量品)」ㆍ「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ㆍ「불부사의법품(佛不思議法品)」ㆍ「여래십신상해품(如來十身相海品)」ㆍ「여래수호광명공덕품(如來隨好光明功德品)」ㆍ「보현행품(普賢行品)」ㆍ「여래출현품(如來出現品)」ㆍ「이세간품(離世間品)」에 이르기까지 모두 5위(位) 10지(地)의 부처님 지위와 보현 만행의 시종인과문(始終因果門)을 총괄해서 앞과 뒤가 사무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십정품」과 「이세간품」 두 품의 시초에서 오히려 첫 회상과 두 번째 회상을 “이때 세존께서는 마갈제국 아란야의 법보리 도량 속에 계시면서 처음으로 정각을 성취해 보광명전에서 찰나제제불삼매(刹那際諸佛三昧)에 들었다”고 서술한 것은 거듭 집회에 온 것이 아니라 다만 「십정품」과 「이세간품」이 체용의 문이라서 처음과 끝이 통하기 때문에 보광명전에서 이렇게 거듭 서술한 것이다.
그 법문에 의거해서 보살 대중의 명호가 차별이 있는 것이지, 가버린 두에 다시 거듭 온 것이 아니다. 그리하여 10주와 10행과 10회향과 10지와 11지의 법은 모든 천궁의 처소에 두루하면서 일시에 단박 모든 지위를 설한 것이니, 이 「십정품」과 「이세간품」의 의의는 체용이 시종일관 사무치는 부처님의 인과문을 밝힌 것이다.
10정(定)의 체(體)는 문수이고, 이세간의 법은 보현이기 때문에 「여래출현품」에서는 광명을 놓아 두 분의 인과가 서로 사무치는 문을 회통한 것이다. 그래서 미간에서 광명을 놓은 것은 문수의 정수리에 들어가고, 입 속에서 광명른 호은 것은 보현의 입으로 들어감으로써 그 이(理)와 사(事)로 하여금 저절로 문답하게 하여 불과(佛果)의 문을 설하게 한 것이다. 이처럼 불과의 문은 모두 두 분의 근본지와 차별지 사이[際]에 있으니, 선정과 지혜의 힘으로 비추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열두 품의 경전은 일시에 모든 횡상과 6위(位)의 11지를 회통해서 총체적으로 보광본지(普光本智)의 법당인 과덕(果德)의 대택법계(大宅法界)의 문에 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십정품」과 「이세간품」은 모두 이전의 첫 회상과 두 번째 회상을 서술한 것이다. 이 경전을 설할 때는, 비유하자면 공중에 백천 개의 보장엄을 하면, 백천 개의 보배 거울에 일시에 단박 나타나면서 하나하나의 거울 속에도 영상(影像)이 서로 사무쳐 들어가 전혀 오고 감이 없는 것과 같다.
여래도 마찬가지다. 처음 정각을 성취할 때 천상의 인간과 시방의 국토에 일시에 단박 나타나서 서로 사무치면서도 전혀 가고 옴[去來]이 없다. 그러므로 여래께서 설한 말과 음성과 언구의 뜻이 모두 다 사무쳐 들어가면서도 전혀 오고 감이 없어서 거듭된 회상을 논하지 않는 것이니, 세간의 정에 따른 견해를 지어서 거듭거듭 오고 감이 있다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 앞에서 이미 서술했듯이, 사(事)가 반드시 융화하고 회통한 데 이르러서야 다시 설한 것이니, 이 경전의 끝에서 처음과 끝을 회통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래출현품」은 5위 11지의 과(果)가 종결되는 문과 일부 경전의 시종(始終)의 지평을 밝히고 있다. 이런 뜻이 있기 때문에 유통과 부촉이 모두 그 속에 있다. 「출현품」 뒤의 「이세간품」은 자기 불과 후에 중생을 이롭게 하는 행을 밝힌 것이니, 불과의 뒤에 행하는 대자비ㆍ지혜의 행(行)이 온갖 습기(習氣)를 몽땅 소진시켜 비록 보현의 만행을 행하더라도 세간에 물들지 않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이세간품」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다.
자기 스스로 닦는 불과 이전의 보현행은 스스로 타는[乘]것과 타자를 권해서 불과를 배우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나중의 보현행은 자기의 불과가 이미 종경됨으로써 순수하게 타자를 이롭게 하는 것이니, 이를 통해 삼보(三寶)를 끊어지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0통(通)과 10인(忍)도 10정과 마찬가지니, 5위에 두루 통하면서 그 체(體)가 시종일관 사무치고 있다. 통(通)이란 것은 총체적으로 통하면서 밝힌다는 뜻이며, 인(忍)이란 것은 법인(法忍)의 문이다.
아승기란 수량(數量)의 문을 밝힌 것이며, 수량(壽量)이란 바로 부처님의 수명의 양이 인간을 따르고 있음을 밝힌 것이다. 보살이 머무는 곳이란 보살이 머무는 곳에서 인간을 교화하고 주지(住持)하는 경계가 항상 존재하면서 소멸하지 않는 것을 밝힌 것이다. 부처님의 부사의법(不思議法)이란 여래의 교화하는 의식(儀式)과 법칙이 자유로워서 모든 2승이나 3승 권학(權學)이 알 수 없음을 밝힌 것이며, 「여래십신상해품」이란 10세계해(世界海)의 10비로자나가 모두 아흔 일곱 가지 상(相)과 십화장세계미지수의 상(相)이 있음을 밝힌 것이며, 「여래수호광명공덕품」이란 여래수호광명의 비추는 공덕이 광명을 받아 이익을 얻음을 밝히는 것이다.
