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다이치 하라 double backflip 실패

작성자최인식| 작성시간19.02.12| 조회수301| 댓글 9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술퍼맨(원상연) 작성시간19.02.12 더블백플립, 착지점 변수를 해결하기 쉽지 않을 것 같은데 정말 멋지네요. 다이치 하라선수의 도전에 박수를 보냅니다.
    두번째 에어 직전에 밸런스를 잃지않고 스피드 조절이 됐으면 성공했을까요?^^
  • 답댓글 작성자 최인식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2.13 도약이 제대로 안되어 실패한 것 같습니다. 제대로 점프를 하였다면 성공했겠죠. 시합에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하는 것이지 double backflip을 할 수 있는 선수들은 여러명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작성자 재용아빠 작성시간19.02.13 쟈니 모즐리의 트위스트롤? 이후 최대 혁명적 발상, 과연 어디까지 진화할까요
    캔디드 토백스?(이 사람도 모글선수 출신이라더군요, 모글로는 성공 못했지만) 와 함께 기존 틀을 부숴버리네요

  • 작성자 마왕아비(서태만) 작성시간19.02.13 페이스북에서 보고 운동신경 좋다고 생각했는데 빠른스피드에 무릅이 흡수되며 팅겼고 레이아웃백플립에서 오버난걸 탁으로 더블백플립으로 착지점을 만들었다고 보여집니다. 판단력이 대단한 선수이지만 위험한 행동으로 보여집니다.
  • 작성자 찰스(김희중) 작성시간19.02.13 너무 멀리날아가 착지점을지나 모글위에 착지한것 같아요
  • 작성자 최인식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2.13 에어에서 킥커를 떠나는 순간에 두가지 변하지 않는 물리량이 있습니다. 수평 운동량 (momentum) 과 각운동량 (angular momentum)입니다. 운동량은 질량 곱하기 속도로 주어지고 각운동량은 인너시아 모멘트 곱하기 각속도로 주어 집니다. 질량은 변하지 않으므로 공기저항이외에는 속도를 변경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킥커를 떠나는 순간 착지 지점이 결정됩니다. 그러나 각속도는 인너시아 모멘트를 공중에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각속도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백플립의 경우 다리를 뻗는 것은 인너시아 모멘트를 중가 시켜 각속도를 감소 시키게 되고 다리를 오무리는 턱 동작은 인너시아 모멘트를 감소시켜 각속도를 증가 시킵니다.
  • 작성자 최인식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2.13 위 동영상의 경우 너무 빠른 속도로 킥커에 진입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흡수를 하면서 점프를 함으로써 landing zone을 지나서 착지하게 되고 싱글 백플립을 하기는 높이가 너무 높아 더불백플립을 하게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두번째 백풀립은 턱포지션으로 간신히 돌아 가는 상황이므로 그렇게 하기 보다는 정상적으로 도약을 하여 landing zone에 착지하고 인너시아 모멘트를 적절히 조절하여 더불백플립을 하는 경우가 물리적으로는 더욱 더 안전하고 성공적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 작성자 최인식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2.13 선수들이 각각의 상황에 순간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일이므로 평소 훈련한데로 대처하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상당히 위험한 상황으로 보였는데 부상없이 마무리 되어 다행입니다.
  • 작성자 서준호 작성시간19.02.14 본인은 마음 아프겠지만, 보는 우리는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군요. 선수부모 입장에서 차마 못 볼 장면이지만 정말 대단한 선수입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