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 필터...

작성자골프맨|작성시간09.01.23|조회수635 목록 댓글 11

 

 

잡지에 나온  커먼레일 디젤 엔진에 들어가는 연료 필터 입니다...

 

 

http://cafe.daum.net/clubmercedes/KApT/9   ( 일반적인 커먼레일 시스템에 대한  내용인데 )

 

 

( 사실 오너가  이정도의 글도 알고 있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RV 레이싱때  차량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주행에 도움이 될까해서  찾아본 자료니까...

  가솔린 엔진의 오너가  차량의 메카니즘에 대해 꼭 알필요가 없는것처럼( 물론 알면 좋긴 하지만...)

 

에 나온 기계식 로터리 펌프( 고압펌프 )    ( CDI는  고압펌프가 다른가요? )

에 사용되는...

 

커먼레일 방식이 1400 바 정도의  솔레노이드 방식의 인젝터가 사용되는  1세대에서

1600바  1800바  최근의 2000바의  고압이 이용되는   2,3세대(피에죠 인젝터  사용)로 발전하면서

(1세대의 커먼레일의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연료 압력 조절밸브에 피에죠 방식이 이용되는 차도 있죠...)

고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로터리 펌프를 이용하는것으로 아는데...

 

그로우 플러그가 CDI에 있는지 없는지... 

 

EKAY님이 CDI의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면 하네요...

 

왜 기술적으로  한세대전의 차에 적용된 디젤 시스템도  시동에 문제가 없는데...

세대구분이 정확한지 모르지만

250CDI가 3세대라면   2세대에 속하는 CDI가  

1세대에 속하는 1400( 1200바...)의 분사 압력을 가지는 차들도 시동에 문제가  없는데

시동에 문제가 생기는지(시동이 문제가 된 차의 기름이  일부러 주유한것이 아니라면   그곳의 환경에 같이 노출된

 엑티언은  문제가 없는데(글올린 분의 내용참조)  C220 CDI가  시동이 안걸린( 같은 기름이라고 치고...)

 기계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 지금까지의 내용으로 보면  연료필터 히팅 장치의 유무라고 보입니다...

 

C220 CDI오너가 차를 구입했을때 

겨울철 스키장이나   강원도 같은 혹한기 지역에서의 차량이용이나 

서울에서의 주유뿐만 아니라   강원도 에서의 주유도  고려했어야 하지 않을까요?  

 

 

 

 

아래 사진은

 

 

 

바이오 디젤 관련된 글에서  캡쳐한  자료네요...

 

바이오 디젤이 제목엔  모든 디젤 엔진에 사용가능하다고 나와 있지만 

왼쪽표엔 CRDi TDi 제외로 나오네요...

 

고성능 경유를 사용하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현재  바이오 디젤 관련 사업이어떻게 진행중인지 모르지만  행정기관에서

바이오 디젤 생산량을  구입해서 일반 디젤에  포함 시킨다고 합니다... ( 0.5% 인가 ... )

 

올린 이유는 

하절기  동절기  혹한기 의 

경유성분 구성비가 나와서 입니다...

 

 

등유( 백등유 케로신) 는  경유 보다 낮은 온도에서 나오죠...

하지만  증류 온도 를 보면 알겠지만  등유와 경유가 나오는 온도가 겹치는데

어떻게 나누는지 까지는 모릅니다^^

먼저 올린 글 중에 나오는  직류 경유와  분해 경유는  이야기 안할께요^^( 잘 몰라서ㅎㅎ...)

 

다만  실내에서 난방유로 사용할만큼  황의 함량이 적다고 하네요...(황의 역활은 먼저 이야기 했고...)

등산용 버너의  연료로 많이 사용했었죠... 휘발유 버너를  사용하기 전까진...

( 요즘은  야영과 취사가 금지된곳이 많아서...)

 

년간  연비를  계산한 분이 있는지 모르지만  연비는  경유보다  좋지 못한것 같더군요...

02년도 부터  연간 주행한 거리와  주유량을   단가 포함해서  엑셀로  정리해서

올려주는 분이  있어서 계산해보니  에어컨을 많이 사용하는 여름만큼  겨울철

연비가  봄 가을 보다 좋지 않아 추정한 것입니다...