「보현행품」이란 과(果) 이전에 닦아 나아가는 행(行)을 밝힌 것이며, 「여래출현품」은 5위(位)의 보살이 자력(自力)의 과(果)를 마치고 출현함으로써 인과의 지위가 지극함을 밝힌 것이며, 「이세간품」은 불과 이후에 순수하게 타인을 이롭게하는 것임을 밝힌 것이다. 이상 39품의 경전은 6위와 5위 인과의 지위가 종결되면서 그 이익이 모든 천(天)과 모든 신왕(神王)들에게 미치고 있으며, 입법계(立法界) 한 품의 경전은 여래가 사자빈신삼매(師子頻申三昧)에 들어 불과(佛果)의 5위를 칭찬하여 높임으로써 그 이익이 인간에게 미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전의 첫 회상과 두 번째 회상, 나아가 11지(地)의 일곱째의 회상 중 불위(佛位)의 인과 법문을 총체적으로 매듭지은 것이며, 여덟째 회상은 기수급고독원에 있으니 나중에 다시 서술하겠다.
열째,24)범부로 하여금 실제 증득하게 함을 밝힌다는 것은 다음과 같다. 제8회(會)의 기수급고독원 속에서는 여래가 사자빈신삼매의 문에 들어가 법계의 과덕(果德)을 칭찬하여 높임으로써 모든 세간에 나타냄으로써 믿고 즐기는 마음을 일으켜 부처님의 실상(實相)을 듣게 하고 있다. 5백 명의 성문과 목련(木蓮)과 추자(鶖子:사리불)는 듣지 못한 자와 같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2승의 믿음이나 믿지 못함이 있는 자와 같다는 데 의탁하고 있다.
그리고 첫 회상 중의 55대중과 각수(覺首) 등의 10수 보살과 공덕림 등의 10림 보살과 금강당 등의 10당 보살과 금강장 등의 37개장(箇藏) 보살은 이같은 각각의 십불찰미진수의 보살이 다 같이 모여 그 지위에 따라 배로 증가하면서 모든 지위를 성취하는 데 의탁함으로써 온갖 인천(人天)과 범부로 하여금 이 법문을 얻게 한다.
이 회상에 있는 6천 명의 비구는 바로 범부로서 문수사리의 처소에서 단박에 10이(耳)와 10안(眼)이 밝아짐을 밝히고 있으니, 이러한 대중은 비록 길 위에서 발심하고 있지만 그 경계는 부처님의 회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길 위에서 발심하는 것은 닦아 나아감을 나타내는 것이지 부처님의 회상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며, 나아가 제9회(會)인 각성동(覺城東)의 회상에서 1만 명의 용들과 5백 명의 우바새와 5백 명의 우바이와 5백 명의 동자(童子)와 5백 명의 동녀(童女)는 모두 범부로서 다 같이 부처님 지위를 증득함을 밝히고 있다. 이 때문에 지금 범부로 하여금 실제 증득하게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제9회(會) 각성동(覺城東)의 과거불 대탑묘(過去佛大塔廟)의 처소에서는 문수사리가 법계를 두루 비추는 수다라문(修多羅門)을 설하고 있다. 즉 한량없는 용들이 인간계에 태어나게 되고, 1만 명의 용들이 보리심을 발하고, 각성(覺城)의 다섯 대중25)이 함께 불과(佛果)에 오르고 있다. 다만 선재동자 한 사람을 첫 머리로 삼아서 그 5백 명 숫자의 법도 다 똑같다는 데 미치고 있으니, 5백은 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6천이란 6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10신 역시 그 가운데 있다. 1만 명의 용이란 것은 만행의 문을 나타내기 때문에 단 하나의 일[事]이라고 헛되이 시설하는 것이 없으니, 모두 법문을 나타내는 것이다.
과거 모든 부처님의 대탑묘의 처소로써 회상을 삼은 것은 과거 부처님과 현재 부처님의 도(道)의 자취가 다르지 않아서 여래의 회상처럼 한 종류란 것을 밝힌 것이며, 선재동자가 남쪽으로 가 모든 벗들에게 물은 것은 닦아 나아감을 밝힌 것이자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는 행상(行相)을 밝힌 것이다.
제10회(會)란 일체의 국찰(國刹)과 티끌 속과 허공과 법계의 일체 회상이다. 이 10회가 모든 찰진(刹塵) 속과 허공법계와 유정(有情)의 몸에 있는 티끌이나 철구멍 속에 변재하면서 겹겹이 겹치면서 다함이 없으니 그 바다 같은 회상[海會]이 다함이 없다.
그러므로 이같은 법계의 불과(佛果) 법문을 믿고 이해하고 초발심으로 증득해 들어가는 자는 마치 사자왕의 새끼가 처음 태어났을 때는 사자왕처럼 그 힘과 기세가 자유롭지 못하지만 그 모습 전체는 사자와 차이가 없어서 모든 짐승이 다 두려워하는 것과 같다.
이 『화엄경』의 불과(佛果) 법문을 믿고 이해하고 초발심으로 증득해 들어가는자도 이와 마찬가지라서 자기 몸과 마음의 성(性)과 상(相) 전체가 모든 불과(佛果)와 같아서 그 자체가 항상 참[眞]인 본래의 대지혜란 것을 능히 믿는 것이다. 아울러 증득해 들어가는 자는 모든 여래의 불과문(佛果門)과 똑같아서 본질적으로 닦아 이룬 것이 없는 그 자체가 온전한 부처이다. 그리하여 이 참된 문을 통해 닦아 나아가는 차별의 만행을 갖추게 됨으로써 항상 처음도 없고 끝도 없는 하나의 참된 과덕[一眞果德]이 비록 부처님과 같은 능력과 작용을 감당하지는 못할지라도 부처님의 종자를 시어서 신전(身田)에 둔다고 이름붙이는 것이다.
