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라디오 생존법] 전기차 화재와 폭발 문제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 작성시간18.04.12| 조회수1612| 댓글 5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즈나(부산) 작성시간18.04.12 전기차라고 알려져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크게는 하이브리드형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그리고 EV 전용이구요.
    EV 전용이 배터리만으로 구동하는 순수 전기차입니다.
    배터리는 리튬 계열을 쓰는데 업체마다 좀 다릅니다.
    국내 업체라면 LG화학, 삼성 SDI, SK 이노베이션 3사가 있고
    테슬라는 초기부터 일본 파나소닉의 배터리를 사용해왔습니다.
    파나소닉의 제품은 리튬이온 셀이 맞고, 다른 업체의 경우 안정성을
    이유로 리튬폴리머를 많이 사용합니다.
    리튬폴리머를 사용한다면 일단 테슬라처럼 터질 가능성은 적은거죠.
    배터리 전압은 필요한 성능에 따라 60V 이상에서 부터 수백볼트까지 사용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즈나(부산) 작성시간18.04.12 참고
    셀: 소형배터리 1개
    모듈: 셀을 조합하여 일정한 개수로 묶은 형태
    팩: 모듈을 조합하고 보호회로를 단 전기차의 배터리 완성품
  • 작성자 노자랑(서울) 작성시간18.04.12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 작성자 바람돌이(경기 이천) 작성시간18.04.12 현재 사용되는 2차 전기차용 전지인 밧데리는 니튬이온 폴리머 밧데리인데 리튬은 충방전
    효율은 좋으나 금속자체가 불안정해서 진공상태를 유지해줘야하고 전류안정을 위한장치가 내장되있습니다 만약 사고로 진공이 깨지면 공기와 결합해복발하죠 물과 접촉시 아황산가스(독가스)를 발생시킵니다 휴대폰 밧데리폭발을 상상해봄 같다고 보심 됩니다 따라서 감전과 폭발 전자회로 오작동 독가스 발생등 사고시 발생가능한 사고에 대비해야 합니다 소화기도 하론이나 금속화재 등급을 준비해야겠죠
  • 작성자 산호랑이(경기,대전) 작성시간18.04.13 얼마 전에 LG에서 리튬이면서도 충격에 강한 배터리를 개발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는데, 전기차가 상용화가 될수록 배터리 쪽도 안정화가 되리라 봅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