 

대기온도가  낮아지는 늦가을 밤엔   차가 무척 잘 나가죠...

이는  경유 때문이 아닌  흡기온도 때문인것 같습니다...

인터쿨러를 통과한  온도가  많이 차이 나더군요...

 

 

 

정상적으로  판매되는  주유소의 디젤유가 위 스크랩한  사진에 나오는 수치이니

개인이 등유를  혼합할 생각은 하지 마세요^^ 

유류에 부가되는  자동차세중  유류세와 관계되는 문제고  아래포스트에 등유사용한

고압펌프 사진 참고 하세요

( 연료 자체의 탄성도 중요하다고 나오던데 어떻게 차이지는지 까지는 모릅니다_ 찾아보면 나오겠지만...)

 

유럽엔  자가로 바이오 디젤을  집에서 만들어서  사용하는 키트가  팔리고 있고

바이오 디젤을 이용하는 차가 300만대나 된다고 하던데

 

국내에서는  여러 문제 때문에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는 업체의 바이오 디젤을

전량 구매해 줘야 한다고 하는것 같더군요( 복잡해서 알아보다 말았슴...)

 

 

얼마나 알고 있는지 테스트 하는것 같은 생각도 들고...

또  메카니즘이나  현재의  디젤의 상황에 대해  장황하게 늘어놓으면 놓을수록

CDI 를 선택하는것이  어렵게 생각될것 같아 이만 줄이려 합니다...

 

그냥  주유소에서 기름넣고 타면 되는것이 정상이라고 보네요...

오너가  경유의 동절기 하절기 차이나   주유소의 지역별 관리실태 같은것 신경 안쓰고

차를 타야  정상 아닐까요?

 

연료의 품질이나  관리상태 이런것은  나라에서 신경쓰고

수입사가 고려할 사항이고...

 

오너는   디젤엔진이 구조상 무겁고  디젤 노킹에 의한 고유의 디젤음이 있는것을 알고

저회전에서 부터 나오는 강력한 토크나   좋은 연비 청정배기개스 등을 고려한 선택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네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골프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9.01.24 CDI는 모르지만 제차 A엔진엔 그로우플러그 있어요... Free Heater도 있고... TDI 중 PD 방식의 차량 오너와 커먼레일 방식이 더 우수하다고 논쟁한적이 있는데... 왜냐하면 PD방식이 더 고압(2,000바 인가 2200바인가) 까지 가능하지만 엔진 회전수와 비례하는 방식이라 엔진 회전수와 상관없이 고압을 형성하는 커먼레일 방식이 더 우수하다고 했죠...
  • 답댓글 작성자골프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9.01.24 PD방식의 인젝터가 사용된 엔진이야기가 왜 나오는지는 이해를 못하겠네요... 소형 디젤 엔진으로 많은 생산량이 있는 업체지만 현재는 커먼레일 방식으로 전환중이죠... 국내 현기차의 소형 디젤 엔진 기술도 상당히 인정받는 다고 하더군요... 얼마전 발표한 현.기차의 'R'엔진은 놀랄정도구요...
  • 답댓글 작성자EKAY | 작성시간 09.01.24 검색을 더 해보세요. PD 방식의 냉간 시동성, 그 방식이 혹한 시 (아무 경유를 넣어도) 왜 CDI보다 더 나은지... 하지만 단점이 무엇인지... 배기가스규제와의 상관성.
  • 작성자문어(정문우) | 작성시간 09.01.28 사진속 왼쪽손 부위 센서는 온도센서와 히팅코일(왁스고형화 방지), 오른손 부분은 센서는 수분감지센서입니다. 벤츠에 없는것은 히팅코일입니다. 글로우 플러그 있습니다. 짧은소견하나 붙이자면 시스템 문제인거 같습니다. 참고 되었으면 합니다.
  • 작성자Mr.S | 작성시간 09.01.24 CDI엔진이 나온것은 디젤엔진의 한계 즉 배기가스 규제를 맞추기 위한것이 1차였고, 또한 보다 높은 연비를 이루기 위해서였습니다. 단점으로는 수분에 약점이 있습니다. 현 문제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는 모르기때문에 참고로만 말씀드립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