믿음[信]으로 시초를 삼고, 선정과 지혜의 힘으로 증득해 들어가는 자는 초발심의 시기인 10주 첫머리에 이미 부처님의 지혜에 들어간 것이니, 이를 “부처님 집안에 태어나서 부처님의 참된 자식이 된다”고 이름붙이는 것이다. 그 이유는 부처님의 지혜와 같기 때문이며, 여래의 모든 선근(善根)을 구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 3승 중 신통을 얻은 보살의 9지(地) 등의 견해를 초월함으로써 일체의 3승과 인천(人天)과 외도(外道)의 지혜로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니, 근기로 감당할 수 있는 사문은 한마음으로 받들어 행해야 한다.

新華嚴經論 卷第七長者李 通玄撰第八明攝化境界者,夫佛境無邊順機各異,隨情廣狹,見有差殊,非是如來分其量數,情微卽境狹,量廣卽境寬,若也智契眞源,佛境彌綸法界,或見閻浮爲化境,或見四洲以濟生,或見形滿大千,或見報身十海,如是種種器有萬端,設教不同千差萬別,啓蒙始學憑准何依,略示五門識其權實,使得捨枝條而從本,返末而還源,速證菩提,無令稽障,一人中見佛境界,二諸天見佛境界,三二乘中羅漢見佛攝化境界,四權教菩薩見佛境界,五實教菩薩見佛境界。第一人中見佛境界者,但見化一閻浮提衆生。第二諸天見佛境界者,但應自見境,見佛亦然,隨自見廣狹故,如帝釋梵王及諸天王,卽是菩薩位,卽依菩薩位,配所見佛攝化境界廣狹,不可依諸凡夫天人之類,如帝釋卽是二地菩薩位,乃至漸昇至梵天王,是十地菩薩位也。或時以佛神通力,成就衆生,亦令人、天中凡夫及二乘幷小菩薩,摠得見佛報土境界故,卽如維摩經,佛以足指按地所現淨土是也。或時以佛神力,亦令人、天摠得相見故,卽如大集經中所說寶坊處欲界上色界下,大集人天之衆,摠在其中,如彼經說。第三二乘中羅漢見佛攝化境界者,如大羅漢,以天眼力,得見佛攝化三千大千之境界也。卽如阿那律云:我以天眼見釋迦牟尼佛土三千大千世界,如觀掌中菴摩勒果,如小羅漢卽不定,或見佛攝化一閻浮提,此卽以久伏忍力能斷結使,未有定力,亦名斷結,未有力通變等事,如以此羅漢,或見佛攝化四洲及上三界境界也。此廣說在小乘諸部中。第四權教菩薩見佛攝化境界者,初地百佛,二地千佛,三地萬佛境界,以漸增如三乘大乘教說。第五實教菩薩見佛攝化境界者,初地菩薩,卽見多百佛,卽是無盡之百,不是一百之百,二地菩薩,卽見多千佛等,卽是無盡之千故,三地菩薩,卽云多千萬等,以實而論,諸地菩薩,皆悉齊見,如帝網等,三賢菩薩,亦然,非但十佛剎微塵數蓮華藏爲其報境,法界虛空摠皆平等,爲十住初心,初見道時,卽已無大小見故,卽摠見佛化境皆如法界,不分大小約行布之中寄位階降,如此經,初地見多百佛境界者,卽明滿義故非如三乘單百之百,此多百者,卽齊無盡之數故,如三乘教,化佛卽攝一四天下,報佛卽云攝化千百億四天下爲一釋迦報境。如梵網經所說,如華嚴經所說,毘盧遮那攝化境界,且約立一大蓮華藏世界海,廣大無際與虛空法界等,但爲化衆生故,約陳形狀,令衆生心廣大發開狹劣心故,於此大蓮華中,摠言有十,不可說佛剎微塵數世界種,爲教文有限,且立其百二十一箇世界種中心有十一箇世界種,上下各且二十重蓮華藏世界,最下重中有一佛世界微塵數廣大世界圍繞,次上第二重,二佛世界微塵數,次上第三重三佛世界微塵數,此十一箇世界種皆悉如是。從下向上轉轉倍增,最上重中,具足二十佛世界微塵數廣大剎,一一剎,各有十佛剎微塵數諸小剎圍遶,其十一箇二十重世界外,有一百箇一重世界種,圍繞十一箇二十重世界,此一百箇世界種外,近金剛山。復有十箇四重世界種,其中國剎重重之內,如上所說,於金剛山內,圍繞如上諸世界種等,如天帝網分布而住,如來所化周徧其間,淨穢純雜諸世界海等,如三乘中所說世界種者,數三千大千之剎,至一恒河沙,爲一世界性,數性世界至恒河沙,爲一世界海,數海世界至恒河沙,爲一世界種,如此經世界,竝數一佛剎微塵二佛剎微塵三佛剎微塵,如是倍增至最上重中二十佛剎微塵數世界,如是上下通數摠二百一十佛剎微塵數廣大剎,始成一世界種,非爲恒沙以限其數,三乘之中多取恒河沙數爲量,如此經中,常取一佛剎塵十佛剎塵,爲表無盡爲其數,如是增廣令小狹劣衆生知佛攝化境界發菩提心,其佛攝化境界一一塵中境界與法界虛空界等,不言獨化三千大千世界,於中表法,至後釋華藏世界品廣明。第九明因果延促者,夫法界圓寂無始無終,理智虛空非因非果,但爲有情存量假寄其名,情亡量絕何名能立?