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연료 필터...

작성자골프맨| 작성시간09.01.23| 조회수634| 댓글 11

댓글 리스트

  • 작성자 피노이(박천형) 작성시간09.01.23 결론은 이렇게 도출되어 있지요~~ 골프맨님 말미에 쓰신 말씀대로... '연료의 품질, 관리상태 이런것은 나라에서 신경쓰고 수입사가 고려할 사항...' 이 얘기에 공감하지 않는 사람 없다면.... 센터에서 더이상은 기름이 안좋아서 그래요~~~ 라는 얘기 안했으면 좋겠어요. 해결 해 줘야지요~!
  • 답댓글 작성자 EKAY 작성시간09.01.24 재밌는건, 나라에서 제작사 보고 '니네 이거이거 기준 맞춰, 아니면 수입 못해' 그래 놓고, 정작 인프라의 관리 실태는 개판인거죠. 그러다가 차 퍼지면 제작사/고객이 바보가 되죠. 그럼 우린 이런 게시판 만들어 우리끼리 수다떨고 고민하고... 얼마전 환경부인지 건교부인지 신문에 보니까 미인증 차량 돈 먹고 몇만대 등록되게 해줬던데... 디젤도 말이 유로4지 막상 실제 시험보면 유로3 나올 국산차 허다할껍니다. 모든게 다 배기가스규제와 연결됩니다. CDI 차량 뿐만 아니라 BMW의 디젤 모델 출시가 일반 휘발유보다 늦어질 수 밖에 없었던 것도, 불안정한 경유 품질 관리 실태 때문이죠.
  • 작성자 EKAY 작성시간09.01.24 그리고 골프맨님! 제 글을 잙 읽어주셨다면, 제가 왜 수분필터-연료필터의 상관성에 대해서 언급했던거 기억나세요? 모두 연료 품질과 관계가 있습니다. 골프맨님이 올려주신 '새로 개정된 연료 기준'에 의거하면, 최신 경유의 수분함량은 '0'에 가까워야 합니다. 수분이 왁스현상이 촉진시키는 연료필터의 천적이거든요. 해당 링크를 읽어보시면, 왜 국내 벤츠는 수분필터가 있고, 왜 하절기/동절기 경유의 주입이 중요한지, 섞이면 안되는지, 왜 우리가 이런 게시판을 만들어 글을 쓰고 있는지 어느 정도 이해가 되실겁니다. http://www.lubrizol.com/press-room/media-coverage/pdflibrary/Weyenberg-RoadStar-707.pd
  • 답댓글 작성자 골프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1.24 연료필터의 필터막이 국내 수입된CDI '만' 수분분리필터의 기능을 갖는지 부터 확인할수있었으면 하네요... 옵션코드 U41이 적용되면 ( 일반 연료필터와 뭐가 다른지 모르지만) 아무 문제가 없으리라 예상한 것이 문제라고 하는겁니다...
  • 답댓글 작성자 골프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1.24 EKAY님이 하는 이야기 이해 못하는것 아닌데... 이해를 못한것으로 보이나요? 시동이 안걸리는 원인이 '무엇'이든 시동문제로 곤란을 겪는 오너는 일부러 불량경유를 주유한것이 아닌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주유라면 시동 안걸리는 문제를 차량을 판매한 쪽에 이야기 하는것이 당연한 것이라는 것이죠...
  • 답댓글 작성자 EKAY 작성시간09.01.24 여전하시군요.^^ 수분필터를 적용하지 않으면, 수분량이 많이 함유된 하절기 경유의 겨울철 왁스현상 CFPP(Cold Filter Plugging Point)를 촉진시킵니다. 그 현상을 억제하게 위해 설치되어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일반적인 상황'이 하절기 경유를 넣어서 CFPP를 촉진시켜 시동이 안걸렸다면, 그건 차량을 판매한 곳과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제가 쓴 글 전부다 한번만 더 읽어주시길... 그리고 여쭤보신 궁금증 중 한가지 풀어 드리려고 얘기하는건데, CR 엔진들은 글로우 플러그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반면 PD 엔진들이 사라지는 이유는 배기가스규제와 연관되어 있구요. 마지막 힌트는: S&W, 2009년 연료 기준, 하절/동절기 경유^^
  • 답댓글 작성자 골프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1.24 CDI는 모르지만 제차 A엔진엔 그로우플러그 있어요... Free Heater도 있고... TDI 중 PD 방식의 차량 오너와 커먼레일 방식이 더 우수하다고 논쟁한적이 있는데... 왜냐하면 PD방식이 더 고압(2,000바 인가 2200바인가) 까지 가능하지만 엔진 회전수와 비례하는 방식이라 엔진 회전수와 상관없이 고압을 형성하는 커먼레일 방식이 더 우수하다고 했죠...
  • 답댓글 작성자 골프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09.01.24 PD방식의 인젝터가 사용된 엔진이야기가 왜 나오는지는 이해를 못하겠네요... 소형 디젤 엔진으로 많은 생산량이 있는 업체지만 현재는 커먼레일 방식으로 전환중이죠... 국내 현기차의 소형 디젤 엔진 기술도 상당히 인정받는 다고 하더군요... 얼마전 발표한 현.기차의 'R'엔진은 놀랄정도구요...
  • 답댓글 작성자 EKAY 작성시간09.01.24 검색을 더 해보세요. PD 방식의 냉간 시동성, 그 방식이 혹한 시 (아무 경유를 넣어도) 왜 CDI보다 더 나은지... 하지만 단점이 무엇인지... 배기가스규제와의 상관성.
  • 작성자 문어(정문우) 작성시간09.01.28 사진속 왼쪽손 부위 센서는 온도센서와 히팅코일(왁스고형화 방지), 오른손 부분은 센서는 수분감지센서입니다. 벤츠에 없는것은 히팅코일입니다. 글로우 플러그 있습니다. 짧은소견하나 붙이자면 시스템 문제인거 같습니다. 참고 되었으면 합니다.
  • 작성자 Mr.S 작성시간09.01.24 CDI엔진이 나온것은 디젤엔진의 한계 즉 배기가스 규제를 맞추기 위한것이 1차였고, 또한 보다 높은 연비를 이루기 위해서였습니다. 단점으로는 수분에 약점이 있습니다. 현 문제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는 모르기때문에 참고로만 말씀드립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