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송영진 신부 강론

[스크랩] 2024년 3월 5일 사순 제3주간 화요일 『매정한 종의 비유』 송영진 모세 신부

작성자stellakang|작성시간24.03.05|조회수80 목록 댓글 5

<사순 제3주간 화요일 강론>(2024. 3. 5. 화)(마태 18,21-35)

복음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들을 용서하지 않으면 아버지께서도 너희를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8,21-35
21 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23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24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25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26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27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28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29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30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31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32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33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34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35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매정한 종의 비유』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마태 18,24-30).”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마태 18,32-35).”

 

‘매정한 종의 비유’의 가르침은 단순하고 명확합니다.

“하느님께서 너희에게 큰 자비를 베풀어 주셨으니

너희도 이웃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어라.”

그런데 실제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 베풀어 주신 큰 자비는 막연하게 느껴지고,

그래서 실감나지도 않는데, 이웃이 나에게 준 상처는

시간이 흘러도 생생하게 살아 있고, 너무나도 크게 느껴지고,

끊임없이 나를 괴롭힙니다.

많은 경우에, 이웃 때문에 생긴 마음의 상처가 하느님께서

베풀어 주셨다는 자비보다 더 큰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러니 예수님의 말씀에 공감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만일에 진짜로 큰 죄를 지은 경우라면,

회개하면서 하느님의 큰 자비를 체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 경우에는 이웃을 용서하고 이웃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는 일을 좀 더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큰 자비를 체험한 적이 없다면,

머리로는 예수님의 말씀을 알아들어도 마음으로 실천하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선 먼저, 하느님의 자비가 얼마나 큰지,

또 그 큰 자비를 내가 지금 얼마나 많이 받고 있는지를

묵상하고, 체험하려고 노력하는 일부터 해야 할 것입니다.

 

“나는 하느님께 만 탈렌트를 빚진 적이 없다. 그러나 저자가

백 데나리온을 나에게 빚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에게 어떻게 대답해야 하나?

“하느님 앞에서는 모든 사람이 죄인이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우리를 대신해서 당신의 목숨을 속죄 제물로 바치셨고,

그 덕분에 우리에게 구원의 문이 열렸다. 그것은 만 탈렌트를

빚진 종이 그 빚을 탕감 받은 일과 같다.”고 설명하면 될까?

사람들 중에는 “하느님 앞에서는 모든 사람이 죄인이다.”

라는 말부터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만 탈렌트를 탕감 받았다는 말은

더욱더 공감하지 못할 것입니다.

자기는 그렇게 큰 죄를 지은 적 없으니 큰 자비와 큰 용서를

받을 일도 없다고 스스로 믿고 있는 사람에게 하느님의 자비와

용서와 사랑을 전해 주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그런 사람이라도 본래 마음이 따뜻해서 이웃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는 일과 자기에게 상처를 준 이웃을 용서하는 일을

잘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상처를

준 이웃을 용서하지 못하고, 힘들어 하고, 괴로워합니다,

사실 그게 우리의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그런 사정을 고려하면, 이야기의 순서를 바꿔서,

첫 번째 종이 동료의 백 데나리온을 탕감해 주지 않고

동료를 감옥에 가둔 다음에 임금에게 가서는 만 탈렌트를

탕감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으로 생각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그러면 임금은 “너는 네 동료의 빚은 탕감해 주지 않았으면서

무슨 염치로 나에게 와서 큰 빚을 탕감해 달라고 청하느냐?”

라고 말할 것입니다.

내가 이웃을 용서하지 않은 채로 하느님 앞에 가서 용서를

간청한다면, 하느님께서는 “너는 이웃을 용서하지 않았으면서

어찌 감히 나에게 용서를 청하느냐?” 라고 말씀하실 것입니다.

우리는 날마다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라고 ‘주님의 기도’를 바칩니다.

우리가 이웃을 용서할 테니까 주님께서도 우리를

용서해 달라고 기도하는 것입니다.

물론 하느님의 용서의 은총은 이미 우리에게 주어져 있고,

우리는 그 응답으로 이웃을 용서해야 한다는 것이 교리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생각하면, 우리가 이웃을 용서하는 것은

주님의 용서를 받기 위해서입니다.

하느님은 전지전능하신 분이니 나중에 취소하게 될 일을 하지

않으시는 분이고, 그래서 한 번 주신 은총을 취소하시는 분이

아니지만, 이미 주신 은총을 온전히 받아서 나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내가 이웃을 용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일입니다.

내가 이웃을 용서하지 않는 것은 이미 주신 은총을

안 받겠다고 거부하는 셈이 된다는 것입니다.

 

<비유에서, 만 탈렌트라는 엄청난 거액은 하느님의 큰 은총을

상징하고, 백 데나리온이라는 일상적으로 취급하는 소액은

인간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잘못들과 실수들을 상징합니다.

돈의 액수에 초점을 맞춰서, 이 이야기를 ‘백 데나리온이라는

소액을 투자해서 만 탈렌트라는 거액을 벌어들이는’ 이야기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백 원을 투자해서 일억 원을 얻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신앙생활이 무슨 투자는 아니지만, 나중에 열매를

얻기 위해서 지금 씨를 뿌리는 생활이기 때문에,

뜻으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출처] 사순 제3주간 화요일 강론|작성자 송영진 모세 신부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평화의 사도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아참 | 작성시간 24.03.05 이미 주신 은총을 온전히 받아서 나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내가 이웃을 용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일입니다.
  • 작성자쉬리* | 작성시간 24.03.05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조나단 | 작성시간 24.03.05 아멘 신부님 stellakang 님 고맙습니다.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4.03.05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혜원 | 작성시간 24.03.05 아멘. 감사합니다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