名不自施,本由量起,量亡情盡名亦自眞,今以無名之眞名,談無果之眞果,以無說之眞說,說無因之眞因,啓蒙之士,不可以滯其名,始學之流,不可以廢其說,滯名則名立,廢說則言生,當可任情隨緣起,唯法起若無緣者滅唯法滅,有此法者,性不相知,今談因果延促,如空中鳥迹,如石女之子,但爲衆生情有愚智,隨心照義,或遲速不同,劈竹蹬梯稱機各別,因茲之類延促不同,非謂日月與作時分,教不自施因機故起,教隨根應有根教生,今以依根約立十門因果延促,使得啓蒙之士後學無疑也。第一小乘善來得阿羅漢果,第二小乘一生得阿羅漢果,第三小乘三生得阿羅漢果,第四小乘六十劫得阿羅漢果,第五緣覺四生得緣覺果,第六緣覺遲經百劫得緣覺果,第七依權教菩薩成佛定經三僧祇劫得成佛果,第八依法華經實教會三歸一令龍女一剎那際成佛,破三乘經於多劫方始成佛,第九華嚴經說兜率天子三生得十地果,第十善財童子一生成佛,如上所說,皆是三乘及一乘聖教。依根約器所說各各,依諸聖教自有和會。今欲廣引諸義文句煩多,根有萬端依根教別,今以略分十種大意得果延促不同,意令知權向實不滯虛乘入眞實門速成佛道,如龍女,破三乘之定劫,成剎那之實門。涅槃經屠兒廣額授賢劫中成佛之記者,破闡提之無性說,越三僧祇之功,兜率天子明一乘之教殊勝之力,聞之生信,爲不修故,設入地獄中亦能成種,蒙光觸身來生兜率天上,蹬十地位,一如隨好光明功德品說,擧此一事意令信此諸佛所乘,以難信故,信卽必定成種,爲信解內熏必至成佛。設暫著樂遇苦便修,若至十住初心,位齊十地,更無退轉,如善財童子一生成佛者,明於十住初心一剎那際,情亡想盡三世一念更無所生名爲一生,不取存情立劫時分之生,如是無生便成佛果,如本生故,名爲一生,還同龍女,一剎那際,情盡時亡名之爲佛。第十明會教始終者,夫慧日世尊,稱法界而遍照,智周萬有,與凡聖而同,眞理事互融,體用相卽,四十品之勝典,終始交羅,百萬頌之妙言,前後參映,十處十會,如帝網之重重,十剎十身,若鏡像之相入,擧一門,衆門俱發,談一品,諸品齊麾,道樹始成,九天同屆,普光一集,十處咸登,今古無差,舊新一念,不離一位,便分五位之門,一行之中,乃建塵沙行海,法界體上,安立訓俗之詮,果德性齊,施設引生之教,文殊以讚明法體,普賢爲成備行修,二人悲智參光,使得雲滋寶澤,法界品內,復令善財重修,倣此一部之經,一一行其行相,菩薩接生之軌,各各次第分明,發心求進,師資差別具陳法則,令使童蒙易解,學者不枉功程,一念與道相應,便得超過永劫,今分十法以約紀綱,教體參差略知分齊。第一明毘盧遮那始成正覺,第二明示果勸修第三明信心成修第四明入眞實證第五明發行修行第六明理事相入第七明蘊修成德第八明隨緣無礙第九明因果位終第十明令凡實證。第一明毘盧遮那始成正覺者,卽世主妙嚴一品經是,言始成正覺者,已自身心,證盡三世古今等法,在一念中,無久近相,於一念中,而亦不壞衆生,三世夂近劫,智及種種衆生差別知見智,如經智入三世而無來往,如是有十種智,具在經說,如是上下前後四十品經,摠於始成正覺時,於一剎那際,以法界海智印三昧門,一時頓印,身色言音,說諸佛法及一切塵中諸國剎海,普宣流布及入涅槃,不移一時一際一性皆是,法如是故,前佛後佛古今如是,摠在一時,隨諸衆生,現差別法,古今相徹,名之爲始,契法如是,名之爲成,依法如是,非心造作,名之爲正,智達斯理,名之爲覺,此經在晉朝之譯,有三十四品,今於唐朝再譯,爲三十九品。又撿菩薩瓔珞本業經云:佛子,吾先於第六天說十地道化天、人,今故略開衆生心地,汝等受行。又下文,佛子,第四十一地心者,名入法界心。又此下文佛子,吾先於第三禪中集八禪衆說,一生補處菩薩入佛華三昧定說百萬億偈,今以略說一偈之義,開衆生心,汝等受持此品卽在十地品後,是十一地等覺位,計此品名還名佛華品,爲依法爲名故。又下文佛子,吾先在此樹下說法界海時,有八萬無垢菩薩現身得佛,故今爲此大衆略開佛果行處,汝應頂受,如瓔珞本業經,卽是說華嚴經竟,化諸三乘衆生,詣菩提樹下,二重敍初成正覺時,所說華嚴五位法門,具如彼經說,爲華嚴經少十一地一品經,今將彼配勘方知次第,後有聞者,不須生疑,但取彼經勘驗可知皁白。今以第三禪中,說十一地佛華品,卽摠有十處十會四十品,竝在始成正覺時,以一剎那際海印法門一時頓說,以依本法無前後故,爲法本如是故,以本身本智示本法故,無重會普光明殿及三會等事故,若重重重重無盡之重,不論三會以其法界海門摠收三世,一念前後竝是一時,亦無往彼重來入此,如來但以本智對現色身海印門故,一時普示,今言於普光明殿重重三會者,此非如是,摠是一時頓印之法,如經云:如來於一言說中,演說無邊契經海,但從法門品類爲表法故,菩薩名殊,非是先來後來之衆,於法界海內,不可以情作前後之想,違本法故,於一念之內現三世事者,爲衆生故,非於本法而有三世,此爲明本法,不可從末,前已覆車後須改轍,不可直推先德以爲龜鏡,撿參經意都無重會之名,以文字敍致法門似有重意,不觀品中經意,摠是敍其前後通括一時一際一法界之智用法門,如十定品離世閒品,皆云。