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 캐나다 특별 DLC: 사고나면 끝장

작성자책읽는달팽| 작성시간21.06.26| 조회수410| 댓글 14

댓글 리스트

  • 작성자 _Arondite_ 작성시간21.06.27 아항, 노심 하나를 통째로 모듈화해버린 거네요. 캬, 잔머리 좋네.
  • 작성자 Signora 작성시간21.06.27 폴아웃 자동차들 생각나네요
  • 답댓글 작성자 _Arondite_ 작성시간21.06.27 그쪽은 차의 동력이 핵인 쪽이고, 이쪽은 차는 기름으로 달리는데 싣고 있는 게 원자로라는 점이 다릅니다.

    만 여기나 거기나 사고나면 방사능유출이라는 점은 동일하네요.
  • 답댓글 작성자 Signora 작성시간21.06.27 _Arondite_ 제가 잘못 이해 한건가요? 저 융합로가 있는게 7년간 트럭 동력공급이라고 이해했는데...
  • 답댓글 작성자 _Arondite_ 작성시간21.06.27 Signora 트럭이 아니고, 원전의 노심에 꽂아서 7년동안 발전용으로 쓰고, 다 쓴 노심은 빼내서 트럭으로 실어다 공장으로 가져가서 재생 혹은 폐기한다는 겁니다.
    일반적인 원자력발전소의 노심은 완전히 고정되어서 원전 수명이 다할 때까지 계속 쓰고 연료봉을 갈아끼우는데, 저건 노심+핵연료를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서 통째로 갈아끼우는 개념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Signora 작성시간21.06.27 _Arondite_ 아하
  • 답댓글 작성자 책읽는달팽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06.27 _Arondite_ 정확히는 노심(네, 연료와 감속재 등등)을 발전소에 꽂고, 터빈발전기를 연결하는 구조입니다. 캐나다는 맨해튼 프로젝트의 영향(맨해튼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중수공장이 캐나다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망할 공장 어케 할까? 하다가 캐다다형 중수로인 CANDU를 개발했죠)으로 원자력 연구가 많습니다. 아래 제너럴 퓨전도 캐나다 회사인데요 뭐...
  • 답댓글 작성자 _Arondite_ 작성시간21.06.27 책읽는달팽 여러차례 언급했듯 원전 설계하는 회사에 다니는지라 원자력발전소의 구조 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ㅎㅎㅎ 사람들이 잘 모르지만 캐나다도 상당한 기술강국이죠. 말씀대로 중수로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요.
  • 답댓글 작성자 책읽는달팽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06.27 _Arondite_ 그래서 지금 중국에서 EDF(EPR) / 로사톰 / CANDU가 서로 경쟁하고 있지 않습니까? (셋 중 하나라도 터지면 망이지만...)
  • 답댓글 작성자 _Arondite_ 작성시간21.06.27 책읽는달팽 그래서 저희회사는 팝콘뜯으며 구경중이죠. 과연 누가누가 중국한테 핵심기술 쪽쪽 빨릴까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요 ㅎㅎㅎㅎ

    는 우리회사도 들어가야되나 고민중...
  • 답댓글 작성자 책읽는달팽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06.28 _Arondite_ 러시아는 중국은 절대 갖지 못할 4세대 설계도를 팔았죠. (러시아는 발전소는 쓰레기로 굴렸지만, 군사용으론 실험을 엄청나게 많이 했죠. 납-비스무트 원자로라던가, 나트륨 냉각로라던가... 등등 그래서 러시아 연방 초기 전력회사가 군에서 돈 안낸다고 멋대로 전기를 끊어버려 군에서 특공대를 보내 겨우 액체 나트륨을 살렸죠.) 뭐 지금도 BN 시리즈는 올라가고 있고... CANDU는 제너럴 퓨전이라던가 IMSR 같은 걸로 넘어갈려는거 같고... (물론 쓰레기통을 재활용할 생각을 하고 있는거 같기는 하다만...), 한국은 뉴스에 나온대로 미국 에너지부(전 원자력 위원회, 그 전 맨해튼 프로젝트. 오일쇼크가 닥치자 지미 카터가 합쳐버렸죠.)의 국립연구소 네트워크에서 개발한 기술 안고 가야 될거 같네요... (최근엔 ORNL,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서 원자로 노심을 3D 프린팅 하는 기술을 개발 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책읽는달팽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06.28 _Arondite_ 아 물론, 저 쓰레기로 굴린 것 때문에 재미난 일이 발생(...)안한게 천만 다행이죠. 레닌그라드 원자력 발전소라고 레닌그라드 주의 전력을 책임지는 RBMK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데(현재는 신형 가압경수로인 VVER을 짓고 있습니다.), 근처에 레닌그라드(상트 페테르부르크)와 더불어 가즈프롬(구 소련/러시아 연방 천연가스청) 본사가 있네요. 뭐, 로사톰(구 소련/러시아 연방 원자력청. 포스터에선 INES 4등급 이상 사고친거 없다고 구라를 칩니다만...)은 언제나 가즈프롬을 갖고 놀수 있게 되었...
  • 답댓글 작성자 _Arondite_ 작성시간21.06.28 책읽는달팽 뭐...애초에 한국의 원전설계기술의 원천이 미국산 원전, 그중에서도 특히 웨스팅하우스 꺼였으니까요. 뭐랄까, 지난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원자력 관련 공조를 선언한 걸 보고 '주인이 친구에게 맡겨놨던 것 찾으러 온' 느낌을 좀 받았더랬습니다 ㅎㅎㅎ; 그래도 전반적인 에너지 기술 관련해서 저변이 넓은 미국과의 공조는 오히려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겠지요.
  • 작성자 알바니아 작성시간21.06.28 흑흑.. 테라파워..뉴스케일 제발 상장 좀 했으면 좋겠네요,, 투자좀 하자 ㅠㅠㅠ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