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345쪽

작성자학아아생| 작성시간24.03.26| 조회수0| 댓글 5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대기 상태 작성시간24.03.26 중성수소/전리수소
    로 생각해야하고 증가가 맞는것 같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작성자 문라봉 작성시간24.03.26 제가 이해한 바로는,(정확하지는 않습니다ㅠㅠ) 중성수소/전리수소의 비가 증가한다는 것은 중심 바깥으로 갈수록 라이먼 연속 광자 수 대비 중성수소의 양이 증가한다는 얘기입니다. 따라서 그 말은 라이먼 연속 광자(91.2nm보다 짧은 파장의 빛)에 대해서는 중성수소가 많아지면서 광학적 두께가 증가하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어쨌든 광학적 두께가 두꺼우면 해당 파장의 빛은 완전히 가려지게 되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그 경계선까지 스트룀그렌구가 생기는 것이 아닐까요.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문라봉 작성시간24.03.26 라이먼 광자 수가 적어지면 광학적 두께가 감소해야 하는 것은 광학적 두께의 정의랑은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광학적 두께는 해당 파장의 빛의 세기와는 관련이 아마 없을 겁니다. 그 사이의 티끌들의 개수밀도, 불투명도, 거리 등이 변수이므로 광학적 두께는 해당 변수들을 위주로 생각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