爾時,世尊在摩竭提國菩提場中,始成正覺,普光明殿入剎那際三昧者,但隨法位菩薩名別,非是如來去已重來,以普光明殿爲法界果智體故,於一時之際,會其理事,不離無作定門,以十定門是法界體故,以普賢行是法界用,卽離世間品是也。會此二品,不離普光明殿果德大宅智之本都,如此三度之說,摠是一處一時一法界一會之說,非是如情所見前後往來,通餘九會,摠在一會一時一法界一智海法門,重重一時隱現無障無礙,今於一法界內,隨其進修方便行相門中,寄處表法,以分其十處。十會者,第一菩提場會,第二普光明殿會,第三昇須彌山頂會,第四昇夜摩天會,第五昇兜率天會,第六昇他化自在天會,第七昇三禪天會,第八給孤獨園會,第九覺城東大塔廟處會,第十於一切國剎及塵中一切虛空法界會。名爲十處十會,普光明殿中會,此經中五位、六位法門,十定妙理,普賢萬行始終體用,十處十會摠在普光明殿,一眞法界因圓果滿,報居之宅之所含容,十方世界,都爲一法一處一時一體用際攝末歸本,不可別分作前後往來三會之說,不可以己情塵翳障眞教。又此經中諸法皆以十爲圓數,不可但言七處九會之說。又問:何故至第七會但至三禪,集八天衆說十一地法門,何故不至四禪天者?荅曰:爲四禪天依其次第,是佛果處故,佛正於菩提場中正證佛果,通收四禪及十方世界,摠爲一普光明殿法界之宅報居之都,更無上下往來進修所在可得之相,明佛四禪心想無依無進修處故,無往來也。情絕應眞,同法界故,是佛第四禪以菩提樹下寄同阿蘭若處,普光明殿,卽是本居之報宅,以此三說始終因果,重敍前初成佛之時,以明前後不離菩提體本智海故,如此圓融,始終因果成一際法門,於此經中前後有六處和會也。示果勸修門中有二處,已信修行門中有四處,一如初會中,普賢菩薩入如來藏身三昧,以世界海旋法門,示佛本源法界十蓮華藏世界海因果始終報得之門,卽普賢菩薩是其行,如來藏身是其體,卽明以用入體理事徹故,二毘盧遮那所坐之座諸有莊嚴,亦明因果始終體用相徹故,卽以遮那佛以爲報果,以一切法空本智爲座體,以普賢萬行爲用莊嚴,以此一切莊嚴具,卽還以輪臺戶牖諸莊嚴具中出衆菩薩,有十佛世界微塵數,雨寶供佛,卽明如來果德常居一切法空之座,普賢衆行妙用常感依報之所莊嚴,理事因果體用常相益故。又已信修行門中有四度和會因果無二門者,卽普光明殿三說始成正覺,攝末歸本一際法界,是一度和會,二三十七品名如來出現品,如來放眉閒光灌文殊頂,放口中光灌普賢口,令此二人共相問荅,說佛出現果德之門,卽文殊爲本智法體,普賢爲行,明和會體用徹故,以此徹處卽名爲佛。初會中佛,卽明佛所自成佛也。三十七品中佛,明菩薩自力所及也。因初佛故,而起信,進修行以信進修行故,自力所及自佛果故,以自佛果與前所信無異故,三祇園之中,如來以師子頻申三昧門,擧五位因果導利人、天,四善財童子彌勒樓閣中,和會文殊、普賢始終因果及彌勒菩薩始終因果,都爲一際,體用徹故,通前示果勸修門中普賢菩薩毘盧遮那二處和會,及後普光明殿如來出現品給孤獨園及彌勒樓閣四處,通爲六處和會,體用因果無二一際法門,是故彌勒樓閣名毘盧遮那莊嚴藏,與初會中普賢菩薩所入三昧名如來藏身,前後名字一相似故,但取經文品類意況尋之參驗可見,如來會通摠爲一時一際,以剎那際根本智宅門出生滅度及常住在世轉正法輪摠無虧一念成正覺時。是故經言:智入三世而無來往,此經摠有十處十會四十品經,於九會中,雲集都衆摠有三百四十二種衆,幷第三禪中一會八種衆,亦在其數,如是之衆,各各云有佛世界微塵數,或云十佛世界微塵數,如是衆會一時俱會在始成正覺一剎那際,猶如大海周遍十方互相參映無障無礙。若以第十會中,於一切國剎及塵中虛空法界一切會者,卽十方世界虛空法界及纖塵之內及一切衆生身體塵毛孔海會如海十方無間,重重重重無盡無盡,諸佛、菩薩衆海常然,三世一念,古今咸卽今時之際,過去未來無盡之劫,同時無虧,一念成正覺時也。如是時,體成佛,不成佛,覺與不覺時,法如是故。第二明示果勸修者,卽如來現相品、普賢三昧品、世界成就品、華藏世界品、毘盧遮那品,如是五品經是也。於現相品如來口中衆齒之間放光,以光中音聲十方告衆,使令咸集,普賢菩薩爲佛長子,治佛家法入佛三昧,擧佛果德令衆敬愛起信樂修,如來於自身及座,擧體用因果門令衆咸知,以佛自身爲法界大智身,以諸莊嚴具爲普賢行用報果,以一切法空爲座身,以此三法齊平興悲智門,無始無終,示悟衆生,名之爲佛,如來又於眉間毫相中放光明,名一切菩薩智光明普照曜十方藏,其狀猶如寶色燈雲,普照十方世界已,右繞於佛,從足下入,及於眉間毫相之內,出十佛世界微塵數菩薩衆,於其佛前共坐一蓮華之座。復讚嘆佛境界甚深,此明因果無二,光入足下,明以果成因,眉間光者,十地智果之光,今入佛足下,以果成因,十信之位,還從足下輪中出此光也。至十住位內,次至足指端出,十行之內,從足趺上出,十迴向之內,從膝上出十地之內,還至眉間出,終而復始,毫相光明是十地之果光,其中出菩薩,是其因行,明因從果出,明此已上五品經,是示佛果德令衆信樂。第三明信心成備者,卽第二會中,如來名號品、四聖諦品、光明覺品、菩薩問明品、淨行品、賢首品,已上六品經是也。此六品經共成十信之一位,一如來名號品信佛名號十方世界隨生不同,二四聖諦品信知十方世界法門名字差殊,皆以四聖諦爲本,三光明覺品知光明本從果而來入佛足下今還從足下放彼果光,用成信位,四菩薩問明品信菩薩所問之法門,五淨行品明信菩薩淨行從大願力生,六賢首品信知成佛以信爲首,信此六品法門共成信位此六品經於普光明殿中說,以普光明殿是佛智用果報滿居之本宅還從中說信法門,爲明說果成信,旣信果德,從茲以後至十地十一地佛華品已來,方明入道進修五位成滿階降同別,一通一切通爲從因至果不隔時故,皆以根本不動智等十箇佛,以爲所信之門,還以自心根本不動智佛,以爲會體用。第四明入眞實證者,從第三會昇須彌山頂於如來兩足指端放光明,於中說六品經是。一昇須彌山頂品,二須彌頂上偈讚品,三十住品,四梵行品,五初發心功德品,六明法品,此六品經中,如須彌山頂品及偈讚品兩品經,是帝釋諸天迎讚如來嘆佛功德及處之勝。十住品、梵行品、初發心功德品、明法品,四品經,明創證法門住佛所住,生住佛家,同佛智性,功德解行理智,如佛初發心時,便成正覺,此會兩足指端放光者,明初證法門發足之始,昇須彌山頂者,明從前信心今昇十住法王山頂至法之際智照無礙,如上高山至相盡處故,又山者,表定能發慧故,從茲以去,任法無功始終俱佛,不從八地方具無功。瓔珞經云:三賢菩薩法流水中住運至佛,初水後水一性水者,因佛果佛一性佛故,於其中間無初中後,不隔念故,依本法故,無念可隔,因果便終,一念相應,一念佛故,不論相好及與神通,相好神通從此正覺中得。若證正覺,卽不著諸相,但以覺道恒相應故,通變相好不求自至,設至於後福智終時,三世一時不隔念故。第五明發行修行者,從第四會昇夜摩天宮,於如來兩足趺上放光說四品經,一昇夜摩天宮品,二夜摩天宮偈讚品,三十行品,四十無盡藏品,如此會中,昇夜摩天宮品夜摩天宮偈讚品兩品,是諸天迎佛讚歎佛功德,及歎處之勝,十行品十無盡藏品兩品經,明智身具普賢行悲智具足理智行門所成依正二報福智無盡,此位從如來兩足上放光,及昇夜摩天上說者,爲明從須彌山頂,至相盡處證佛智身,至夜摩天上,依法空本智,起普賢萬行門故,以處表法令易解故,如彼諸天離地際故,天依空而住,爲明十行依本智法空而行。第六明理事相入者,從第五會昇兜率天宮,於如來膝上放光,說十迴向,有三品經,一昇兜率天宮品,二兜率天宮偈讚品,三十迴向品,前之二品經,是諸天迎讚如來敬嘆佛德,及嘆處之勝,後之一品,是正說十迴向之法門,迴向者,令諸事法皆入理故,以十行事法入前十住中理事無礙故,名迴向,前十住卽是文殊法身本智,後十行卽是普賢之萬行,明二人體用相徹名爲迴向,膝上放光者,明理事卷舒自在故,猶如人膝屈申迴旋皆由於膝。何故兜率天說此位者?爲明此天於欲界之中處中故。又於天上五位五處五會之中故。向下有帝釋夜摩之兩會,向上卽有他化三禪之兩會,於欲界中,此天處中故,故說十迴向,令會理事無礙根本智差別智智悲均融處於中道,以處表法故,須此處說十迴向之門。第七明蘊修成德者,從第六會,昇他化自在天宮中,如來眉閒放光明,名菩薩力焰明,此光與初會中,如來眉閒所放光明,終而復始,至本處故,說十地品一品經是也。無昇他化天宮品無偈讚品者,爲明十地果終住法本宮恒遍一切功終行極更無昇進,乃至三禪,十方世界亦同此也。爲表果終十地智滿無進修故,常對諸佛現在前故,爲非新來無稱歎故,此十地門但於十住十行十迴向中,蘊積功成使令滑熟,更無所住任運而成,自令具足一切諸法。何故於此天處而說十地法門?爲此天依他起化以成自樂,名之他化自在天,此位菩薩依衆生故,而行悲智,興諸行雲雨諸法雨,以成爲樂,無自心相作諸行相,以處表法故,須此處而說十地法門,依藏法師,說此品時有三加五請者,撿尋經意,佛有十三種加,解脫月菩薩及諸菩薩有四請,佛有十三種加金剛藏菩薩者,一他方佛有十二種加金剛藏菩薩,使令遣說,二毘盧遮那如來眉間放光照金剛藏菩薩身,光中說偈勸令使說,此爲光加,通爲十三,十方諸佛十二種加者,一諸佛現其前,以言讚慰使令說法,二與十種智,及自善根法如是加,三十方諸佛手摩其頂,許令使說,以言讚慰,是語業加,與十種智是智業加,以手摩頂,是身業加,毘盧遮那眉間光照及光中說法是法力加,摠通言讚及與十智手摩頂及光照,有十三種加,金剛藏菩薩四重請者,一解脫月擧衆疑,二請金剛藏菩薩爲衆說法,三重請,四諸大菩薩一時同請,都爲四請,未知三加五請從何所來?若但取身語意業爲三加者,卽與十智眉閒光照金剛藏身及光說法,其加卽有餘。若俱取十方諸佛言讚使說爲五請者,佛位居尊軌則之中不合爲請,以此之義,摠有十三種加,四重請,與十種智業,雖是智體不殊,爲不迷法相成差別智故,用時各別不可直取同門,以一同中有十三種所加各別,四度重請皆殊,超昇之義前已說訖。第八隨緣無礙者,從第七會,於第三禪中集八禪衆說,一生補處菩薩入佛華三昧定,說十一地等覺位中普賢法門,十地已終,明自分道終,等覺位中行普賢行,徧明入俗,徧周法界,行門重疊,廣及虛空,及微塵中諸國剎海,重重無礙廣大如法界,究竟如虛空,名爲等覺位中普賢行也。言佛華三昧者,花之言,行能堪可觀開敷感果義也。此爲佛行法門,佛者覺也。明十一地等覺行用,明十地成佛,以終次十一地覺行滿也。故名佛華法門,三昧者,法界本體大寂法門,定亂情盡名爲本寂,以此定故,行普賢行門,一切三昧,此乃爲本體故,於彼天處,爲於色界、無色界八禪之衆,說一生補處菩薩入佛華三昧定門,有百萬億偈,以此位菩薩入佛華法門善明入俗廣利含生自在故,名隨緣無礙,此位明法界行周。何故在彼天處說十一地法門?爲彼天處憂苦情亡唯三昧樂,爲明此位菩薩定故,情亡唯智悲利衆生樂故,以此處表法故,於此處說十一地法門,地位行門,廣如瓔珞經說,此以當華嚴經來文未足。第九明因果位終者,從十定品、十通品、十忍品、阿僧祇品、壽量品、諸菩薩住處品、佛不思議法品、如來十身相海品、如來隨好光明功德品、普賢行品、如來出現品、離世間品,已上十二品經是也。何以然者?爲十定品,至離世間品,摠該五位十地佛位,及普賢萬行始終因果前後徹故,是此十定品、離世間品,二品經初,皆卻敍初會及第二會云。爾時,世尊在摩竭提國阿蘭若法菩提場中,始成正覺,於普光明殿,入剎那際,諸佛三昧者,非是重來集會,但爲十定及離世間二品,是體用門通始終故,於普光明殿如是重敍,依其法門菩薩衆名號差別,非是去已還復重來,於十住、十行、十迴向、十地、十一地法,遍諸天處,一時頓說諸位,此之二品,意明體用徹於始終佛因果門故,十定體是文殊,離世閒法,是普賢。是故如來出現品中放光和會二人,因果相徹門故,放眉間光入文殊頂,放口中光入普賢口,令其理事自相問荅說佛果門,佛果之門摠在二人根本智差別智之際,以定慧力照之可見,此之十二品經,一時都會及諸六位十一地,摠入普光本智法堂果德大宅法界之門故。是故十定品及離世閒品,皆敍前之初會,二會說此經時,譬如空中置百千寶鏡,置一佛像在於地上,以衆菩薩圍遶莊嚴,於彼百千寶鏡之中一時頓現,一一鏡中影像互相參入都無來往,如來亦爾。於始成正覺之時,天上人間十方國土一時頓現,互相參徹都無來去。故彼說言音句義悉皆參入,都無來去不論重會,不得作世間情解作往來重重之心,如前已述,事須和會至而復說,此之經末須知,和會始終,如來出現品明五位十一地果終之門,一部之經始終之際,以是義故,流通付囑摠在其中,出現品前,普賢行品,卽明自己佛果修行之行,出現品後,離世間品,卽明自己佛果之後利生之行,明佛果之後所行大悲智行諸習㧾盡雖行普賢萬行不染世間名離世間品,自修佛果前普賢行,明是自所乘勸他學佛果也。後普賢行,自己佛果已終,純是利他,以此能令三寶不斷,十通十忍亦如十定,遍通五位,體徹始終也。通者摠通明義也。忍者,法忍之門,阿僧祇者,乃明數量之門,壽量者,乃明佛壽量隨人,菩薩住處者,爲明菩薩所住處爲人攝化住持境界常在不滅,佛不思議法者,爲明如來化儀法則自在非諸二乘及三乘權學所知,如來十身相海品者,爲明十世界海十毘盧遮那,皆有九十七種相及十蓮華藏世界微塵數相,如來隨好光明功德品者,爲明如來隨好光明照燭功德蒙光獲益,普賢行品者,爲明果前進修之行如來出現品者,爲明五位菩薩自力果終出現因果位極,離世間品者,爲明佛果之後純是利他,此已上三十九品經,六位五位因果位終,利及諸天諸神王衆,入法界一品經,如來入師子頻申三昧,還擧佛果五位,利及人間,以前摠結初會二會乃至十一地七會之中佛位因果法門,八會在祇園之中,後當更敍。第十明令凡實證者,從第八會,在祇園之中,如來入師子頻申三昧門,還擧法界果德現諸世間,令生信樂聞佛實相,五百聲聞目連鶖子,示同不聞,寄同二乘,有信不信,如初會中五十衆及覺首等十首菩薩,功德林等十林菩薩,金剛幢等十幢菩薩,金剛藏等三十七箇藏菩薩,如是各各有十佛剎微塵數菩薩共集,隨位增倍寄成諸位,令諸人、天、凡夫得此法門,如此會中,六千比丘,明是凡夫於文殊師利所頓明十耳十眼,此衆雖居在路發心,境界不離佛會,路上發心爲表進,修非是,卽離其佛會,乃至第九會,覺城東,一萬諸龍,五百優婆塞,五百優婆夷,五百童子,五百童女,普明是凡夫同證佛位。是故今言令凡實證,第九會覺城東過去佛大塔廟處,文殊師利說普照法界修多羅門,無量諸龍得生人趣,一萬諸龍發菩提心,覺城五衆俱登佛果,但擧善財一人爲首,及其五百之數法皆同然。五百者表五位,六千者,表六位,信亦在中,一萬龍者,表其萬行之門故,無有一事浪施設故,皆表法門,過去諸佛大塔廟處爲其會者,明古佛今佛道迹不殊,還同如來會內一種,善財南詢諸友,還明進修。又明菩薩攝化衆生之行相,第十會者,一切國剎及塵中虛空法界一切會,此十遍一切剎塵中虛空法界有情身塵毛孔之內,如是重重重重海會無盡故,如是法界佛果法門,諸有信解,及初發心證入之者,猶如師子王之子初生之時,雖卽未能如其師子王力勢自在,然師子相全體無異,一切諸獸皆當畏,如於此華嚴經佛果法門信解及初發證入者,亦復如是。能信自己身心性相全體,同諸佛果自體,恒眞本大智故,及證入者,同諸如來佛果之門,本無修造自體全佛,以此眞門備進修差別萬行,恒無始終一眞果德,雖未能堪力用如佛,是則名爲種佛種子在於身田。以信爲始,以定慧力證入之者,初發心時十住之首以入佛智慧,是則名爲生在佛家爲佛眞子,以與佛智同故,具足如來諸善根故,便卽超彼三乘得神通菩薩九地等見,一切三乘人天外道智所不及。是故應當根堪之士一心奉行。新華嚴經論卷第七

1)제1권에서 『화엄경』의 특징을 열 가지로 나눈 것 중 여덟 번째 항목이다.
2)석가모니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천안제일(天眼第一)이라고 한다.
3)5인(忍) 중 하나. 3현 보살이 번뇌를 조복해서 일어나지 않게 했으나 아주 끊지는 못한 것.
4)본래의 마음을 따라서 작위가 없는 것이니, 돈(頓)의 근기이다.
5)미혹이 본래 없음을 비추는 것이니, 점(漸)의 근기이다.
6)대나무를 쪼개는 것. 대를 쪼개듯이 단박에 깨닫는 돈의 근기를 가리킨다.
7)
8)부처님께서 인연이 있는 자가 오는 걸 보시고 “잘 왔구나, 비구야”라고 하시자, 그 비구의 머리카락과 수염이 저절로 떨어지고 가사가 몸에 입혀지면서 아라한과를 얻은 것을 가리킨다.
9)제1권에서 『화엄경』의 특징을 열 가지로 나눈 것 중 마지막 항목이다.
10)비로자나 과덕의 지혜를 큰 집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11)열 곳에서 열 번의 회상을 열었다는 뜻이다.
12)인(因)과 과(果)의 시종(始終)을 과보로 얻는 것.
13)『화엄경』을 해석하는 열 가지가운데 열 번째 항목에서 다시 법을 열 가지로 나누어 가르침의 차이를 설명한 중에 두 번째이다.
14)『화엄경』을 해석하는 열 가지 가운데 열 번째 항목에서 다시법을 열 가지로 나누어 가르침의 차이를 설명하는 중에 세 번째이다.
15)주 14)에 이어지는 네 번째이다.
16)주 15)에 이어지는 다섯 번째이다.
17)주 16)에 이어지는 여섯 번째이다.
18)주 17)에 이어지는 일곱 번째이다.
19)법 그 자체의 힘.
20)도솔천으로부터 화락천을 지나치고 곧장 타화자재천에 오른 것을 말한다.
21)주 18)에 이어지는 여덟 번째이다.
22)고려대장경 원본에 의하면 “정(定)과 고(故)의 정이 없다”고 나와 있으나 문맥상 탄허스님의 현토본에 나와 있는 “정(定)과 난(亂)의 정이 없다”는 해석이 더욱 적절한 표현이다.
23)주 21)에 이어지는 아홉 번째이다.
24)『화엄경』을 해석하는 열 가지 가운데 열 번째 항목에서 다시 법을 열 가지로 나누어 가르침의 차이를 설명하는 열 가지 중 마지막 열 번째이다.
25)앞에서 말한 5백 명의 우바새, 5백 명의 우바이, 5백 명의 동자, 5백 명의 동녀와 6천 비구를 말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